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RHK Korea
3. 읽은 날짜: 2024.09.01
4. 총점 (10점 만점): 8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1.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
#의지 + 몰입 = 성공
열심히 일을 하는 것 보다 열심히 생각하는 것의 효율이 비교불가능 할 정도로 크다.
[Chapter2. 본격적인 몰입을 시작하기 위하여]
#명확한 목표 # 예비 지식 #규칙적인 운동
명확한 목표는 몰입의 필요조건이며, 몰입을 위해서 예비 지식을 갖추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은 몰입의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저자가 말하는 몰입은 결국 Think Hard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라는 것이다. 그리고 몰입하여 생각하며 논리적으로 사고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일이 논리적으로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저자의 생각은 전형적인 이과적인 마인드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우리의 삶은 어느 하나의 목표로 정의할 수 없다. 때문에 나의 삶이 나만의 삶이 아니고 책임져야할 많은 것들 것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저자가 요구하는 지속적인 몰입은 너무 이기적인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2. 그럼에 있어서도 저자의 주장은 단편 단편으로는 충분히 받아들일만 하다. 특히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대한 강한 의지로 일정시간 문제에 집중하는 것은 나의 삶에 있어서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다.
3. 결국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그 목표를 위한 몰입이 필수적이고, 그를 위해서는 목표와 관련된 예비지식을 충분히 한 후 일정시간 집중해서 그 목표달성을 위한 해결방안을 고민해 나가야 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매일 일정량의 시간을 정해 투자공부시간 확보하기
2. 매일 30분씩 운동하기
3.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며 확언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37) 자신의 목표를 이루겠다는 강한 의지와 몰입을 하면서 얻어지는 자신감이면 세상에 풀지 못할 문제가 없다.
(p. 43)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가 누적되어서는 안 된다.
(p. 61) 몰입에 들어가기 위해 생각을 한 곳에 집중하려면 명확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
(p. 62) 해결해야 하는 기간을 정해두는 것도 절실함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된다.
(p. 62) 문제를 생각할 때는 예비 지식을 많이 알수록 몰입이 쉬워지고 문제 해결도 잘된다.
(p. 65)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p. 67) 완전한 몰입에 들어가는 3일간의 과정
l 제1일: 잡념을 털어내고 자세를 만든다. – 기억하고 싶은 아이디어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만한 사실이 떠오르면 즉시 노트에 기록한다.
l 제2일: 아이디어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 주어진 문제를 집중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쉬어서는 안된다.
l 제3일: 생각하는 재미가 솟구친다. – 의식적인 노력을 계속해서 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 95) 장기간의 몰입 활동을 하면서 얻은 결론 중 하나는 몰입적인 사고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조건이 바로 규칙적인 운동이다.
(p. 99) 규칙적인 운동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주어진 문제를 되도록이면 천천히 생각하는 것이다.
(p. 123) 세렌디피티 – 위대한 발견을 이끄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통상 우연히 떠오른다.
(p. 126) 우연한 영감에 의한 위대한 발견 뒤에는 그러한 영감을 얻을 때까지 오랫동안 피나는 노력을 기울인 사람들의 정성이 있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p. 130)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시간의 문제이지 결국은 풀 수 있다.
(p. 136) 책을 읽고 이해하는 기존의 공부 방식과 책을 읽기 전에 먼저 그와 관련된 생각을 많이 하고 책을 보는 공부 방식이 다르다.
(p. 139) 생각하는 삶이 가장 효율적이면서 바람직한 삶
(p. 150) 문제가 급하고 중요하다고 해서 서둘러 실험만 하려고 하면 오히려 해결이 되지 않는다. 이런 문제는 천천히 그리고 깊게 생각해야 해결할 수 있다. 논리적으로 하나씩 분석하여 조금씩 포위망을 좁혀 나가야 한다. 그런 다음 필요한 실험을 체계적으로 계획해야 한다.
(p. 153) 행복을 느끼는 것은 나이고, 외부 자극은 단지 이 상태를 활성화하는 촉매에 불과하다.
(p. 170) 목적이나 목표를 만들고 강화시키면 그 일의 의미가 생겨난다. ~ 목표의식을 강화시켜 성취 동기를 북돋우는 노력이 궁극적으로 자신의 일에 대한 흥미와 수행 능력을 올리는 결과로 이어진다. ~ 무엇인가를 진정으로 원하는 사람은 언젠가는 그 목표를 반드시 이루고야 만다.
(p. 176) 몰입을 시도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바로 이 목표의식과 성취 동기를 분명히 하는 과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p. 206) 내가 살아 있는 시간이 유일한 기회이고 이 삶의 기회를 잘 보내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나 한테 달려 있다.
(p. 212) 쉽게 풀리지 않는다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기만 손해고, 문제 푸는데 오히려 방해만 된다. 문제가 쉽게 풀릴 것 같지 않으면 우선 마음을 편하게 가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p. 216) 창의적인 노력은 해결책을 모르는 상태에서 해결책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활동이다.
(p. 219) 몰입도가 올라가면 학습 효과도 상승하지만, 다른 무엇을 해도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잠재능력이 올라가는 것이다.
(p. 227) 천재와 보통 사람 사이의 지적 능력 차이는 질보다는 양의 문제이다.
(p. 255) 몰입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한 번에 한 가지 일을 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p. 265)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문제에 대한 해결을 향한 체계적인 사고를 하는 ‘생각하기’를 해야 두뇌를 활용할 수 있고 지고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p. 276) 마음이 차분해지고 행복감을 느끼는 상태를 얻으며 규칙적인 운동으로 의욕과 자신감이 넘치는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은 행복과 성공을 동시에 거머쥘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p. 281) 몰입적 사고를 하려면 열심히 생각하기를 실천하되 천천히 생각하기의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천천히 생각하기의 방법으로 계속 생각하면 깊은 생각으로 바뀌고 여기서 계속 나아가 몰입도가 올라가면 생각하는 재미를 경험하게 된다.
(p. 288) 일 자체가 이루고 싶은 목적이 되어야 능률도 오르고 성공할 확률도 높아지는 것이다.
댓글
오늘도힘차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