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
2. 저자 및 출판사: 앨런 피즈, 바바라 피즈 / 반니
3. 읽은 날짜: 12.3
4. 총점 (10점 만점): 10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목표노트 만들기, 손으로 쓰자. : ‘무엇을’ 원하는지 모두 적어보자. 방법은 몰라도 좋다.
원하는 것을 구체적이고 또렷한 그림으로 입력하면 RAS가 원하는 것을 갖다 받치게 된다.
원하는 것을 어떻게 얻을지에 골몰해서는 일이 되지 않는다. 정확히 무엇을 하고 싶은지 또는 무엇이 되고 싶은지를 결정하면 RAS가 알아서 길을 찾는다. 일단 마음에 목표를 입력하자. RAS가 알아서 방법을 듣고 보고 듣고 읽어 들인다. 아주 간단하다. 그러나 실천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목표 목록을 읽고 또 읽어 보라. 각항목이 내게 진정으로 중요한지 여부가 선명해지기 시작한다. 내가 주로 시간을 보내는 장소, 항상 눈이 가는 지점에 붙여 놓자. 곳곳에 붙여 놓자. 새로운 것이 생각날 때마다 추가하자. 목록은 길수록 좋다.(p.39)
포기하지 않는다.
승자는 결코 실패하지 않는 사람이 아니다. 승자는 결코 그만두지 않는 사람이다.(p.92)
내 형편이 이렇게 된 것은 모두 내 책임이다. 지금의 내 상태에 책임이 있는 사람은 바로 나다. 부분적 책임이 아니라 전적인 책임이 내게 있다.(p.99)
내 인생에서 일어나는 일의 상당 부분은 내가 통제할 수 없다. 하지만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무엇을 생각할지, 어떻게 반응할지, 어떤 선택을 할지에 대한 통제권은 전적으로 나에게 있다. 내 생각과 반응과 선택들이 나의 다음번 상황을 창조한다.(p.102)
내가 바라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기. 집중하기.
인간은 자신이 생각하는 모습대로 되기 때문에, 자신이 바라는 것에 초점을 맞춘 긍정형 생각으로 자신의 상황을 스스로 선택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원치 않는 상황이 나를 선택하게 된다고 가르쳤다.(p.112)
긍정형으로 확언하기.
확언을 통해 마음에 계속 긍정적인 생각을 넣으면 부정적인 생각이 마음밖으로 밀려난다. (p.150)
RAS에게는 확언이 꿈을 현실화하는 실행 명령어다. 긍정형 목표를 세우고 데드라인을 설정하면 전에 보이지 않던 기회요소들이 갑자기 사방에서 나타나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p.153)
웃기.
어떤 부정적인 일에도 웃을 수 있는 요소는 항상 있다. 인간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웃을 수 있다. 웃을 일을 찾기로 선택하면 된다.(p.220)
원한을 품는 것은 다른 사람이 내 머릿속을 공짜로 차지하도록 허용하는 것과 같다.(p.221)
생산적인 방향으로 습관바꾸기.
습관을 적어보고, 생산적인 습관으로 치환해보기.
두려움과 걱정 극복
인생은 좋든 싫든 우리 위로 온갖 종류의 흙을 퍼붓는다. 원래 그런 것이다. 수렁에서 빠져나오는 요령은 흙을 털어 버리고 그것을 발판 삼아 조금씩 올라오는 것이다. 시련을 위기 탈출의 디딤돌로 만드는 것이다. 포기만 하지 않으면 아무리 깊은 수렁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p.223)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목표를 구체화하여 그것을 이룬 나의 모습을 그려보고, 긍정형으로 구체적으로 확언하면 이루어진다. 방법은 모르지만 RAS가 이끌어줄 것이다. 그리고 포기하지 않는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목표를 모두 나열해서 적어본다. 보이는 곳에 붙여놓는다. 목표를 이룬 내 모습을 상상해본다.
좋지 않은 습관들을 적어보고 좋은 습관으로 치환해본다.
손으로 적고, 마음으로 상상하고, 포기하지 않는다.
확언 - 나는 2040년에 50억 자산가가 된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마음이 무엇을 품고 무엇을 믿든 몸이 그것을 현실로 이룬다. -나폴레온 힐 (p.9)
남들보다 앞서 나가는 비법은 출발하는 것이다. -마크 트웨인 (p.35)
내가 내 꿈에 겁먹지 않는 한, 지나치게 큰 꿈이란 없다. (p.89)
지금까지 하던 대로 하면 지금까지 살던 대로 살게 된다.(p.109)
남에게 손가락질할 때, 다른 세 손가락은 나를 향하고 있다. (p.114)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 있다면, 그것을 바꿔라. 그것을 바꿀 수 없다면 그것을 보는 방식을 바꿔라.(p.115)
한 번도 실패하지 않은 사람은 아무것도 이루지 않은 사람이다. (p.16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