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아윌두잇] 부동산트렌드2025 (25.02 돈독모) #3

  • 25.02.04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외, WISE MAP

읽은 날짜 : 2025/02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슈퍼사이   #  N파고W파고  # PF사태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서울대학교 지리학 학사, UC 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도시계획·부동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스턴 소재의 상업용 부동산 리서치회사 PPR에서 오피스 가격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글로벌 부동산을 연구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 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협동개발 등이다.

지은 책으로는 빅데이터로 부동산 시장을 분석한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와 『부동산 메가트렌드 2020』, 도시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 『도시개발, 길을 잃다』, 익선동의 가치를 재조명한 『리씽킹 서울』, 북촌을 개발한 기농 정세권 선생을 다룬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등이 있다.

〈조선일보〉에 월 1회 ‘김경민의 부트캠프’를 연재하고 있으며, SBS 〈교양이를 부탁해〉, MBC 〈손에 잡히는 경제 플러스〉, KBS 〈머니올라〉 등 다양한 미디어에 컨트리뷰터로서 정기적으로 출연 중이다. ‘김경민의 노트’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부동산 트렌드에 관한 정보를 공유한다.

 

 

2. 내용 및 줄거리

 : 

Part1. 2024년 부동산시장

-전세가격 상방압력, 빌라 전세가격상승 → 아파트 전세가격상승압력

-입주물량감소, PF문제

-서울아파트 골든크로스

-장기이동평균선과 단기이동평균선이 만나는 곳에서 슈퍼사이클 예상

 

Part2. 

-N파고: 상승-조정-재상승 / W파고: 21년 전고점 돌파

-강남,분당,수지: 강남과 분당은 오르고 있지만 수지는 상승률이 덜한 상태임

-강남구와 노원구 비교: 상승의 시차 존재, 고가 시장에서는 권역동조화 현상/ 중저가 시장에서는 비동조화

 

Part3.

시공비는 내려간 적이 없이 계속 오른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인건지, 자재비, 기타비용증가

전세가격 상승의 원인: 인플레이션, 입주물량부족, 빌라포비아(전세사기)

 

Part4.

대장단지 12개: 모두 가 볼것

-대장단지들은 전 고점을 돌파하며 상승하고 있다

-금리인하는 시간문제→ 부동산 가격 상승요인

-거래량과 매매가격이 동시에 증가

-강남 3구의 상승세 전이

-신축아파트의 상승세 퍼짐

-역대 최악의 공급부족 예상

 

Part5.

서울 집값 시나리오… 

가격상승의 시작은 강남, 서울시 전체 아파트의 장기적 누적상승률은 강남 강북 크지 않다.

종부세 폐지하고 재산세를 올리자(알래스카보다 낮은 서울 아파트 재산세)

 

Part6.

주목해야할 플레이스들 소개: 홍대

전세사기 원인: 정보비대칭성/중개인도덕적해이/모니터링부재/제도자체리스크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저자의 관점에서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2025년에 서울 아파트 집값의 대세 상승장을 예측했다. 데이터에 대한 근거를 정리하면서 주장을 전개하여 어떤 맥락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고, 몰랐던 PF 구조에 대해서도 이해해보고 새롭게 알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새로운 인사이트를 데이터를 통해 전달하고 있어서 어느정도에 객관성이 확보되는 점이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서울 공급이 유래없이 줄어든 이 시기에, 어쩌면 수도권을 보고있지만 서울에도 기회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반대로 서울이 상승장일때 현재 가격이 바닥인 부산,대구와 같은 지방에서 기회를 얻을수도 있겠다.

기회를 잡을 수 있게 최근 소홀했던 서울 앞마당을 늘리고 전임-시세 루틴을 서울에서도 챙겨야 하겠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250

:서울시 전체 아파트의 장기적 누적 상승률을 보면 강남과 강북간 크지 않다. 어느지역간의 가격 변화를 비교할 때 누적상승률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이유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2025 결국은 부동산


댓글


루공
25. 02. 14. 13:03

후기 잘보았습니다 아윌두잇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