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용맘맘맘] 2025년 붇4ㅗㅇ산 시장 전망분석 상승일까요? 하락일까요?
https://weolbu.com/community/2340253?inviteCode=05F362&utm_source=user_share&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user_share_button
[본]
1. 2025 부동산 시장 전망
1) 최근 수동권 주택동향
- 2024년 8월 기준으로 가격지수 상승을 멈췄고
- 심리지수를 보면 2025년 1월 기준으로 매도자가 더 많은 매수자 우위시장으로 심리가 바뀌었다.
- 최근 매물임장 - 절대 꺽이지 않던 단지조차 매도자의 상화엥 따라 급매물건들이 하나둘씩 나오고
- 투자자 혹은 실거주자들이 하나둘씩 거래 이어가는 패턴.
2) 분위기가 갑자기 바뀐 이유
정치적 불안정, 경제 불확실성증가에 따라 관망 확산 -> 매매가 하락.
2. 2025년 주택시장 전망 하락요인 - 경제성장률
- 트럼프 정부 출범 - 관세 부과 및 보호 무역주의
- 25년 경제성장률 2%대로 악화 - 저성장기조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
- 고환률로 인한 고물가 및 내수 경제 악화.
- 정치적 불안정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 우려.
- 균형 재정 고수에 따른 긴축 기조와 수출 경쟁력약화
- 건설 경기 침제 등으로 상반기 중 경기 침체 가속화
3. 2025년 주택시장 전망 상승 요인 - 금리와 공급
(금리)
-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 기조에 따른 한국은행 긂리 인하 가능성.
- 한국은행 기준금리 3%대로 10월 11월 2번연속 인하 이후 1월 동결.
-> 전반적 기조로는 결국 김리 인하
-> 속도의 문제이지 방향은 인하 기조.
(공급)
- 24년 브릿리론과 PF시장 악화로 조달금리가 너눔 높아 민간의 주택건설사업착수가 어려운 상황
4. 상승할까? 하락할까?
- 투자는 결국 내가 결정하고 내가 책임지는 과정.
- 어느 누구도 책임져주지 않는 아주 냉정한 사실
- 언제 투자할까가 아니라
전화임장 죽어도 하기 싫어도 그래도 전화해보고
매물임장 오늘은 쉬고 싶어도 그래도 발걸음을 옮기면서
내맘대로 되는게 단 한개도 없더라도
내가 흘린 딸만큼 가져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언제든 후회 없을 만큼
과정에 인풋을 넣고
결과를 취득하는 게 마음이 편하다는 겁니다.
괜찮아 난 최선을 다했기에 잘 지켜내면 되는거야
분명히 가치있는 단지를 샀어
저는 투자활동을 하는 과정이 바쁠수록
정신이 없을수록 일부러 시세를 봅니다.
임장을 더 가려고합니다.
내가 그동안 노력했던 과정이
헛되지 않다는 걸
지금 당장도 바로 달려가서
살 단지들이 골라진다는것을 느끼기 위해서입니다.
시장이 어떻든,
상황이 어떻든
언제 어디서나 투자할 수 있는사람이 되도록
내가 노력을 하고 있는지?
지금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
그 과정에 흘리는 땀과 눈물을 의심하지 않고 하는 행위가
결국 결과를 만들고,
또 결과를 만든다는 사실입니다.
[깨]
안되다고 무기력해지지말고 그럴수록 더 시세보고, 임장가고, 전임해야한다는걸 다시금 배우게 됩니다.
지칠대로 지쳐있지만, 이럴때 더 한발 디디도록 하겠습니다.
[적]
1. 지칠때 하기 싫을때도 시세보고 전임하고 임장가기.
2. 매도가 안되어 매수가 불안하다고 매임포기하지말고, 매도를 위한 전임도 부동산 방문도 한번이라도 더 하기.
3. 언제 매도 될지 모르니 끈을 놓지말고 단지 찾아두기.
[부싯돌] 1등광역시 신축84에 투자했습니다.(3탄)
https://cafe.naver.com/wecando7/11407604
[본]
1번째협상
- 짐많고, 타일깨져있고, 전등커버 찢어져있었음.
- 부사님 자체적으로 1천만원 네고 ( 부사님에 대한 믿음생김)
- 1차 네고 시도 목표 매수가보다 2천만원 적은 금액 얘기함.
=> 한방에 오케이된 적이 없으므로 진짜 사다고 생각한 금액으로 바로 네고 시도.
- 감정호소 -> 집주인 펄쩍뜀.
2 재협상
부동산에 어필.
1) 비선호동 저층 거래 안됨
2) 타일 등 일부 수리 필요한 점
3) 세입자 거주중이라 실거주 매수 어려운 점 어필
협상카드
-> 1.화장실수리부담
2. 급히 돈이 필요하다기에 잔금빨리 + 계약금 + 중도금 일부 협상
=> 원하는 금액 아니었으나 호가보다 3천만원 내린 금액.
=> 고민한다고 금액에 대해 고민
=> 원하는 금액만큼 내려옴
더 네고 진행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점
1) 집주인이 물건 거둘 가능성. -> 자료 교육비로 매도 희망 -> 거두지 않을거라 생각.
2) 세입자 매수 가능성 -> 법인세입자
3) 다른 투자자, 실거주자. -> 장부물건
2~3일 지나 사장님게 다시 연락.
1. 남자친구의 반대
2. 해줄 수 있는 것은 장기수선충당금 부담
-> 일잘러 부사님 덕분에 2백만원 더 싸게 매수
<복기>
1. 시장상황파악
2. 경쟁자파악
3. 일잘하는 부사님
+운
-> 수도권 투자를 선택하지 않고 하는 선택, 강의에서 나오는대로 매코 비용만큼 깍아보겠다는 생각으로 끈질기게시도.
[깨]
매도 중에 있어 매수하는 부싯돌님의 입장보다 매도자의 입장이 더 이해가 되는 글이었습니다.
투자자가 좋아하는 물건이 되어버린 제 0호기에 대해 부싯돌님 글로 돌아봤습니다.
1번째 협상
- 부싯돌님처럼 시도하신 분이 있으셨습니다.
- 저도 펄쩍뛰었고, 듣고있던 남편이 소리지르는 바람에 종료되었습니다.
2. 재협상 ( 집보러오는 분들께)
1) 비선호동의 로얄층입니다. - 거래 안되다는 걸로 많이 어필하심
2) 타일 등 일부 수리 필요한 점 - 네고 가능하다고 말씀드림
3) 세입자 문제가 있어 내보내기로하고 퇴거확약서 받음.
3. 더 네고진행했을때 발생할수있는 점
1) 물건 거둘까 고민이 되나 다른 곳에 투자하기위한 매도라 진행하려고합니다. (하지만, 거두고 싶은마음 굴뚝같아요 ㅜㅜ 대출 풀로 알아볼까함)
2) 세입자 매수가능성 - 없음.(집을 왜 사야하는지 모르는 분)
3) 다른 투자자, 실거주자 -> 몇십군데 뿌려서 가능성있음.
<매도 진행 복기>
1. 시장상황파악 -> 처음엔 희망희로 돌리다가 이제야 제대로 파악하고있습니다.
2. 경쟁자파악 - 네이버부동산 털어서 기록하고 파악하고있습니다. ( + 일잘러 부사님이 경쟁물건 보여주심)
3. 일잘하는 부사님 - 전임과 매주 방문으로 일잘러 부사님이 어느분인지 파악가능.
+ 운 ????? 제발 운이 더해지길
[적]
1. (매도)투자자들의 접근방법을 알고 대응하기.
2. (매도) 네고가 들어왔을때 어디까지 가능한지 미리 확인하기.
3. (매도)네고 금액 또한 더 후려치는 금액임을 알고 대응하기
4. 시장상황 파악하기.
5. (매도)경쟁자파악에 더 신경쓰기.
6. (매수)포기하지 않고 협상하기.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저도 매도 진행중입니다. 경자님의 진행사항이 너무 마음에 와 닿네요 저도 이 프로세서로 진행해보려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