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매 순간 진심을 담고 싶은 진담 입니다!
일교차가 심해지고
밤공기가 많이 차가워졌습니다.
모두 감기 조심하시면 좋겠습니다 ^^
현재 학교 튜터님으로 함께하는
권유디 튜터님께서는
아래와 같은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임장지마다 사람들이 사는 이유와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것들을 중심으로
임장보고서를 작성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틀에 얽매이지 마세요.
틀에 얽매이지 않고
중요한 것들을 중심으로
생각을 정리하는 게
실전투자로 연결할 수 있는
임팩트있는 임장보고서 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실전투자로 연결할 수 있는
임장보고서는 어떤 것을 의미할까요?
20개 정도의 임장보고서를 쓰고
월부학교에서 7개월 째 임보를 취합하면서 느낀
임팩트 있는 임장보고서 작성방법을
공유드려보고자 합니다.
지역을 임장하고 정리하실 때,
직장 학군 환경 교통 등의 입지요소가
똑같이 적용이 되시던가요?
아마 아니실겁니다.
수도권이라도 지역에 따라서
한강뷰보다는 역세권이 중요하고
같은 광역시라도 입지보다는
연식이 중요한 곳이 있는 반면
중소도시라도 연식이 아니라
학군과 직장을 이유로
특정지역에 살 수밖에 없는
그런 곳들이 있습니다.
즉 하나의 정답만이 있는 게 아닙니다.
최근에 부산이란 곳을 처음 다녀왔는데요.
서울 다음으로 큰 곳이어서
하나의 구를 임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산이라는 도시 이해가 힘들었습니다.
완벽하지 않더라도 지역을 이해하고자
튜터님의 허락 하에 부산 9개구를
임장 해볼 수 있었습니다.
각 구별로 디테일하게 임장하지 않았기에
틀릴 확률이 아주 높겠지만,
스스로 생활권 순위도 매겨보고
각 구 별 주요 단지라고 판단한 단지 가격을
아실로 붙여보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 '틀릴 수도 있지만'
제가 내린 부산에 대한 결론은
위치가 중요하다 였습니다.
물론 어떤 지역은 오션뷰가,
그리고 부산은 언덕이 많기에
평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언덕 외에도 위치가 괜찮다면
언덕과 상관없이 대체로
가격과 선호도가 괜찮겠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생각이 제게 소중한 이유는
추후에 부산을 다시 방문하면서
제 생각이 틀렸다면 '임팩트'있게
바로 수정하고 새로운 생각을
머리에 각인할 수 있습니다.
운이 좋게도 제 생각이 맞다면
저는 부산에 투자할 때
남들보다 더 과감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공유드린 적이 있는
임장보고서 양식입니다.
지도 위 시각화의 장점은
1) 이미 아는 지역이라면
머리에 한번 더 각인 되는 효과가
2) 모르는 지역이라면 위치를 미리 확인하고
임장 시 임팩트 생기는 효과가
있습니다.
저는 시세그루핑도
엑셀 자동화를 하기보다는
한땀한땀 시각화하여
장표에 올려보는 편입니다.
가격대 x 선호도를 축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생각을 정리하는데,
추후 단지분석과 매물임장 과정에서
비교적 수월하게 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머리 속에 있는 생각을
가시적으로 보는 것과
또 글과 엑셀 데이터로만 보는 것을
도식화해서 관찰하는 것은
눈에 들어오는 차이가 매우 큽니다.
그렇기에 저는 대부분 장표를
"시각화+생각정리"
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전고점 대비 -30% 정도면
싸졌다고 볼 수 있다"
라는 말씀 들어보셨죠?
상승장에서 멘토,튜터님들이
말씀해주셨을 때
"과연 진짜 그럴 수 있을까?"
라고 의구심이 들던 미래가
진짜 현실로 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저는 위와 같이
상승장에서 올라가는 단지 순,
그리고 대표단지(랜드마크)를 선택해서
과거부터 거래가 언제쯤 얼만큼 하락했는지
지금의 하락 수준은 얼만큼 유의미한지
등을 체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은 더 의미 있을 수 있습니다.
수도권은 수요가 매우 크기 때문에
장기 우상향하는 부동산이 많고,
전고점 대비 많이 떨어졌다는 것은
그 떨어진 만큼의 비율만큼 수익이 된다
고 볼 수 있습니다.
단지를 하나만 깊게 분석해도
지역과 가격에 대해서
많은 힌트를 얻으실 수 있으십니다 :)
|
이상으로
'임팩트 있는 임장보고서 작성법 3가지'
를 공유드렸습니다.
단순히 기계적으로
정해진 임보를 쓰시는 게 아니라,
자기만의 주관을 확인하고
투자로 연결짓는 임보를 쓰시길
꼭 추천드리겠습니다 :)
감기 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