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PICA입니다✨✨
당연히 닉네임만보고 남자 강사님일꺼라 생각했는데
너무 예쁘신 여자분께서 식빵파파라고 소개하며.. 강의를 열어주셨습니다ㅋㅋ
처음에 말씀하신 대로 정말 이 4강은
시작부터 끝까지 비교평가로 가득가득 차있었습니다.
아직 앞마당이 많지 않고, 가격대가 머리에 확 들어오지 않아
비교평가자체가 어렵고 부담스러웠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배운대로 따라해본다면
해낼 수 있을 거 같은 생각에 신이 나서 강의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강사님께서 정말 정성들여 이 강의를 준비했다고 느껴졌습니다.
사진자료들과 함께 사이버임장시켜주신 식빵파파님 감사합니다.
강의는
지역내 비교평가는? 지역간 비교평가는?
비교평가를 다 마친 후 투자와 연결되는 의사 결정과정은?
비교평가 잘하기 위한 앞마당 관리 방법은?
에 대한 답변들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비교평가할때 일단 핵심은
⭐같은 급지 안에서 평가하기⭐
⭐비싼 것은 비싼 것끼리! 싼 것은 싼 것끼리!⭐
지역내 비교평가를 할 때
서울 수도권 각 급지에 따른 지역의 특징을 고려하여 세 요소를 조정하여야 한다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모든 단지의 등수를 매기는 것이 아니라
가치 대비 저평가 된 단지를 찾는 것에 포커스를 맞춰야 합니다.
그리고 가격을 제외하고 가치를 먼저 판단한 후에
가격이나 다른 지표들을 검증을 위해 마지막 단계에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지역간 비교평가를 할 때
땅의 가치가 다른 경우의 비교평가가 좀 더 어려웠습니다.
땅의 가치를 뛰어넘는 단지선호도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강사님께서 강의에서 여러 예시들을 가지고
연습시켜주신 방법대로, 사고방식대로
비교평가 할 수 있도록 연습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여러번
비교평가에는 공식이 없다, 모든 것을 한가지의 틀로 해결하려 하지 말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나라면 어디를 선택할까? 라는 질문을 계속해서 던지며
비교평가하는 연습을 해야합니다.
지역간 비교평가를 할 때
같은 땅의 가치끼리의 평가는 단지 선호도만을 가지고 할 수 있습니다.
직접 발품을 팔며 임장하고 손품으로 채운 데이터들을 가지고
단지선호도를 파악하고 비교평가한 후
마지막에 가격을 입혀보기! (아실그래프 맹신자 반성하…)
상위24평vs하위34평
교통 좋은 구축vs교통 좀 덜 좋은 신축
상급지 구축vs하급지 신축
서울vs경기도
앞으로 무수히 많이 만나게 될 비교평가의 케이스들을
강사님과 함께 적용시켜보며 비교평가해보니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열심히 비교평가를 해 보고 마지막에 결론부분에서
투자를 하든, 못하든
꼭 최종투자결정 단지를 만들고, 줄글로 선정 이유와 투자 여부에 대해서 남겨야 한다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열심히 만든 앞마당들을 그냥 놔두는 것이 아니라
아실 실거래 표들보다 더 값진
나만의 호가 표들을 정리해서
앞마당의 가격 흐름을 정리해두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저 귀찮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시세트레킹이
조금이나마 쉬워지고, 더 의미있게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세트레킹 + 군별 시세트레킹 이번 앞마당부터 꼭 하기
댓글
PICA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