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나위님의 1000원 강의를 듣고
1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ex) 매매가 4억, 전세 3억5000 아파트
전세 3.5 + 내 투입비 0.5로 시작할 수 있다는 부분에서,
지금 그 물건의 집주인이 아닌 상태인데 어떻게 세입자의 3.5를 내가 받을 수 있는 건지 궁금해요!!
월부 앱을 설치하면 남겨주신 질문에 답변이 달리면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앱 추가 방법 : 공지사항 > 신규멤버필독 게시판을 참고하세요!
댓글
안녕하세요 지항님! 강의를 들으시면서 전세금에 대해서 궁금하신것 같습니다ㅎㅎ 보통 매매계약과 전세계약이 동시에 이뤄집니다. 세입자의 전세금(3.5억)과 투자금(0.5억)을 잔금으로 매도자 계좌로 들어갑니다. 이렇기때문에 5천만원만 있어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매매와 전세계약을 동시에 진행할 경우 전세대출이 안나오는 은행도 있다는 점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잘 설명했는지 모르겠네요! 궁금하신게 해결되셨길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항님~! 너바나님 1000원 스터디를 듣고 복습하고 계신 점 멋지십니다! 매매 잔금을 치고 집을 내 명의로 가지고 오는 날, 같은 날에, 세입자는 계약금을 제외한 나머지 전세잔금을 매도자에게 보내며 잔금을 치른 후 세입자가 이사오게 됩니다! 보통 위의 경우처럼 매매전세 동시계약 이거나, 혹은 세낀 상태의 집을 매수할 경우 내가 매매계약서를 작성할 때 이러한 금액적인 부분에 대하여 정확하게 명시해두기 때문에 잘 확인하시면 될 것 같아요ㅎㅎ 그럼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지항님 ! 전세 레버리지에 대해 궁금하신것 같습니다. 전세 레버리지 투자를 통해 내가 가진 종잣돈(투자금) 외 나머지는 레버리지를 통해서 집을 매수하는 방식인데요. 여기서 전세입자가 껴있거나(기존에 전세가 들어있는 집) 전세를 새로 맞춰서 3.5억을 전세를 끼고 매수하는 부분입니다. 해당 부분을 통해서 0.5억을 가지고 4.0억의 집을 매수할 수있게 되는 것입니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