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호혜의 고리로 성공할
호혜성입니다 :)
오늘은 실전준비반의 2주차 강의를 들으며
제가 들으면서 느낀 점과, 앞으로 어떻게 배운 것을 제 삶에 적용할지에 대해
후기로 남겨보겠습니다.
[간단한 목차]
1. UBR
2. 수리비용 암기와 인테리어의 찐 의미
3. 수직적 비교평가
1. UBR
코크드림 멘토님의 설명 중 이번 강의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은 바로
UBR이었습니다.
UBR이란 Unit BathRoom의 약자로
욕실을 구성하는 설비를 각각 개별적으로 만든 것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90년대 아파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라고 하며
이런 욕실은 구축 투자를 고려한다면 꼭 수리를 해야 할 부분이기에
반드시 알아야겠다 생각해 이렇게 후기에 적고 기억하고자 합니다.
나에게 적용할 점: 90년대 구축 볼 때 UBR 필수 체크하기!
2. 수리비용 암기와 인테리어의 찐 의미
코크드림 멘토님은 인테리어의 전문가답게
집의 모든 파트의 수리비용을 암기하기 편하도록
한 슬라이드로 정리해 알려주셨습니다.
예전에 똑같은 내용을 수강할 때는
이 부분을 중요하다고 생각 못 하고 지나갔었는데
수리비용을 알고 모르고의 차이가
이제는 내 투자와 직결된다는 걸 느껴서
이번에는 이렇게 후기로 적을 뿐만 아니라
해당 슬라이드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해
제가 자주 볼 수 있는 드라이브에 업로드하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서 보려고 합니다.
나에게 적용할 점: 수리비용 총정리 슬라이드는 드라이브에서 꺼내보기!
3. 수직적 비교평가
코크드림 멘토님이 설명하신 내용 중 이전과 다르게 다가온 게
바로 이 수직적 비교평가 부분이었습니다.
그동안 제가 임장을 다니고 비교를 위해 다닌 지역을 보니
수평적 비교평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런데 수직적 비교평가는 비슷한 권역이지만
상, 하급지의 비교를 통해 만약 각 급지 단지 가격이 같다면
상급지의 단지가 저평가이며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걸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의 임장에서 이 수직적 비교평가를 바로 적용해
비슷한 급지로만 다니기보다는 레벨의 차이가 있는 지역을 다니면서
상, 하급지의 비교를 통해 보다 명확한 가치 비교를 할 수 있도록
실천으로 옮겨보고자 합니다.
나에게 적용할 점: 상, 하급지 간의 수직적 비교를 해보자!
끝맺으며,
코크드림 멘토님은 이번 2주차 강의에서
서울, 수도권, 지방의 여러 단지에 대한 예시와
멘토님의 투자사례를 적절히 곁들여 말씀하시면서
특별히 인테리어에 강점을 갖고 계셔서
인테리어 부분에 대해서 매우 인상적으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인테리어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게 해주신 코크드림 멘토님께 감사드리며
추후 기회를 만들어 멘토님의 인테리어 특강도 꼭 들어보겠습니다.
이것으로 오늘의 수강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