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려움, 장애물을 “타개”하고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타개go입니다.
실전반 4주차 강의는 비교평가 우물을 깊게 파신
식빵파파 튜터님께서
비교평가의 모든 것을 뽀개고
앞마당 관리까지 하는 법을
명쾌하게 다뤄주셨습니다.
강의에서 강사님들이 비교평가를 해주시면
되게 쉽게 느껴지고 당연히 A지! 하고 골랐었지만
막상 혼자 하려고하면 머리가 터질 것 같고
비교할 단지를 꼽는 것부터가 난제인 것이
바로 비교평가였습니다.
식빵파파튜터님은 수강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주제를
실제 단지 사례와 함께
단 한 가지의 툴로 반복하여 설명해 주셨습니다.
비교평가에 공식은 없지만
이 때는 이렇게, 저 때는 저렇게 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툴로 다뤄주시니
비교평가는 어렵다 라는 마음 속 허들이 많이 낮아졌고
지역 내에서든, 지역 간에서든
비교평가 해볼 수 있겠다란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감사합니다❤️❤️❤️
<비교평가에 대한 BM>
1. 강남접근성을 토대로 하여 환경, 학군이
그 차이를 상쇄시킬 정도인가 판단하기
2. 나라면 어떤 단지를 선택할 것인가??
3. 간혹 동네의 특징(동특^^)이 있는 곳은
강남접근성의 비중을 다소 줄이고 동특의 비중을 늘리기
4. 강남접근성, 환경, 학군이 모두 동일할 땐
입지독점성 따지기
더불어 힘들게 어렵게 만든 앞마당을
관리하는 방법과 왜 관리를 해야하는지
중요성에 대해서도 일침을 해주셨는데요,
튜터님의 말씀을 들으며 강의에서 중요하다고 하면
그때만 잠깐 들여다보다가 말다가를 반복했던
제자신을 돌이켜보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트래킹이 10월 31일이네요. 2달전….^^;;)
이번달 임장지에 집중하다보면
트래킹은 뒷전으로 밀리기도 하고
트래킹하는 것 자체가 귀찮고 눈도 아프고해서
소홀히 대했었습니다.
그런데 실전반을 하면서
굉장히 오랜만에 앞마당 중 한 지역을 전수조사 해보니
제가 top3로 뽑았던 단지들에 큰 변화가 있었더라구요!!
오히려 투자금이 벌어진 변화였지만
이 흐름을 아예 모르고 있었기 때문에
제 스스로 느꼈던 충격이 꽤 컸습니다.
이 충격으로 트래킹을 해야 하는 이유를
제대로 느끼게 되었습니다.
과제로 생각해 미루지 말고
보물 상자를 관리한다고 생각해
꾸준히 들여다봐야겠습니다!!
<앞마당 관리에 대한 BM>
1. 힘들게 힘들게 만든 앞마당을
방치하여 0으로 만들지 않기
2. 트래킹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투자 생각을 정리하여 온전한 내 것으로 만들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