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안녕하세요!!
월부 대표 교대근무 자산가, 안녕피치입니다 : D
1주차 게리롱 튜터님의
투자의 원칙-저환수원리
2주차 식빵파파 튜터님의
실전투자의 시작-비교평가
3주차 양파링 멘토님의
전세 세팅 방법
그리고
4주차 주우이 멘토님의
나에게 맞는 투자지역 선정 법!!
시장진단과
자신의 상황에 대한 진단
그리고
실전투자 QnA 까지
정말 열중 마지막을 가득채운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
지금 조금 날라갔다고
투자 못해요. 하면 안됩니다.
더 빠르게
아는 지역을 늘려야 해요.
강의 中
"
한문장
현재 시장과
나에게 맞는 투자
본
깨
#1강
[시장 진단]
이번 열반스쿨 중급반
1~4주차 강의에서
공통으로 해주신 말씀을 꼽는다면
바로 이 '시장진단'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서울, 수도권은 물론
지방까지 전국에 투자처가 열려 있는 만큼
나의 상황과 함께
정확한 시장 진단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는데요.
다시 한 번 저의 상황을 정리했던 내용을
되뇌어 보며
조금 더 집중적으로
어떤 지역을 임장하고
어떤 지역을 투자 우선순위로
볼 수 있을지를
점검해볼 수 있었습니다.
#2강
[입지독점성과 전세가율]
2강에서는 1강의 내용의 심화버전이라고 할까요
한 단계 더 시장으로 들어가서
투자자에게
'입지독점성'과 '전세가율'이 왜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멘토님의 말씀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
전세를 올려받는 투자,
수익이 더 날 수 있는 투자.
과거 시점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더 가치가 있는 단지를 투자하셔야 합니다
"
시장상황에 매몰되다 보면
그리고
저의 상황에 매몰되다 보면
중요한 것을 놓칠 때가 있었는데
한 걸음 뒤에서
멘토님의 시야로
시장을 다시 한 번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3강
[지방 투자처 찾는 법]
2강에서 말씀해주셨던
입지독점성과
서울/수도권 시장 진단을 통해
서울/수도권 투자처를 방법을 말씀해주셨고
이어진 3강에서
광역시부터 중소도시까지
지방 투자처를 방법을 말씀해주셨습니다.
조금 더 앞마당이 필요한 시점이지만
현재 있는 앞마당 중
광역시와 서울/수도권을 생각해보며
'나라면 어디를 선택할까'
라는 관점에서
조금 더 깊게 멘토님의 말씀을 들어보며
현재 저의 상황에서는
2분법적인 사고가 아닌
조금 더 깊게 들어가
시장에 대한 진단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함을
다시 한 번 되뇌일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지방과 서울/수도권에서
흐름이 비슷한 단지를 찾아
비교를 해보는 것은
조금 더 투자자로의 성장과
사고 전환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성장의 영역으로 가져가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사진: Unsplash의Glenn Carstens-Peters
#4강, 5강
[실전 QnA]
이어진 4강과 5강에서는
현재 열중반 수강 동료분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진행이 되었었는데요.
이전 실전반을 들을 때
멘토님의 QnA를 들었던 기억이 떠올라
뭔가 묘한 감정과 함께
조금 더 몰입감 있게
멘토님의 말씀을 듣게 된 것 같습니다.
동료분들의 여러 질문을 통해
현재 시장 상황과
그 속에서 어떤 고민을 하시는지를
함께 생각해보며
멘토님의 답변을 통해
답을 알아가는 과정은 물론
그런 답을 그런 경험을
알려줄 수 있는
투자자가 되어야 겠다는 생각이
함께 들었습니다.
사진: Unsplash의Júnior Ferreira
"
제가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돈모으라고, 종잣돈 모으라고
크게 말씀드리지 않았어요.
근데
지금은 중요해요.
"
시장을 경험하며
생각의 영역에 있었던 것을 꺼내어
멘토님의 로직에 얼라인 해볼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BM
○ 거래량, 매물량 함께 보며 시장진단
○ P.56 서울/수도권, 광역시 급지별, 지역별 투자금
○ P.67 5순위 시세표
○ P.82 인구수, 평당가(매매가), 전세가율
○ P.166 3년차, 4년차 투자자가 해야하는 것
갈무리
4, 5강 질의응답에서
3년차, 4년차 투자자가 해야 하는 일을 말씀해주실 때
흐릿했던 저의 방향성이 조금 더 선명해지는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지금 저는 무엇을 통해 성장을 해야 하는지
관성에 의해 하는 것을 넘어
의도적으로 어떤 힘을 가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강의 내용을 통해서
시장을 알아가는 것은 물론
앞으로의 방향성도 점검할 수 있었던 시간 이었습니다.
긴 시간 소중한 말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멘토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