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임장보고서 BEST] 딱 3단계로 끝내는 임장보고서 결론
줴러미

소복하게 하루를 쌓아가는
워킹맘 투자자 유르입니다🥰
aka. 유르츄르래미안슈르사야쥐
다들 한창 사전임보 작성에
박차를 가하고 계시지요-?
매달 임보를 쓴 다는 것은,
아는 지역을 늘려간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엄청난 일 같습니다
게다가 날씨도 많이 추워졌어요
다들 건강유의하며 다니세요❤️
저는 제가 저를 잘 알고 있습니다
사전임보 때에는 화르륵 불태우고
최종임보 때에는 쭈굴쭈굴.....
번갯불에 구운 콩 처럼 1등을 뽑고
반성문과 함께 튜터님께 제출드리는
사람이라는 것을요 ...........
임보를 처음 쓰는 것도 아닌데,
임보 쓰는 것을 강의에서
한두번 배운 것도 아닌데 참 그렇습니다
저에게 가장 큰 허들은,
진짜 투자를 위한 임보 작성보다는
'적당히 그럴싸해보이는 보고서 만들기'
에 포커스 맞춰진 제 마인드였습니다
그래서 신청했어요!!!!!!
비루한 나으 임보 결론을 구원해줄
줴러미 튜터님의 임.보.결.론.특.강!!!!!
크...
러미 튜터님의 특급 강의 속에는
<이렇게만 하면 임보 결론이 뚝딱>
나올 수 있는 방법이 가득 들어있었습니다
강의 내내 빈틈은 없었고요,
이렇게 해서 안 될 리도 없습니다🔥
러미 튜터님을 통해 가득 채운
임보 결론 자신감!
후기에도 담아 보겠습니다 !
1. 임보 결론, 출발은 단지분석부터
임보 결론이 궁금해서 왔는데
생활권과 단지 분석부터 시작하는
러미 튜터님의 강의....
왜냐면, 임장보고서의 결론에 이르는 과정은
생활권과 단지분석을 제대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린 단지분석을 제대로 하고 있을까요?
그저 그래프나 지도같은 것을 기계적으로
복사 붙여넣기 하고 있진 않았을까요?
그것만으로는 단지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었습니다
러미 튜터님께서는 어느 지역 어느 단지든
네 가지 요소로 단지 선호도를 보십니다
[단지 선호도 결정하는 F4]
위치 : 물리적 위치, 브랜드, 교통
단지 : 연식, 단지 쾌적성, 브랜드
환경 : 동네 쾌적성, 커뮤니티, 상권
학군 : 학군, 학원가, 초등학교
이 네가지 기준을 가지고 강남이든 지방이든
각각의 요소를 얼만큼 가지고 있는지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한걸음 더 들어가자면,
입지 독점성이 강한 곳은
(3군 이상, 지방 최상위급지)
넷 중에선 [위치]의 힘이 좀 더 중요하구요,
입지 독점성이 약한 곳은
(4군 이하, 수도권 외곽, 대부분의 지방)
어차피 중심지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그 다음 요소인 [단지/환경/학군]의
힘이 좀 더 중요해집니다
저는 그동안 단지를 분석하거나
비교평가를 할 때, 다소 단순하게
가격이 비슷한 곳 끼리,
혹은 느낌이 비슷한 곳 끼리 대뜸
그래프부터 붙이곤 했는데
러미 튜터님의 말씀을 들으며
제 나름의 기준으로 [위치/단지/환경/학군]
나눈 다음 제 생각을 먼.저.정.리.해.보.고
그 다음에 그래프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알았습니다
(왠지 지난 실전반에서도 러미 튜터님께서
말씀 해주셨을 내용들인데.. 뎨동합니다... 🥲)
유르BM.
단지분석 하는 동안 지역 내/지역 간 가치 4요소로 붙여보기. 블럭쌓기 간다
2. 1등 뽑기 프로세스 가/투/리
임보의 늪에 빠져있다보면 결론을 낼 때
뒤죽박죽, 우왕좌왕, 되는대로
어쨌든 제출에 의의를 두는 마음으로 (?)
그렇게 누더기를 만들곤 했는데요,
임보 결론을 작성하는 방식은
예나 지금이나 한 가지였습니다
제가 예~전에 기초반 강의에서도
<싸/투/감>이라고 배웠던 그것을
(싸고 / 투자금 / 감당가능)
러미 튜터님 강의에서 다시 한 번
본질과 함께 배울 수 있었거든요!
1등을 뽑는 프로세스 3step
바로 '가/투/리' 입니다
[가격 / 투자금 / 리스크]
들을 때는 '당연하지' 라고 생각했던 것이
과연 내 임보에 제대로 순서맞춰
들어가 있는지... 임보를 다시 들춰봐야 합니다
가격 싼 것 먼저 추려냈는지,
그 중 내 투자금에 부합한 것들을 골랐지,
물건의 조건과 상황이 감당 가능한지
그렇게 해서 최종 선별된 단지들 중에
지금 내가 투자할 수 있는 게 있는지-
투자를 할 것인지,
투자를 하지 않는 / 못 하는 선택을 하게 될지
이 모든 과정이 자연스럽게
임장보고서의 결론에 담겨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느낀 점은, 임보의 결론은
'결론 써야해!' 라고 마음먹고 달려드는게 아니라,
'이번 달 내가 투자할 수 있는 단지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자연스러운 여정과도 같았습니다
(그 여정에 시간이 좀 촉박하지만요... 헤헤)
이번달에는 반드시 지키고 점검할
1등뽑기 프로세스 가격/ 투자금/ 리스크!
튜터님의 장표 고대로~ BM하면
결론까지 저도 가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르 BM.
- 앞마당 TOP3 뽑은 단지들 선정이유와 매수 전략 페이지 장표 벤치마킹 하기
3. 임보 결론이 이어져야 하는 곳, 시세트래킹-모의투자-그리고 실력
이렇게 해서 우리가 겨우겨우 뽑은,
한 달 동안의 피 땀 눈물이 담긴
1등 물건! TOP3 물건들!
이렇게 공들여 쓴 임장보고서,
곱게 덮어두시진 않나요?
임장보고서의 결론은
궁극적으론 실전투자 물건 찾기로
이어져야 합니다
그런데 1등이라고 다 살순 없잖아요
싼게 없을 수도 있고 (없진 않겠지만요),
투자금이 안 맞을수도 있고,
투자물건 및 다양한 이유로 투자할 수도 없고
여러가지 이유가 있거든요 -
임장보고서의 결론은 다음 투자로
이어질 수 있어야 했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우린 시세트래킹 단지를 뽑고
가능한 선에 따라 앞마당 전수조사를 하면서
그렇게 내 투자처를 관리해나가는 거잖아요
러미 튜터님의 특강에서 한번 더 배운 것은,
[최선의 투자를 위한 투자자의 집념] 이었습니다
당장 투자금이 없어도
실력을 쌓아 나갈 수 있어요
모의투자를 하면서요
모의투자 하면 좋다는 사실, 다 아시지만
실제로 임보에 담으시나요 ?
실제로 내가 돈이 있고 상황이 되었다면
진짜 등기를 쳤을만한 물건을 담으시나요?
저는 다소 형식적으로 뽑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러미튜터님의 특강 속에서
'나는 매달 투자한다'
지금은 돈이 없지만, 있었더라면
진짜 명의 하나 썼을만한 집이다-
라는 생각으로 진심으로 투자물건을
찾아나가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모의투자서
#5순위시세표
#하루30분전수조사
튜터님께서 알려주신 특급 장표들로
임보결론, 풍성히 더 풍성히 채워보겠습니다-*
유르 BM.
이번달 임장지 마치고 모의투자서 쓰기. 실전투자 한다는 생각으로!
임보 결론이 궁금하신 분들은
러미 튜터님의 강의장표를
그냥.. 그대로 보면서 따라가면
결론에 도착하시게 되어있습니다 !!!
튜터님의 특급 장표가 가득 넘쳐나서
이 강의안, 너무너무 소중할 것 같아요
이번달 결론 퍼주셔서 감사합니다 !!
차곡차곡 따라가며 잘 채워보겠습니다!
강의 준비에 혼을 갈아넣어주신
튜터님... 너무 고생 많으셨어요
따뜻한 질의응답까지 담아주신
오늘 특강 정말 감사합니다 🩷
https://weolbu.com/product?displaySeq=3808&inviteCode=06CC4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