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독서후기 - 김미경의 딥마인드 [ 마이추 ]

  • 25.01.10

돈버는 독서모임 - 김미경의 딥마인드 (25.1)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김미경의 딥마인드

저자 및 출판사 : 김미경 지음 / 엠케이유니버스

읽은 날짜 :  25.1.10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딥마인드   #bod루틴    #나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본]

p.29  나의 두려움, 열등감, 불안함, 오기 같은 감정이 뒤엉킨 무질서가 시키는 일을 무질서하게 시작하나. 그리고 매우 열심히 실행함으로써 그 문질서를 오히려 ‘증폭’시킨다. 그것이 가장 열정적이고 결단력 있는 선택이라고 믿으면서 바로 이것이 내가 말한  ‘막사는 인생’의 실체다.

 

p.41 열심히 살다 보면 성공만 쌓이는 게 아니라 결핍도 쌓인다. 인생의 밸런스가 깨지면  가족, 인간관계, 건강 등 인생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망가져 버린다. 우리의 육체와 시간은 한정돼 있으니 당연한 이치다. 성공 레이스가 끝나갈 때에서야 거대한  ‘결필의 산’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그 순간 정체불명의 후회와 공허가 밀려든다.

인생의 귀중한 것들을 제쳐두고 과연 무엇을 위해 미친 듯이 달린건지 억울한 자괴감에 빠진다.

 

p.48 지금의 못 미덥고 부족한 나를 뛰어넘는 놀라운 답이, 그 래서 나는 남에게 묻지 말고 나에게 물으라고 진심으로 말했던 것이다. 그런데 인생은 참 아이러니하다. 정작 나는 삶의 가장 중요한 기로에서 내가 한 말을 지키지 않았다.

 

p.73 내가 나로 살지 못하고 잇의 수단이 되어 살게 되면 인생의 밸런스가 무너지기 시작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인생의 소중한 것들이 하나 둘 소리 없이 침몰한다. 공허는 예정된 결과다.

 

p.76잇마인드의 모체는 잇시스템인데 반해 딥마인드의 모체는 아이엠, 즉 나 자신이다. 잇마인드는 후천적으로 프로그래밍 되지만 딥마인드는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갖고 있다.

 

p.81잠든 딥마인드를 활성화하려면 답마인드에 최적화된 질문을 해야 한다. 바로 ‘감사, 칭찬, 반성’을 활용한 질문이다. 그중 나는  ‘감사’에 대한 질문을 가장 많이 했다.

 

p.83 딥마인드로 피드백 루프를 만들었다. 그것이 바로'bod루틴'  매일 딥마인드로 나 자신과 대화being하고 여기서 나온 미션을 스케줄에 오거나이징organizing하고,  몸으로 실행doing하는 것이다.

 

p.122 생각만 하거나 말로 할 때는 그냥 떠오르는 대로 나오지만 글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고의 깊이가 다르다. 그래서 나도 잘 몰랐던 나늬 속마음과 진짜 감정을 알 수 있다. 내가 오늘 느꼈던 복잡한 감정이 불안인지 분노인지 최책감인지 그 실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생각만 할 때는 내 감정을 감추고 미화시킬 수 있지만 글로 쓰면 팩트가 드러난다.

 

p.151 격차를 느끼고 그 차이르 메꿀 때마다 사람의 ‘격’이 달라진다 사람의 격이 높을수록 반성의 사이즈가 커지고 깊어진다 따라서 반성하는 실력이 늘수록 딥마인드 엔진도 함께 성장한다. 바꿔 말하면 반성할 게 없다는 것은 더 나은 나를 상상할 수 없다는 뜻이자 성장이 멈췄다는 얘기다

 

p.220 진정한 자기꼐발은 잇마인드를 주도적으로 컨트롤할 만큼 내 안의 딥마인드를 깨우고 진화시키는 것이다. 딥마인드가 성장하면 우리는 얼마든지 우리 자신만의 성공레시피를 만들 수 있다.

 

p.265 군더더기가 없이 선택과 집중이 분명해지니 일상이 가벼워지고 속도가 나며 심플해진다. 휴식할 시간과 생각할 시간이 더 많아지고 일의 퀄리티도 높아진다.

 

p.266 매일 내가 주도권을 쥐고 딥마인드로 인생 전체의 밸런스를 조율하면 내가 모르는 불행이나 복잡한 사건 사고가 휠씬 덜 생긴다는 사실이다. 잇마인드가 시키는 일을 허겁지겁 처리하다 보면 내 인생이지만 ‘나도 모르는 일들’이 생긴다.

 

 

[깨]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핵심 단어는

잇마인드  vs  딥마인드 이다

저자는 과거 잇마인드의 대가, 잇마인드에 의해 지배되는 삶을 살았다고 한다.

사실 나역시 대부분의 삶에서 잇마인드에 의해 행동했던 것 같다.  저자가 깨달았던 부분을 공감하며

딥마인드를 서서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저자가 말하는

BOD를 실행하며 딥마인드를 장착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Being : 나 자신과의 대화

Organizing : 설계, 조직, 기획

Doing : 실행

즉, 나 자신과의 대화로 나 자신의 본질을 찾아 미션을 조직화하고 몸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적]BOD를 실행하기 위해

감칭반(감사, 칭찬, 반성)으로 자신과의 대화를 먼저 실행해야 한다.

인생의 주도권은 나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이다.

  1. 매일 목실감을 쓰면서 나에 대한 칭찬을 통해 나 스스로 인정 받는 삶을 살아 갈 수 있도록 기록해 보자

  2. 잇마드가 아닌 딥마인드로 사회적으로 성공적인 삶이 아니라 내 인생에서의 성공을 위해 딥마인드 자동화 엔진 BOD를 적용해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여 보자

 


댓글


마이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