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일단 하는 투자자, 케빈D입니다.
이번 실준 2주차 강의에서는 자음과 모음님이 도와주셨습니다.
이번 실준 2주차 강의는 내가 실전반 또는 월부학교에 온건가 싶을 정도로 내용이 알차고 다소 심도 있는 부분까지 알게 되어서 너무 좋았던 시간이었습니다 !
임장보고서는 우리가 바라고 그리는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 친구인 것을 195번 째 깨달았습니다..!
초보자는 투자에 실패하거나 바라던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시장을 떠난 후 돌아오지 않는다는 가장 기억에 남고 진짜로 그럴 것만 같습니다.
임장보고서를 통해 그 지역의 정보를 흡수하고 단지들의 가치를 파악할 수 있게,
그리고 투자에 실패하지 않게, 혹여나 당장 눈 앞의 좋지 않은 결과가 있더라도 가치를 알고 믿고 기다릴 수 있도록!
지겹도록 쓰고 또 써야겠습니다 !!
→ 남과 임보 비교하지 말자 !!!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임장보고서는 반드시 써야합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임장보고서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되는 것이 포인트인 듯 합니다.
이번 실준이 (사임만 쓴거 2개 포함,,,ㅎ) 8개 째 임장보고서지만 아직도 줄을 안 맞추면 온몸이 근질근질합니다,,,
임보 자체가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조금은 삐뚤삐뚤해도, 조금은 못나도
내가 임보에서 얻고자 하는 것을 얻었다면 ! 그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해야겠습니다.
– 서울도 내려오나 ? 기다릴까 ..?
– 아니, 경기도 날라가나 ? 지금 바로 사야하나 ..?
이런 질문과 고민들은 역시나 도움이 1도 안 되는 것들이었습니다.
우리가 해야할 것은 이런 거시적 미시적 경제 관점을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재’ 지역과 아파트의 가치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하고
가치 대비 싼 것을 찾아 떠나야 하겠습니다 !!!
이게 어떻게 안 어려울 수가 있을까요 ㅎㅎ
학창 시절 또는, 관련 직종이 아니면 사실은 기초 지식도 없을 터인 새로운 분야를
도전하고 공부한다는게 누구에게나 다 어려운 것은 10000% 사실일 겁니다. (서울대, 카이스트생 등 제외)
다만 우린 그 어려움을 인정하고,
어떻게든 어렵겠지만 해결하려는 자세를 가지면
결국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많은 것을, 이 어려운 것을 어떻게 하지?’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이걸 왜 하지?’
라는 생각보다는,
‘어렵네. 무엇부터 해볼까?’
‘어렵네.. 처음이니까 그렇지 뭐’
라는 자세를 가지는게 훨씬 더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잊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면서 마침표를 찍고 다녀야겠습니다 !!!
당 지역 및 주변 지역의 공급은 전세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투자하려는 지역이 어떤 지역과 인구를 많이 주고 받는지는
역전세 리스크를 대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내용입니다.
보통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으로 인구이동이 많은 것을 확인했고,
‘평당가’와 ‘인구 이동’ 간의 상관관계를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호재만 보고 투자해선 안 되지만,
모르고 투자하는 것 보단 알고 투자하는게 더 낫기에 !
도시기본계획을 확인하고, 내가 투자하려는 지역에 어떠한 개발 계획들이 있는지 체크해야겠습니다.
특히나, 수도권 투자 시 더 더욱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고,
지방에 들어오기 힘든 대규모 직장 소식을 찾아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
그리고 그 호재가 실현 후 위에서 말한 인구이동을 확인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
‘그 지역에 들어오려고 하는 수요가 많은가?’
‘많으면 어떤 이유로 오려고 하는가?’
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것이 임장보고서의 본질!
이란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
부동산 투자는 수요 파악 싸움 !
시세 분석을 할 때 제일 중요한 것은 ‘시세지도’입니다.
즉, 시세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지금 ‘내가 투자하려는 아파트’의 ‘현재 가격’입니다.
근데 시세동향이라던지,,,
전국 랜드마크 시세 비교라던지,,,
지금 나의 수준에 다소 안 맞는, 효율적이지 않은 시세 분석을 고집하지 않아야겠습니다.
사실 강의 듣기 전 열심히 전국 시세 동향 캡쳐하고 있었습니다..ㅎ
개인적으로 (아마도 많은 분들이 그럴 듯한데) 임보에서 제일 어려운 파트를 꼽자면 ‘1등 뽑기’ 부분인 듯 합니다..
굳이 불리한 매물을 잡지 마라는 말씀이 기억에 남습니다.
특히나, 지금 같은 매수자 우위 시장에서는 더더욱 기억해야겠습니다 !
그리고 틀려도 상관 없으니, 매물(단지)들의 가치파악을 딱! 해놔야겠습니다.
기준이 있어야 이후 협의를 통해 조건이 바뀔 매물에도 우선순위 파악이 용이할 듯 합니다!
적용할 점
– 연령별 인구 비율 정리 교안 참고하기.
– 거주민 소득 수준을 소득 구간별로 나눠서 조사해보기.
– 경우에 따라 특목고 진학률 데이터 반영해보기.
– 초등학교 학급수 비교데이터 반영해보기.
– 20년 평균 공급물량 데이터 반영해보기.
– 입주량과 매매 및 전세지수 상관관계 분석해보기.
– 주변 재개발, 재건축 확인 후 추푸 공급물량 확인해보기.
– 시세 분석 시 지금 수준에 맞게 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