작년에 이어서 두번째 듣는 열중반 강의 3강 양파링님 오랜만에 뵈어서 반가웠습니다.

 

작년에 강의를 들었을때는 솔직히 어려웠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책을 주마다 계속 읽어야 되는것도 .. 

 

계약서 작성법이나 세금..전세 내놓는것 등은 낯설기도 했고요

 

제가 투자를 직접 해보지 않기도 했고 

 

월부 강의도 몇개 안들었기 때문에 더욱 그랬던것 같아요

 

한바퀴를 돌은 현재 중급 양파링님 강의를 들었을때 훨씬 편하게 귀에 꽂히게 들을수 있었습니다.

 

이번강의는 전세 잘 내놓은 법을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아직 1호기 투자를 안했지만, 매수이후 전세를 잘 성사시키는게 매우 중요하단건 알고 있다 

 

전세셋팅이 끝나야지 투자의 완성이 되는것이다.

 

사실 좋은 물건을 골라 매수를 하는게 중요하지만, 좋은 물건을 지키는것은 더욱 중요하다.

 

잘 지키는건 2년마다 또는 4년마다 전세셋팅을 잘 해나간다는 것이다.

 

내가 리스크를 잘 감당할수 있는지, 좀더 나에게 유리한 조건의 세입자를 선택하는것,

 

계약서에도 특약사항에 꼭 기재해야 되는것, 계약서 쓸때 꼭 봐야 되는 부분들..

 

정말 A~Z까지 꼼꼼히 전세구하기 교재처럼 알기쉽게 강의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제가 textbook처럼 잘 가지고 있다가 저의 1호기 전세셋팅할때 꼭 참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전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게 있습니다.

 

미쳐 라이브코칭 질의응답에 이부분을 못 쓰긴 해서 후기에 남깁니다.

 

  • 매수를 할때 좋은 물건을 싸게 사라고 합니다. 그래서 좋은 물건을 주변 가격보다 싼걸 고르게 되죠..

    그래서 운좋게 많이 싼걸 초이스 하게 되면 시간이 흘러 역전세가 났을때 매우 많이 돈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주변에 동료분들중에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다른강사님꼐서도 그런경우가 있었다고 강의시

    애기 해주셨구요. 당연히 입지가치가 있는 좋은 물건이면 잘 막고 버티고 가는게 맞다는건 알지만요.

     궁금한부분이

    결국 나중에 역전세가 나서 큰돈이 들어가는거라면, 구지 매수시기에 꼭 많이 싼걸 사야될까요?

    역전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덜 싼걸 고르거나, 아님 매수시 역전세대비로 목돈예금을 남겨놔야 되는게

    아닐까요?

    물론 매수때 좋고 싼걸 사서 남은 돈으로 또 다른 투자를 할수도 있겠지요.

    그런데..저는 역전세가 얼마까지 생길지 알수 있는 두려움과 그걸 막지 못해서 잃게 되는 두려움이 걱정이 되더라고요. 

    멘토님들께서 다 오랫동안 투자를 하시고 역전세도 겪으셨을텐데.. 역전세를 어떻게 막으셨고 혹 잃은 물건들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걸 버리게 된건지..또는 투자물건 매수시 역전세를 생각하며 했던 행동이 있는지 등에 대한 강의 내용들이 적거나 없다보니..제 머릿속에서 자꾸 물음표가 계속 생깁니다.

    저도 내년초안에는 1호기를 할 마음인데..

    이런 물음표가 계속 떠다니다 보니..마음이 주춤거리네요~

    후기에 써서 답변을 못들을지 모르나..꼭 알고 싶은 부분이라 남깁니다. 알려주실수 있는 기회가 되면 역전세에 대한 부분도 많이 듣고 싶습니다.


댓글


비브
24. 08. 24. 22:03

소망이루다님 고생하셨습니다🩵

드림텔러
24. 08. 24. 23:49

강의후기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어요!!

주유밈
24. 08. 24. 23:52

소망이루다님 오늘 하루도 고생 많으셨어요~🤍 남은 8월도 아자아자 홧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