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강의 예산 파악하기, 가용 가능한 + 감당 가능한 대출 금액 계산하기, 자금 예산에서 찾아볼 수 있는 직주근접 아파트 추려보기로 내 집 마련의 기초 데이터를 만들고 =>  2강에서 다양한 지역의 입지의 차이로 10년 뒤 자산, 투자로서의 가치 있는 아파트를 객관적인 근거로 공부 할 수 있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제 기준에서의 아파트 선정 기준이 아니라 남들이 선호하는 

[외부적인 요인] - 교통, 학군(학원가, 초품아), 강남접근성(업무지구 접근성), 생활편의시설을 갖춘 인프라(백화점, 대형마트(재래시장은 제외)), 커뮤니티시설 잘 갖춘 곳 ,언덕이 없는 곳, 주변 아파트가 함께 있는지, 주변환경(자연환경 포함) 

[내부적인 요인] - 신축, 계단식, 남향, 탑층과 1층 제외 ⅔ 층, 로얄동, 아파트 내부 상태(결로나 곰팡이 없는 곳, view가 좋은 곳, 옆동으로 막히지 않는 곳 등등, 나무로 시야 방해되지 않는 곳), 주차장과 연결된 엘레베이터 선호 와 같이 직접 확인하지 않고는 알 수 없어 임장이 꼭 필요한 사항들과 그 지역에 오래 계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부동산사장님께 문의 드리기, 꼼꼼히 확인하고 네고 가능한지 확인해보기(같은 단지라도 저렴하게 매매할 수 있는지)

 

경기도 신축과 서울 구축을 비교 했을 때 경기도 신축이 당장 살기에는 좋을지 몰라도 건물의 가치는 하락하고, 땅의 가치만 남는다는 기본 전제를 깨우치게 되니 입지의 중요성이 다르게 다가오고 내 집 마련이 미래에 큰 자산가격차이를 만드는 실제 사례들에 정말 꼼꼼히 공부하고 확인하고 객관적으로 비교해봐야 함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습니다. 

 

지금 현재 가용자금이 적지만 가고 싶은 아파트를 추리고 나니 좀 더 상급지를 가고 싶은 마음에 종자돈을 모으려고 노력하게 되었습니다. 좀 더 합리적으로 지출을 할 수 있게 되었어요. 

 

현재는 가격이 비슷하지만 아실 어플을 통해 전고점이 높았던 아파트가 가치 있고 저평가 되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파트끼리 실거래가 비교를 통해 입지가 더 좋은 곳 비교해보기로 예산 내의 아파트들 중 가장 좋은 곳 추리기

 

공부와 느낀 점에서 더 나아가서 직접  검색해보고 눈으로 임장하고, 실천해야 실력이 늘고 제 부동산 안목을 기를 수 있다는 중요성에 대해 많이 느끼고 내 집마련까지 화이팅하겠습니다~!!


댓글


jhm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