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습관_아주 작은 습관의 힘] 2/5-6_"편안할 때만 명상하는 사람이 되지 말라"

1만 시간의 법칙은 틀렸다.

  • 습관 형성에서 시간은 어떤 효력도 없다. 21일이냐, 30일이냐, 300일이냐는 중요하지 않다.
  •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은 횟수다.
  • 습관을 자동화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을 들였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그 과정이 이뤄지는 데 필요한 만큼 그 행동을 취했느냐가 중요하다. 

 

터무니 없을 만큼 사소할 것

  • 45킬로를 감량한 한 남자는, 체육관에 가서 5분 동안 운동을 하고 시간이 다 되자마자 그 곳을 떠났다. 몇 주 후에 그는 주위를 둘러보면서 생각했다. ‘ 어쨋든 난 항상 여기에 오고 있어. 좀 더 오래 있어야 할 때가 된 것 같아'

 

습관 추적은 만족스럽다

  • ‘해야 할 일’ 목록에서 한 가지 항목을 지우는 것, 운동 일지에서 시작했음을 표시하는 것, 달력에 x 표시를 하는 것은 만족감을 준다. 결과가 성장하고 있음을 눈으로 보는 것 만으로 기분이 좋아진다. 기분이 좋다면 참고 견디기도 더 쉽다.
  • 우리에게 행동을 일깨우는 시각적 신호를 만들어내고
  • 자신의 발전을 눈으로 보고 이를 되돌리고 싶지 않다는 내적 동기를 일으키며
  • 성공적으로 습관을 수행하고 기록하는 순간순간 만족감을 느끼게 해준다. 나아가 우리가 원하던 사람이 되어간다는 시각적 증거를 하나씩 쌓아나감으로써 우리에게 즉각적이고 본질적인 만족감을 준다.

 

골디락스 법칙

  • 인간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적합한 일을 할 때 동기가 극대화 되는 경험을 한다. 지나치게 어려워서도 안 되며 지나치게 쉬워서도 안 된다. 딱 들어맞아야 한다.
  • 새로운 습관을 시작할 때는 그 습관을 가능한 한 쉽게 유지해야 한다. 그래야 상황이 완벽하지 않아도 그 습관을 계속해나갈 수 있다. 

 

전문가와 아마추어의 차이

  • 전문가는 스케줄을 꾸준히 따른다. 아마추어는 삶이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둔다.
  • 전문가는 일정을 따르고, 아마추어들은 되는 대로 한다.
  • 전문가는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알고 목표를 향해 꾸준히 작업해나간다. 아마추어는 삶에서 어떤 일이 급박하게 일어나면 진로에서 벗어난다.
  • “편안할 때만 명상하는 사람이 되지 말라” 어떤 습관이 자신에게 정말로 중요하면 기분이 어떻든 그 습관을 계속하려고 한다. 전문가들은 기분이 영 아닐 때조차 행동을 취한다. 그것이 즐겁지 않더라고 그걸 계속할 방법을 찾는다. 우리는 지루함과 사랑에 빠져야 한다.
  • 차이를 만들어 내는 건 그 일이 흥미롭지 않을 때도 계속해나가는 능력이다.
  • 어떤 일을 탁월하게 해내는 유일한 방법은 그 일을 하고 또 하는 것에 끝없이 매력을 느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그 동안 아마추어였다! 되는 대로 했고, 삶이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두었음에 가깝다.

 


댓글


고래거북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