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랭시] 월부챌린지 281회 진행중 : 1월 16일차 #3 [신문기사]

 

✅ 신문기사 정리

  • 24년 12월 서울 아파트 매물 8.7만건 대비 25년 1월 8.9만건으로 2,000건 가량 증가했다.
  • 대출규제 강화, 탄핵 정국, 영끌족 매물, 매수세 위축 등으 이유로 매물이 증가하고 있다.
  • 마포구는 12월 대비 4.1% 늘어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 송파구 3.1%, 중구 3.1%, 강동구 3.0% 순으로 증가폭이 컸다.
  •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100기준)이 25년 1월 6일 기준 97.0으로 전주 대비 0.3포인트 하락을 보이는 등 매물 적체 현상은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 관망세가 확산되면서 ‘매수자 우위 시장’이 연출될 것이다. 

 

✅ 생각 정리

  • 24년 여름만해도 날아가는 아파트값에 다들 허무해하고 불안해했던 게 기억난다.
  • 불과 반년마다 각종 규제와, 정국 등의 이유로 시장이 또 반전되었다.
  • 매물 증감의 기준 날짜는 다를 수 있겠지만 아실 기준으로 서울시 매물 증감이 가장 많은 곳은 금천구이다.
  • 기사의 마포구는 (아실 기준) 24년 12월 31일부터 25년 1월 15일 기준 1% 증가했다.
  • 매물 개수로는 48개 증가한 것으로 큰 수치가 아니다.
  • 현재 내 눈높이로는 매물 개수가 많은지 적은지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시장 분위기가 급격히 반전되는 추세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 또한 마포구를 퉁쳐서 볼 것이 아니라 생활권별로 쪼개서 봐야할 것 같다.
  • (앞마당이 아니라 잘 모르지만) 마포구 중동, 공덕동, 창전동 등으로 나눠서 보았을 때 22년 매물 최대였을 때 대비 현재 매물이 많은 곳은 중동>공덕동>창전동이다.
  • 기사의 내용은 마치 마포구가 가장 매물 개수가 많이 늘어났고 거래가 안되는 곳처럼 보여지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전국과 서울 전반적인 움직임이고 마포구 안에서도 세세하게 나눠지는 걸 볼 수 있다. 
  • 서울부동산원의 자료를 보면 서울은 아직 보합의 추세이고 하락전환을 하려는 흐름이 보인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 !24.12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보고서.pdf

    다운로드

댓글


호상이user-level-chip
25. 01. 16. 07:16

호랭시님 좋은글 감사합니다! ^^

민민이user-level-chip
25. 01. 16. 07:23

호랭시님 매일아침 기사정리 감사합니다!^^잘보고 있어요

꿈꾸는욤user-level-chip
25. 01. 16. 07:49

호랭시님~ 기사정리 감사해요! 하나 더 배워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