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할 점]
(1) 인근 지역 공급이 많다고 다 리스크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2) 최종 투자 결정에서의 리스크는 경쟁 물건의 개수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렇다. 전세를 못 빼는게 가장 큰 리스크니까!!
(3) 내가 선택한 지역이 그저 화폐 가치 하락에만 의존하여 통화량을 흡수하고 낡아가는 것일지, 미래 가치가 더 좋아하지는 것인지 확인해봐라. 이왕이면 후자로! ㅂㅎㄱㄴㅅ
(4) 왜 이 가격이 된 거지?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 거지? 선호 요인이 뭐지? 입지에 따른 가격 차이를 생각하자!
[느낀 점]
아는 만큼 보인다. 설명을 열심히 해주셨지만 기존에 가봤던 곳은 머릿속에 바로 그려지면서 재미있었다. 그렇지 않은 곳은 당연히 와닿지 않았다. 나중에 많은 지역을 알게 되고 인강을 들으면 얼마나 재미있을까? 많이 알고 싶다. 테트리스 맞추면 팡팡 터지는 기분을 얼른 느껴보고 싶다. 고로 더 노력하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