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등푸른 생선입니다.
신투기 2강을 통해 C, D 지역을 어떻게 분석하는지 양파링 멘토님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코칭이 아무래도 제한되어 있는 시점이라서
해당 지역 투자에 대해 어떻게 의사결정 할 수 있을지 열심히 교안 준비해주시고, 자세하게 강의해주셨어요
(1박 2일 강의~ 행복했다)
월부인이 사랑하는 C, D 지역
많은 동료들이 초반에 방문하는 지역
저도 등기 치고 싶은 곳이지만
제 선입견으로는 구축이라 투자가 가능할지?
구축이라 전세금이 오르고 과거처럼 이쁘게 투자 기회를 줄 수 있을지 의문이었습니다
투자금이 너무 많이 들면 종잣돈이 별로 없는 저 같은 사람에게는 투자의 기회가 오지 않을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통해서
C, D 지역의 가치를 ‘변.화.가.능.성’을 기준으로 현재가치, 어떤 기회가 있는지, 미래에는 어떻게 될지 면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영할 C, D 지역의 투자가 어떤 의미가 있을지
좋은 줄은 알았지만, 장기적으로 더 좋아지겠구나. 알 수 있었습니다.
좋은 것도 있었지만 안타까운 것도 있었는데요
초보 생선 시절(물론 지금도 초보지만)
C지역을 처음 갔던 때 짓고 있던 단지가 이미 입주를 했다는 것
다니던 당시 제대로 된 마침표를 찍지 않았고
트래킹을 하지 않고 있다 보니
기회를 계속 주는데도 놓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아쉬웠습니다
또한 강의를 들으면서 내 편견이 C, D지역을 보는 눈을 가리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여긴 난방공사가 있어서, 여긴 발전소가 있어서, 여긴 교도소가 있어서 투자를 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구나
하지만 가까이 위치한 단지도 상승하는구나
투자를 하려면 편견을 버려야겠구나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좋은 강의해주신 양파링 멘토님 감사합니다
B/M)
1. 항공뷰로 지도 보는 것처럼 해당 지역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자연환경, 지하철, 도로를 파악하기
2. 현재도 중요하지만 미래 변화될 요소와 실현 가능성, 효과에 대해서 생각해보기
3. 공급의 영향을 생각할 때 사람들의 수요가 이동할 지역인지 고려하기
4. 각 생활권별 대표 단지를 통해 연식, 가격, 구조 등 특징 파악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