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기23기 우리함께지방투자로23억19조 이러케] 비교평가의 정석- 식빵파파님의 3주차 강의 후기

  • 24.12.02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성장의 아이콘 이러케입니다. 

 

어느덧 2024년의 마지막 달인 12월이 되었네요. 

 

매번 정규강의를 시작할 때마다, 마음을 차분히 하고, 차근차근 목표를 이뤄나가야지 하다가도

강의와 임장, 임보, 조모임과 매일의 루틴까지 하다보면, 

어느새 정신을 놓고 있는(?) 저를 보게 되는 3주차 구간입니다. ㅎㅎㅎ

 

그럼에도 이번 3주차 식빵파파 튜터님의 C지역 분석과 비교평가 강의를 통해 

튜터님께서는 어떻게 비교평가를 하시는 지 머릿속에 선명하게 남길 수 있었습니다. 

 

식빵파파튜터님께서는 C지역을 분석하시면서 

먼저 C지역이 공급이 여전히 많지만, n년내에 공급이 줄어들며

특히 C지역의 특성상 가격의 변동이 급격하게 올 수 있기 때문에 지금 미리 앞마당으로 만들어두어야 한다며 

강의를 시작하셨습니다. 

 

 

그리고 3주차 강의는 

  1. 입지분석
  2. 가격분석
  3. C지역 투자전략의 흐름까지 이어졌는데, 

     

이 강의 시간들을 통해 

저의 임보, 투자의사결정과정과 비교평가 부분에서 식빵파파 튜터님과 차이가 있는지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단지로 확인한다는 의미 

 

식빵파파 튜터님께서는 입지분석을 하시면서도 

계속 단지로 확인하는 비교평가 방법으로 해주셨는데, 

(도심접근성, 학군, 연식 등)

 

임보에 매번 반영해야지 하면서도 쉽게 잡히지 않더라구요. 

어설프게 몇 번 시도했었는데, 이게 맞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식빵파파님의 강의를 통해서 보니, 

가설을 세울 때에도 나름의 기준과 구분선이 있어야겠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야 비교가 되기 때문이죠. 

단지로 확인할 때 비교가 되는 기준을 명확히 정리해 둬야

비교가 되는 단지를 가져오기가 쉬운 것 같습니다. 

 

이번에 임보를 업데이트 하면서 다시 적용해 보겠습니다. 

 

 

#  공급과잉 지역에서 투자 기회를 잡는 법  

 

C지역은 공급과잉으로 미분양이 많았던 지역인데, 튜터님께서는 

미분양도 같은 미분양이 아니기 때문에 양과 질을 모두 함께 봐야 한다는 점을 알려주셨고, 

 

공급그래프를 볼 때, 과거 비슷한 시점의 그래프를 비교해서 보며

어떻게 투자적인 의미로 해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실제 공급이 많았던 시점에서, 매매가와 전세가가 지역별로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보여주셔서 

 

공급 부분에서 전세가 확인을 꼭 하고 넘어가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C지역의 핵심 투자 전략 : 같은 조건이면 C지역 사람들은 무엇을 택할 것인가?  

 

 마지막으로 튜터님께서는 C지역의 핵심투자전략을 정리해주시면서 

 그동안 C지역에 대해서 우리들이 흔히 하는 착오에 대해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하나 하나 짚어주셨습니다. 

 

 이때의 핵심은 <같은 조건이라면 >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입니다. 

 같은 조건이면  A>B를 선택해야 할 이유가 확실해야 하고,  압도적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지방 광역시의 특징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투자금이나 전세가율로만 판단하는 것이 아닌, 

확실하게 저평가와 저가치를 구분할 수 있는 나만의 실력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그런 점에서 3가지 핵심 키워드로 투자전략을 정리해주셔서, 

앞으로 이추가로 앞마당을 만들 때 

최소한 놓치지 말아야 하는 점을 다시한번 새길 수 있었습니다. 

 

 

#  투자로 이어지는 시세트래킹  

 

기초반이든, 실전반이든 동료들과 얘기를 나누다 보면 의외로 가장 어려운 것이 시세트래킹이었습니다. 

보통은 과정이 끝나갈 무렵에 독자적으로 시세트래킹을 하고, 관리를 하다보니 (과제가 아니다보니)

나에게 맞는 양식을 찾고, 루틴으로 가져가지 않으면 

자꾸 놓치게 되더라구요. 

 

식빵파파 튜터님께서는 C지역의 투자를 위해서는 

생활권별/가격대별 시세트래킹 하는 방법과 (공급이 많은 지역이기에) 전세트래킹을 하는 방법까지 알려주시고

 

최종 의사결정하는 과정까지 보여주셨습니다. 

 

이렇게까지 다 보여주셨기 때문에, 

내가 하기만 하면 투자할 단지를 추려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반복 반복 반복의 힘 - 알 때까지 알려주시는 나눔의 힘   

 

강의를 들을땐 정말 강사님이 하라는 대로 다 할 것 같지만, 

현실은 매번 무너지기 쉬운데, 

 

그래도 놓지 않고 계속 반복해서 강의듣고, 따라해보려고 애쓰고 하다보니, 

때로는 그동안 안들렸던 내용이 머릿속에 들어오기도 합니다. 

 

이번 3강이 그런 강의였던 것 같아요. 

 

마지막 4주차까지 지치지 않고, 최대한 집중해서 시세트래킹과 결과까지 정리하겠습니다. 

 

가끔은 그냥 편하게 앉아서 수강하는 나도 지치는데, 

매번 같은 내용을 알려주시는 강사님들이 더 지치지 않으실까 싶기도 합니다. 

 

바로바로 알아듣고, 바로바로 따라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ㅎㅎㅎㅎㅎㅎ

 

그래도 지치지 않고 알때까지, 알려주시는 식빵파파 튜터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


이러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