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기 15기 107조 10션쩌는투저7ㅓ인들 스페스] 2강 강의 후기

  • 23.11.22



안녕하세요, 희망찬 미래를 꿈꾸는 투자자 스페스 입니다.

어느덧 지기반 강의도 절반을 돌아가는 2주차에 접어들었는데요


이번 지방투자 기초반 2주차 강의는 제가 지투실전반에서 강의들으며 완전 팬이 된!

게리롱 튜터님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확 달라진 지방투자기초반 답게 새로운 A지역에 대한

지역분석을 진행해주셨고,


'아 지방은 이렇게 보는 거구나' 라는 생각이 들 만큼

거대한 어깨에 올라탄 마냥 A지역, 아니 나아가 지방을 보는 눈을 알려주셨습니다.



○ 이번 강의 중 꼭 남겨야할 1가지 : 【 데이터를 보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내기 】


이번 강의를 통해서 내가 사전임보 때 조사한 내용이 어떻게 투자랑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해당 기준이 위치에 의한 독점성이 있어 투자 수요를 불러일으키느냐는 요소인지 염두해두면서 봐야하고

생각하고 이를 정리해야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인구 ]

사람들의 거주 선호도가 높은 곳은 어딘지 파악

> 확인할 데이터 : 세대당 인구수 (4인 가족 비율이 높은 곳을 찾고), 인구 연령비 (젊은 사람 비율이 높은 곳)

> 해석 예시 : 신규 택지가 개발되면 거주 선호도가 신규 택지로 이동 (연식이 중요한 요소이다)


[ 직장 ]

소득 수준을 짐작하고 일자리의 위치가 선호요소에 반영되는 지를 파악

> 확인할 데이터 : 업종별 종사자 수 비율, 주요 일자리 위치, 주 직장에서 통근 가능 지역까지 거리

> 해석 예시 : 주거지를 선택할 때 일자리 접근성이 크게 중요하지 않는다.


[ 학군 ]

지역 내에서 학군에 의한 수요를 흡수하고, 나아가 지역 외에서도 끌어드리는 요소인지를 파악

> 확인할 데이터 : 성취도 평가, 학원가 위치, 선호 초등학교 위치, ★인근 지역에 학군 현황

> 해석 예시 : 다른 중소도시에 비해 학군이 떨어지지만 인근 지역에서 학군 때문에 들어오려는 수요가 있다.


[ 환경 ]

사람들은 불편한 건 못 참는다. 이용하기 편리한 상권이 주변에 있어야 하고 좋은 단지 그 자체로 환경이다.

> 확인할 데이터 : 백화점과 주요 상점의 위치, 택지지구 지정 여부

> 해석 예시 : 신축 대단지 (브랜드) 그 자체로 사람들이 선호한다.



○ 이번 강의를 통해 나는?


나만의 투자원칙을 분명하게 세워야한다.


어느 지역이나 일관된 체크리스트가 아닌,

지역을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투자 우선 순위를 세우고 (선호도 우선 순위)

각 순위별로 상세하게 투자 의사결정 기준 (잃지 않으면서, 투자금 대비 충분한 수익률을 얻는 것)을 세운 뒤

내 상황에 맞는 물건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 (내 상황 속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를 하는 것)


그리고 명심해야할 것은 투자의 핵심은 '저평가된 물건을 싸고, 적은 투자금으로 투자하는 것'


아무리 좋은 물건도 비싸게 주고 사면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마지막 문구 따라쓰기


부동산 투자를 배우기 위해 시작 했지만,

이제는 내가 진정으로 원하기만 한다면,

꿈꾸는 모든 것을 이뤄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은 언제나

돌다리에 첫 발을 내딛는 것부터 였어요.


여러분이 바라는 꿈들을 진정으로 원해보세요

자신있게 첫 발을 내딛으시길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


스페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