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기79기100조 Not근로But아파트사시조_파운더] 열반스쿨 2주차 강의후기

  • 24.09.13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열기79기100조 Not근로But아파트사시조_파운더] 열반스쿨 2주차 강의후기

 

열반스쿨 2주차 강의에서는 본격적으로 아파트 투자를 하기 위해 필요한 원칙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1주차에서 내가 마주치게 될 가까운, 혹은 멀지 않은 미래에 대해 알게 되었다면,

2주차에서는 내가 꿈꾸는 방향으로 다가올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 부동산 투자를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인 내용들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이대로는 안된다. 투자를 해야겠다. 일단 사고 본다!!!! 가 아니라 ㅎㅎ

 

투자의 원칙과 기준을 가지고, 그 기준에 맞춰서 차근차근 접근해나가야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는 아파트를 사기 위해서는 아파트의 가치를 정확하게 알아야 하는 것이 최우선임을 배웠습니다.

 

가치란 다양한 입지요소들의 조합을 통해 나타나게 되는 개개인들의 선호도의 총합이며, 

우수한 입지요소를 가지면서 사람들의 선호도가 높으며, 한정되어 있는 물건이라면,

충분히 가치가 있는 물건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면서, 인플레이션 이상의 자산의 상승을 가지고 올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가치가 있는 물건을 찾았다고 하여, 비싸게 사면 안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아무리 좋은 물건이라도, 투자자라면 최대한 싸게 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즉, 잃지 않는 투자의 기틀을 잡고, 더 나아가서 꾸준한 수익이 나는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원칙을 지켜나가면서 투자의 여정을 경험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진정으로 나의 비전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배운 투자원칙들을 나의 언어로 정리해보면서, 후기를 마쳐봅니다.

 

  1. 저평가
    1) 가치가 있는 물건을 알아야 하고, 그러한 물건을 찾아야 합니다.
    2) 가치와 가격을 비교평가하였을 때, 실제 지불한 가격보다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어야 합니다.
  2. 환금성
    * 아무리 훌륭한 가치를 가졌고, 싸게 샀더라도, 팔 수 없다면 나의 부를 늘릴 수 없습니다.
    * 따라서, 나의 부를 늘려줄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하는 자산을 매수해야 합니다.
    * 부동산 중에서도 환금성이 좋은 아파트를 선택하고, 아파트 중에서도 환금성이 나쁜 나홀로, 저층, 탑층, 세대수 적은 단지를 피합니다.
  3. 수익률
    * 적정한 수익률이 나오는 물건을 골라야 합니다.
    * 나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수익률이 있다면, 그러한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는 물건을 선택해야 합니다.
    * 매 순간의 선택은 기회비용의 연속이며, 선택으로 인해 소비된 시간을 되돌릴 수 없기에, 선택하는 그 순간에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해야합니다. 
    * 최선의 선택이란, 나의 비전을 달성하는 것에 가장 부합하는 것일 것입니다. 즉, 비전 달성을 위한, 목표자산 달성을 위한, 목표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는 선택을 해야 합니다.
  4. 원금보존
    * 1강에서 배웠든 수익과 손실이 반복된다면 결코, 내가 원하는 수준의 자산을 달성하지 못합니다.
    * 따라서, 무엇보다도 잃지 않는 투자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 그렇다면, 우상향하는 자산인것인지, 이 자산의 하방은 어디까지인지 알고 투자해야 합니다.
    * 그래서 이 자산의 가치 및 선호도/수요를 확인하고, 전세가를 확인하면서 원금보존 가능성을 검토합니다.
  5. 리스크 관리
    * 가장 중요한 투자원칙은 리스크 관리일 것입니다.
    * 차근차근 원칙을 지켜왔을지라도 리스크 관리가 되지 않는다면, 머리로는 알면서도 자산을 처분해야만 하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 리스크 관리란, 결국 욕망의 관리를 뜻하는 것입니다.
    * 빠르게 가고 싶은 욕망, 쉽게 가고 싶은 욕망, 편하게 가고 싶은 욕망을 관리하는 것이 곧 리스크 관리이며, 차근차근 무리하지 않으면서 그릇을 넓혀가는 것이 리스크 관리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화목
24. 09. 18. 22:41

나만의 언어로 정리하신 파운더님! 멋지십니다!! 홧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