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누리S2] 재테크 기초반 5기 125조_1주차 과제_육아휴직 부부의 재테크 수비법

 

 

과제라 쓰고 반성문이라 읽는 그런 과제..

 

슬프게도 저는

 55% 저축률 실행 불가한 이유를 

먼저 이야기 해야할 것 같습니다.

 

………..

 

일단.. 

현재 저랑 남편 모두 육아휴직 중이라 

소득이 크게 줄었습니다. 

(남편은 5월에 복직 예정)

 

6+6 육아휴직 중이라 하반기에는 

원래 받던 급여 수준까지 올라가서

숨통이 트이긴 하지만 

올 상반기는 정말 어렵네요ㅠㅠ

 

그리고 더 큰 문제는 장기 할부/렌탈입니다.

아기 태어난다고 차도 사고

공기청정기도 렌탈 시작했어요..

* 자동차 할부금 : 월 107만원

* 공기청정기 렌탈료 : 월 3만원

 

………..

 

소득은 줄고, 고정 지출은 늘어난 상황..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6+6 육아휴직급여를 받는 경우

소득도 일정하지 않죠.

 

그래서 육아휴직 기간인 2025년은

“실행”에 의의를 좀 더 두고

연 저축률 40%

목표로 가계 예산을 짰습니다.

 


 

1단계 : 지출항목 별 목표 금액 정하기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저희 부부는 육아휴직 중이라

2025년 소득 편차가 꽤 있습니다.

 

그래도 연 중 예측 가능한 금액이므로

2025년 현금흐름을 먼저 파악하고

 

연 저축률 40%

목표로 요리조리 머리 굴린 결과

 

(소득이 너무 작고 소중해서 가렸어요..ㅎ)

 

아슬아슬하게 

저축 계 / 소득 계 = 41%

나왔습니다.

(기쁜데 슬픈ㅠㅠ)

 

 


 

지출항목 별 예산

 

1. 생활비 : 1,769,354

- 관리비/공과금 : 330,000

- 식대 및 생필품 구입 : 1,005,000

(기저귀/분유 값만 555,000)

- 3인 보험료 : 434,354

 

저희 부부는 어제

알뜰 요금제로 변경했습니다.

월 통신비를 20만원 → 월 5만원

15만원이나 줄일 수 있었어요!!

 

 

2. 활동비 : 510,000

- 각자 용돈 : 200,000

- 주유, 하이패스 등 : 80,000

- 기부금 : 30,000

 

가장 힘든 3월 빼고는

각자 용돈에서 대중교통비품위유지비

해결하기로 했어요..!

 

육아휴직 중이라 거의 집에만 있고

남편이 복직하더라도

식사는 회사에서 먹기 때문에

가능한 예산인 것 같습니다.

 

올 해 저는 옷 안사기,

펌/염색 안 하기로 다짐했습니다 (^_ㅠ)

 

그리고 둘 다 술/담배 안 하는 것이 

가장 큰 절약 포인트네요!

 

 

3. 교육비 : 500,000

 

남편이 2월에 월부 쿠폰을 사 두어서

3-4월은 쿠폰을 사용할 예정이라

따로 예산을 안 잡았어요.

 

5-6월은 복직 후 계속 출장 일정이 있어

강의를 수강하지 못하는 관계로

도서비 정도의 예산만 잡았습니다.

 

그 이후에는 소득의 5% 정도인

50만원을 매 월 편성했습니다.

(복직 후 비중을 좀 더 늘리려구요)

 

추석에 상품권 이벤트 또 했으면 좋겠어요!!

 

 

4. 고정지출

* 주거비 : 대출이자

* 할부 :  자동차 할부금, 공기청정기 렌탈료

 

예산이기 보다는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 ^

월 고정지출 입니다.

 

 

5. 비정기지출

- 경조사 

- 자동차보험 / 자동차세 예비비용 

- 8월 주민세

 

소득이 적은 상반기에는

실제 발생 예정인 경조사비

정도만 예산을 잡았어요.

 

한 번에 목돈이 들어가는

자동차보험 / 자동차세

조~금 여유 있는 하반기에

예비비라는 항목으로 

5개월 / 6개월 동안 

일정 금액을 적립하는 방법으로

예산을 짰습니다. 

 


 

2단계  : 각 지출항목 별 계좌를 정하고 체크카드 연결

 

  

 

 

저희 부부는 육아휴직 급여 포함해서

여러 날짜에 걸쳐 들어오는 수입이 있어요.

 

이럴 경우 매 월 1일 세팅을 위해

파킹통장을 이용한다고 하더라구요!

 

 저는 케이뱅크 플러스박스(2.2%)

에 모아두었다가 매월 1일에

각 지출항목 별 계좌에 뿌리는 방식

으로 통장을 쪼갰습니다!

 

하나은행에서

가입 후 1년 동안 최고 연 3.0%

금리가 적용되는 파킹통장이

특판으로 나왔더라구요!

#달달하나통장

 

저는 이번 달 안에 계좌 개설해서

교육비랑 연결해 보려고 합니다! 

 

….

 

생활비 통장은

사용 목적 별로 2개를 만들었어요.

 

* 생활비1 (케이뱅크)

- 온라인 장보기 전용

 

* 생활비2 (농협은행) 

- 오프라인 장보기 전용

- 관리비 / 보험료 자동이체

(전세대출 금리우대 자동이체 실적 달성)

- 공과금 / 통신비 카드납부

(전세대출 금리우대 카드 실적 달성)

 


 

3단계 : 인증샷 남기기

 

1. 신용카드 자르기

 

저는 신용카드 4개 중에서

사원증 겸 복지카드인 현대카드를 제외하고

 

자동차 살 때 썼던 모빌리티카드

후불 하이패스카드

전세대출 우대금리를 위한 신용카드

를 해지했습니다.

 

전세대출 우대금리를 위한 카드실적은

체크카드로도 가능하더라구요!!

 

 

2. 지출항목 별 체크카드 연결 

 

일단은 현물로 가지고 있는 카드에

연결해 봤어요.

 

조금이라도 혜택이 좋은 체크카드로

아래와 같이 모두 변경 예정입니다.

 

* 생활비2 : NH1934 체크카드

* 활동비 : 카카오 모임통장카드

* 교육비 : 하나은행 달달하나통장 체크카드

 

 

 


 

통장 쪼개기 하면서 느낀점

 

그동안 가계 예산을 고정비 / 변동비

정도로만 구분해서 파악하고 있었는데

 

통장 쪼개기를 해보니

각 지출 항목 별로 얼만큼 쓰고 있는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목표한 저축률을 달성하기 위해

택시 / 배달음식 / 구독료 / 통신비

돈을 줄일 수 밖에 없더라구요.

 

카카오택시 / 배달앱 / 넷플릭스 삭제,

알뜰요금제 가입으로

생활비 예산을 100만원 이상

줄일 수 있었어요!

 

중간 중간 지출내역을 점검하며

합리적인 소비를 위해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주의해야할 지출 항목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지출 항목은

비정기지출

인데요..

 

특히 경조사가 문제입니다..ㅠ

 

남편과 저 둘다 장남/장녀라

작년에 양가 생신과 명절에만

최소 300만원 정도 썼더라구요.

 

밖에서 식사할 때도

저희 부부가 결제하기 때문에

실제 지출한 금액은 더 클 것 같아요.

 

올해는 예산대로 하면

작년처럼 똑같이 챙겨드릴 수 없을 것 같아

마음이 좋지 않습니다..ㅠ_ㅠ

 

올 해는 아기 돌잔치도 있어서

연 비정기지출이 5% 넘을 것 같아요.

 

그래도 항목별 비중 보다는

저축률 40%를 지키는 것을 목표

2025년 지혜롭게 헤쳐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user-avatar
체크메이트user-level-chip
25. 02. 11. 22:43

지출구조를 해체하고, 정리하고, 교정하느라 오랜 시간 걸리셨을 텐데.. 고생 많으셨습니다. 앞으로 저축률 55% 되는 그날까지 곧누리님의 여정을 응원합니다!💛

user-avatar
튼튼2user-level-chip
25. 02. 12. 08:32

우와~ 신용카드 자르시고 통장쪼개기 까지 완벽히 하셨네요 ~~ 곧누리님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