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독모_검파] 부동사트랜드2025 독서 후기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트렌드2025 / 김경민

읽은 날짜 :  ~2025. 02.06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슈퍼사이클   # 공급부족   #전세매매거래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방대한 자료를 잘 정리하고 있지만, 내용을 갈무리해서 인사이트로 정리해 주는 부분이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2. 내용 및 줄거리

 : 서울 부동산 시장이 골든크로스를 맞이했고, 아파트 공급 부족이라는 외부 환경으로 아파트 가격은 전고점을 돌파하게 될 것이다. 공급이 부족한 상황임에도 정부는 PF 사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고, 더욱이 금리 인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 모든 상황이 아파트 가격의 상승을 가리키고 있다.

서울 시장 / 지방 시장, 서울에서도 강북/강남, 고가/중저가 시장 모두 각자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부동산 투자에 대한 다시 한 번 확신할 수 있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서울’의 가장 강력한 핵은 ‘강남’이 맞지만 궝역별 특성에 따라 강남 가격 변화에 다르게 반응한다는 점!

“골든크로스”라는 개념!

‘아파트’라고 하는 투자 상품에 대해 주변 정보들 : PF 사태와 공급 절벽, 개발 비용에서 토지 가격의 비중이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해 서울과 지방의 차이 등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000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 (전자책)

단기간(5년 이내)에 일어날 수 있는 ‘정해진 미래’는 서울 아파트의 경우 (1) 역대급 공급 부족이 3~4년간 지속될 것이고, (2) 동기간 금리가 낮아진다는 것이다. :  Part3 / 퍼펙트스톰_공급 부족과 금리 인하의 협공 / 모든 지표가 ‘상승’을 가리킨다

 

셋째, 부동산 사이클이 짧아진다. 2010년대의 하락기는 38개월(2010년 1월 초 ~ 2013년 2월 말)간 이어졌으나, 2022~2023년의 하락기는 26개월로 앞선 하락기의 3분의 2 수준이었다. : Part3 / 슈퍼사이클_서울 아파트 대세상승의 신호탄 /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주는 인사이트

 

‘슈퍼사이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만큼, 필자는 서울의 많은 지역이 전 고점을 뛰어넘으며 상승할 것이라 보고 있다. 2023년의 직전 고점은 물론 2021~2022년의 역대 최고점을 돌파하는 것도 시간 문제라 본다. : 프롤로그_2025년 부동산 시장이 특별한 이유

 

현 전고점을 뚫고 올라갈 가능성이 있을 정도면, 상승장에서 추격 매수를 하고 싶은 마음이 커질 것 같다. 하지만 전에 비해 사이클이 더 짧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조심할 필요도 있겠다. 전고점 가격 대비 호가가 많이 회복한 단지를 추격매수 할 때 주의해햐 할 점은? 하락장에서 투자하는 방식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댓글


user-avatar
루공user-level-chip
25. 02. 14. 12:59

검파님 후기 잘보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