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곰자곰자🧸입니다.
일주일이 후딱 지나가고
벌써 오늘이 사임제출일입니다…!!!!!!
어제와 오늘 시간을 쪼개 강의를 먼저 들었답니다.
2강은 처음 뵙는 줴러미 튜터님이 해주셨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특히 임장에 대해 아주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아~ 임장 가기 전에 들었으면 더 좋았겠다~ 싶었습니다ㅎㅎㅎ
2강 강의후기 시작합니다!!
생활권 선호도 제대로 매기기
“임장은 지역과 단지의 가치를 파악하는 일이다.”라며
분임, 단임, 전임, 매임의 why와 how를 자세히 알려주셨는데요!
분임에서 환경수준 상중하로 생활권 우선순위 매기기가 인상 깊었습니다.
모든 앞마당을 같이 놓고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나 스스로 디테일하고 일정한 기준이 필요하겠다고 생각하던 중,
환경의 상/중/하 대략적인 느낌을 보여주셔서
앞으로 이 기준을 적용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중, 하가 디폴트라는 말씀에
'아파트가 모여있긴 하지만 빌라들도 아직 꽤 섞여있는데… 애매한데…'
라고 생각했던 생활권들이
‘서울은 원래 그래! 그게 기본값이야!’ 라는 생각으로 바뀌었습니다.
또한 단순히 급지로 생활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단절감을 주는 요소를 통해
직접 그 주변 단지들을 비교평가해보는 과정이 새로웠습니다.
저에게 비교평가란 투자결론 단계에서만 하는 건줄 알았는데
생활권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니!!
이번 임장지 임보를 쓰면서도
'외곽인데… 중간에 산이 있는데…바로 옆인 내 앞마당 생활권과 어떤게 더 좋은거지?"
라는 의문이 들었었는데
직접 단지 대 단지로 비교를 해봐야겠습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임장지 내에서도, 내 앞마당 통틀어서도
우선순위를 잡아갈 수 있을 것 같네요!
단임 제대로 하기
줴러미님께서 난 지금도 단임 꼼꼼히 한다,
단지 매우 꼼꼼히 봐야 한다는 말씀에 뜨끔하며 ㅠ.ㅠ 반성했습니다.
이번 임장 때 단순히 오늘의 루트를 다 완수하자는 생각으로
단지 하나 하나에 집중을 더 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이제 단지임장을 1번씩은 다 돌았는데
다시 한 번 돌면서 체크리스트도 적고
좀더 가치를 파악하는 데에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과거 공급장의 영향 스스로 파악하기
기초강의에서는 과거 공급장의 영향을 설명해주실 때
수동적으로 ‘그땐 그랬구나~’하면서 이해만 하고 넘어갔는데
이번 강의에서는 과거 공급장이 단지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주셨습니다!
1강에서도 느꼈지만 물고기를 잡아주는 기초강의에 비해
실전반에서는 물고기 잡는 방법을 알려주시네요!
이번 임장지에 영향을 줬을 만한 과거 공급들을 찾아
나름대로 한번 분석해보겠습니다!!
좋은 투자를 위한 시세 루틴
좋은 투자를 하기 위해 평소에 해야 할 루틴들도 알려주셨는데요!
매달 말 투자결론을 쓰며 앞마당을 그때가서 조사하면
시간에 쫒겨 제대로 마무리를 못지으니
매일 30분 내 앞마당 시세 전수조사 루틴을 해보라고 하셨습니다.
전수조사를 통해
싼 물건이 보이면 전임을 해서
내 장바구니에 앞마당 저평가 물건들을 모아두는 겁니다!
아직 앞마당이 적고 제대로 앞마당 관리를 못하고 있는데
이번달 앞마당부터는 꾸준히 쌓아보겠습니다!
적용할 점
생활권 파악을 위해 단지 대 단지로 비교평가해보기
1~5급지의 편견에서 벗어나 각 생활권 뾰족하게 우선순위 매기기
단임 체크리스트/ 상중하 매기며 꼼꼼히 다시 돌기
과거 공급장이 단지에 미친 영향 파악하기
매일 시세 전수조사 루틴 해보기
댓글
곰자곰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