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남들의 기준에 의해, 남들의 눈높이로 성공하고자 하는 마음인 ‘잇마인드’에서 나의 행복을 위한 ‘딥마인드’로 살아가기 위한 설명서이다. 처음에는 이해가 안되거나 다소 모호한 개념이라 생각했는데, 재독을 하고 유투브도 찾아보고 하니 딥마인드의 방법이 조금 이해가 간다. 100번 말하기, 100번 쓰기와 같이 루틴으로 가져갈 수 있다면 좋은 ‘딥마인드 대화법’을 알려주는 책!
키워드 : #딥마인드 #잇마인드 #행복 #자신과의대화
함께 읽으면 좋은 책 : 더마인드
본것 & 기억할 문구
💡1부 인생을 단번에 뒤집을 열쇠가 당신 안에 있다
우리의 많은 결심들은 외부에서 ‘동기부여’를 받은 것이다.
두려움, 열등감, 불안함, 오기 같은 감정이 뒤엉켜 무질서한 결심을 행동에 옮긴다.
이런 무질서를 질서로 바꾸기 위해서는 몇 배 이상의 에너지가 든다.
우리가 원하는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질서를 찾아야한다.
단순히 열심히 살기만 하면 성공만 쌓이는 게 아니라 결핍도 쌓인다.
내 마음속 깊은 곳에 숨겨진 ‘딥마인드’와 대화를 통해 우리는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다.
반면, 항상 ‘더 많이 더 높이’를 강조하는 ‘잇마인드’는 우리의 불안을 자극한다.
잇마인드는 성공 파크너이자 가장 현실적인 조언자이지만 떄로는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리스크이다.
잇마인드는 나를 사랑해서가 아니라 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존재한다.
결국 내가 내 잇(it)의 수단이 되어버린다.
K-잇마인드는 확실한 성과로 자신이 옳았음을 입중하고 전 국민이 잇마인드 과몰입이 됐다.
우리는 자신의 삶을 의미있게 만드는 것으로 물질적 풍요를 1순위로 뽑는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내 인생의 주권을 찾고 잇마인드를 내 의지대로 컨트롤 할 수 있어야 한다.
딥마인드의 목적은 내가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딥마인드에게 나는 목적 그 자체이다.
딥마인드 엔진은 오로지 믿음을 통해서 시작된다.
감사, 칭찬, 반성(감칭반)을 통해 질문을 하면서 스스로 대답해본다.
나 자신과 대화Being하고 여기서 나온 미션을 스케쥴에 오거나이징Organizing하고, 몸으로 실행Doing하는 것이 BOD루틴이다.
내 안의 마음, 딥마인드가 자동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만드는 것이 BOD이다.
매일 내 마음을 깊게 들여다보고 주권 회복을 통한 딥마인드의 성취감을 경험해야한다.
외적 성공은 내적 성취를 채우지 못한다.
외적 성공을 이뤄도 내적 성취는 채워지지 않고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안정감, 행복감, 자존감은 결코 물질만으로 대체되지 않는다.
우리의 육체와 시간은 한정적이다. 한쪽으로 쏠리면 반드시 한쪽이 무너진다.
딥마인드를 깨워 내가 중심이 되는 세상을 만들어가야 한다.
(p.48) 남에게 묻지 말고 나에게 물어라
(p.50) ‘아니야’라고 반박할 수 있는 강한 용기와 논리, 통찰을 가진 존재. 이 세상에서 나를 가장 사랑하는 존재만이 이 목소리를 압도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내 마음속의 엔진이다.
(p.64) 인생의 주도권을 함부로 넘기지 마라. 잇마인드가 아닌 딥마인드의 진짜 목소리를 가려내야 내 인생의 주인으로 살 수 있다.
(p.86) 딥마인드가 새로운 의견을 제안할 때 대부분 오랫동안 나를 통제했던 잇마인드의 목소리가 더 설득력 있게 들리기 마련이다.
💡2부 잠들어 있는 딥마인드를 꺠우고 성장시켜라
딥마인드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내 자신과 대화하는 신뢰, 시간, 사용법에 대해 알아야 한다.
딥마인드는 하루 30분 혹은 일주일에 하루라도 나 자신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져야한다.
딥마인드를 깨우려면 처음 질문부터 끝 대답까지 내가 다 해야한다.
일반적인 하소연이 아니라 집요하게 질문을 하고 책임감있고 성실하게 대답해야한다.
자백하고 진술한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밑바닥을 드러내는 나와의 대화를 시작하라.
현재를 직시하고 책임감있게 스스로 답을 찾아라.
비잉Being노트는 일기가 아니라 딥마인드와 대화하기 위해 쓰는 것임을 잊지마라.
반성은 인생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힘을 준다.
평범한 일상에서 감사할 일을 찾아내는 게 바로 감사 실력이다.
모든 사건에는 1가지 이상의 숨은 메시지가 있다.
불행을 감사로 뒤집는 통찰력을 키우는 연습을 하라.
감사하는 마음은 일상의 행복감이 커지고 감정에 쉽게 흔들리지 않게 해준다.
셀프 칭찬은 타인이 해주는 유능한 나의 모습 외에 집중하기 때문에 더 강력하다.
반성이 없으면 변화도 없다.
반성에서 중요한 핵심은 ‘오늘 벌어진 상황’을 ‘내가 고민해봐야 할 문제’로 가져오는 것이다.
인생의 주도권을 되찾는 연습이 반성이다.
반성할 게 없다는 것은 성장이 멈췄다는 이야기다.
내 인생에서 생긴 문제는 반드시 내 손으로 풀 수 있다.
잇마인드는 언제나 빠른 결과를 원하고 느리면 실패라 여긴다.
자연스럽게 남들이 보기에 좋아 보이는 것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딥마인드로 내 안의 진짜 목소리를 구분하고 제대로 꿈을 향한 길을 찾자.
(p.126) 반성은 잇시스템 속에서 ‘이것만이 옳고 진실’이라고 믿었던 고정관념을 다시 성찰하게 만든다.
(p.130) 남들과 경쟁하고 잇마인드가 시키는 일만 하다 보니 내 인생 안으로 깊게 들어가 사건을 입체적으로 들여다보는 기회가 실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그 통찰력을 키우는 연습이 바로 불행을 감사로 뒤집는 일이다.
(p.149) 내가 틀려야 행복해진다. 내 생각이 잘못됐을지도 모른다. 라고 열어놓는 만큼 변화의 여지가 생긴다. 내가 틀려야 행복하고 내가 틀려야 변화된다.
💡3부 스스로 진화하는 딥마인드를 만들어라
실행은 딥마인드의 성장동력이다.
하지만 딥마인드를 통해 나온 미션을 새로운 루틴으로 정착시키는 건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감각을 토대로 오거나이지Organizing 능력을 따로 갖춰야 한다.
실행은 딥마인드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피드백이다.
오거나이징은 구체적으로 타당성 검토, 계획 수립, 시행착오를 통한 세부 조율이 필요하다.
주도권 없이 끌려다니지 않기 위해서는 현재와 미래르 보여주는 한장의 큰 그림(BOD하우스)이 필요하다.
BOD하우스 짓기의 첫 단계는 자기 인식이다. 내 안의 감정을 모두 끄집어낸다.
라이프 섹션을 정하고 하나의 자기 선언을 만든다.
루틴은 측정 가능하도록 구체적으로 쓴다.
마지막에는 지붕과 기둥을 정하고 밸런스를 조율한다.
지붕은 당장 시급한 것, 내가 가장 많으 시간과 노력, 비용을 들여야 하는 것을 올린다.
내 인생이 변화할 때마다 집의 모양을 조금씩 바꾼다.
각자에게 최적화된 딥마인드 시스템이 필요하다.
우리가 바쁘게 살아가는 가장 큰 이유는 기준이 없어서 잇마인드에 휘둘리기 때문이다.
딥마인드 토크를 한다고 해서 실패하지 않는 게 아니다.
하지만 딥마인드 토크에서 자신이 실패한 이유를 찾아낼 수 있다.
(p.188) 남에게 핑계 대지 않는 삶, 스스로 원망하지 않는 삶이 진정 품격 있는 인생이다.
(p.220) 모든 변화는 나 자신의 행복을 놓치지 않는다.
💡4부 딥마인드의 성장 가속화 버튼을 눌러라
BOD는 처음부터 끝까지 나와의 진지한 대화이기에 스스로에게 집중하고 경청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30분에서 1시간 정도 집중해서 대화할 수 있는 환경적인 세팅이 중요하다.
아웃풋이 바뀌려면 인풋부터 달라져야 한다.
좋은 공동체에는 부행을 극복하는 힘이 있다.
든든한 지원군이 있는 커뮤니티를 적극 활용하라.
많은 사람들이 변화에 실패하는 이유는 목표 설정이 아니라 실행 떄문이다.
그만큼 게으름은 언제나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다.
(p.259) 자신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일수록 무엇이 진짜 문제인지 파악조차 하지 못한다.
깨달은 것과 적용할 점
1️⃣ 꾸준히 오래하기 위한 행동을 한다.
깨달은 점 : 지금 눈앞의 문제를 해결하고 잘하기 위한 행동은 후회와 공허함을 불러온다.
적용할 점 : 스스로 질문을 하면서 꾸준히 오래하기 위한 행동들부터 실천한다.
원래도 성격이 급한데 어떤 공부를 할 떄 마다 마음이 급하다.
더 빨리 잘해야할 것 같고, 더 빨리 격차를 줄이고 싶고 더 빨리 앞서나가고 싶다.
이러한 마음을 가지다보니 지난 몇달 간 빠르게 뛰어온 것 같지만
그만큼 놓친 부분도 많다고 생각이 든다.
이번 실준반에서 권유디님이 투자를 꾸준히 오래하기 위한 선택을 하라는 말씀을 하셨다.
간절하고 열심히 하는 자세도 좋지만
주변도 살피면서 꾸준히 하는 자세를 먼저 갖추라는 의미로 들었다.
스스로에게 ‘이게 정말 지금 중요할까?’ ‘이거 말고 진짜 너가 하고싶은 게 맞아?’ 의 질문을 하면서
나 스스로 주도권을 가진 선택을 해야겠다.
매사에 열심히 하되 가족과 회사 등의 중요한 유리공들을 놓치지 말아야겠다.
꾸준히 오래 투자하기 위해 시급하지 않지만 중요한 운동과 독서를 꼭 챙겨가야게 겠다.
이러한 내용들을 꼭 BOD하우스에 반영해서 본질을 잊지 말아야겠다.
2️⃣ 딥마인드 대화하기 (BOD)
깨달은 점 : 내 안의 나와 믿음을 가지고 말을 걸고 대화해야 딥마인드 엔진이 돌아간다.
적용할 점 : 매일 저녁 목실감하면서 감칭반을 녹여낸다. 일요일에는 비잉노트를 쓴다.
최근 열기반 질의응답에서 주우이님이 이야기해주신 행복 10계명이나
권유디님이 실준반에서 이야기해주신 것처럼 불편한 진실을 피하지 말고 맞이해야 겠다.
매일 저녁 10시 30분, 나는 목실감을 쓰고 잠자리에 든다.
앞으로 어떤 수업을 듣는지 혹은 다른 일정 상 변동이 생길 순 있겠지만
이 루틴을 가져가면서 동시에 감칭반(감사, 칭찬, 반성)을 녹여내고자 한다.
그리고 매주 일요일 아침, 일주일에 한번씩 나와의 대화를 30분씩 하는걸 연습해 봐야겠다.
Being노트를 몇 번 써보니 다소 일기처럼 쓰게 될 수 있는데,
조금 더 대화형식으로 정리해야하는 것 같다.
내가 원하는게 뭔지 명확하게 질문하고 거기에 대하 어떤 부분에서 행복한지 대답한다.
그리고 Orgarnizing 단계로 넘어가 계획을 짜고 행동Doing한다.
3️⃣ 딥마인드 마인드 가지기
깨달은 점 : 결국 성공한 사람들의 마인드셋이다.
적용할 점 : 남 탓 하지 않는 습관을 가진다. 불행의 뒷면을 본다. 매일 감사, 칭찬, 반성 일기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