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6월 돈버는 독서모임 - 데일카네기 자기관리론
독서리더, 독서멘토

■ 마인드 ■ 자본주의·경제 | * 재독 여부 : 0 회차 | |
1. 책의 개요 | ||
책제목 | 원칙 | 저자 및 도서 소개 |
저자 / 출판사 | 레이달리오/한빛비즈 | 지구에서 가장 혁신적인, 그리고 원칙이 지켜지는 기업
브리지워터는 최근 몇 년 동안 지구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가운데 하나라는 평가를 들어왔다. 레이 달리오는 회사 운영에 있어 무엇보다 ‘원칙’을 고수하는 사람으로 유명한데, 브리지워터의 독특한 조직 문화도 달리오의 개인적 신념이 바탕이 되었다. 2005년부터 레이 달리오는 직원들에게 ‘Principles(원칙)’이라는 제목의 자필 안내서를 배포하고 필독하기를 권고했다. 이 글은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가 집단 및 개인으로서 추구하는 가치관들을 심도 있게 설명한다. 이 원칙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투명성인데, 예를 들어 브리지워터에서는 모든 회의 및 업무관련 대화 내용들을 녹화한다. 추후에 아무나 그 내용들을 다시 보고 들으며 객관적인 관점에서 배울 수 있도록 기록체계를 갖춘 것이다. 레이 달리오가 회사를 경영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자신만의 독특한 212개의 원칙은 브리지워터의 전 직원의 필독 자료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투자자들 및 기업가들에게도 필독서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레이 달리오는 은퇴를 앞두고 워터브리지를 40년 이상 세계 최고의 회사로 이끌어온 원칙을 일반 독자들에게도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
출간일 | 2018. 06. 18 | |
2. 나의 한 줄 평 | ||
핵심 키워드 | #목적 #효율성 # 성과 | |
점수 (10점) | 9 | |
3. 책갈피 | ||
p.90 | 깨: 실패하는 것은 극복할 수 있다. 적: 실패해도 포기하지 말고 실패 원인을 찾아 보는 것이 중요하다. | |
나는 아직도 실패가 두렵고 고통스럽다. 하지만 실패를 긴 관점에서 보면 나는 실패를 극복할 것이고, 대부분의 배움이 실패의 원인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보는 것에서 나온다는 것을 알고 있다. | ||
p.94 | 깨: 에고를 가지고 있는 것을 깨야한다. 적: 주관적인 생각이 휘둘리면 안된다. | |
우리의 편견이 객관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우리는 감정적이 아니라 분석적이 될 필요가 있다.
| ||
p.102 | 깨: 고통을 느끼는 건 나쁜게 아니라 발전할 수 있는 신호라고 생각하면 좋다. 적: 고통이 온다면 당연한거니 잘 이겨내보기. | |
고통에 올바르게 접근한다면 그런 고통을 느끼는 것은 운이 좋은 것이다. 고통은 당신이 해법을 찾아야 하고, 그 결과 발전할 수 있다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정신적 고통을 피하는 대신, 고통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자기성찰을 하게 된다면 고통은 빠른 학습과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다. | ||
p.107 | 깨: 약점을 찾는 사실에 뻐해야 한다. 적: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추자. | |
당신이 무엇인가를 잘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하더라도 화낼 필요가 없다. 오히려 약점을 발견한 사실에 기뻐해야 한다. 무엇을 못하는지 알고 이에 대응한다면, 당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 | ||
p.117 | 깨: 실패는 성공의 아버지다..! | |
모든 실수가 당신에게 무엇인가 가르침을 준다는 것은 좋은 점이다. 그래서 배움에는 끝이 없는 것이다. | ||
p.126 | 깨: 항상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는 수용적인 자세를 갖춰야 한다. 적: 내가 부족다고 생각하는 건, 적극적으로 배움에 자세를 유지하자. | |
당신이 알고 있는 것이나, 당신이 잘하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자부심을 갖고 있다면 당신은 많은 것을 배우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결국 더 나쁜 결정을 내리게 되어 당신의 잠재력을 모두 발휘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 ||
p.139 | 깨: 정확히 내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메타인지 하고 있어야 변화할 수 있다. 적: 알고 있다고 당연시 하지 말자. | |
우리 자신에 대해 더 잘 알수록 우리는 무엇이 바뀔 수 있고,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무엇이 변할 수 없고,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더 잘 알 수 있다 | ||
p.170 | 깨: 경험을 통해서 대부분 터득한다. 두렵다고 포기하지 말자. | |
훌륭한 의사결정자는 이 모든 단계를 암기하듯이 외우지 않고 기계적으로 실행하지 않는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른다. 야구선수가 높이 날아오는 공을 어떻게 할지 고민하지 않고 잡는 것처럼 이들은 시간과 경험을 통해 대부분의 의사결정을 반사적으로 내리는 방법을 터득했다. | ||
p.180 | 깨: 원하는 것을 추구하고 실패하면 자아성찰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변화할 수 있다. 적: 변화에 두려워 하지 말고 도전하는 자세를 가지자. | |
간단히 말하면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리고, 그런 의사결정을 내릴 용기를 얻는 방법은 a) 원하는 것을 추구하고, b) 실패한 후 극단적으로 개방적인 사고를 통해 성찰하며, c) 훨씬 더 유능해지고 두려움을 덜 느끼도록 변화하고 발전하는 것을 통해 배울 수 있다. | ||
4. 적용할 것 (BM) | ||
2. 수용적인 자세도 중요하지만 메타인지를 하는 게 더 중요함. 적용하자. 3. 운영진으로서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글로 적어보기. | ||
5. 연관 지어 읽어 볼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
책 이름 / 저자 | ||
돈/ 보도섀퍼 |
댓글
바쁘실텐데 책도 읽고 후기까지 쓰시느라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안힘드세요?? 통감님 ㅋㅋ 대단하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