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제파트10입니다.
1주차 강의를 들을때는 많은 깨달음과 반성을 반복하며 강의를 들었는데,
다 듣고 난후 실행에 옮기다보니 쉬운게 아니었어요.
아직도 진행 중이고요. 그래도 한 발짝 한발짝 나아가고 잇으니 다행이예요.
1단계 : 지출 종류별로 목표 금액 정하기
먼저, 1단계를 하기 위해서는 나의 지출내역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었어요.
카드 사용내역과 지출내역등을 일목요연하게 풀어 헤쳐봤어요.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무엇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았죠.
1). 지출내역 파악하기
분석해본 결과 …
지출내역이 제일 많은 항목은 [보험료]였어요.
강의에 나온것 같이 40대에 맞는 [보험료]로 맞춤설계를 해야겠다고 마음먹고 정리중에 있어요.
2) 앞으로 지출 종류별 목표 금액 설정해보기
지출결과에 따라 지출항목 별 목표 금액을 설정해 보았어요.
일도 하고 살림도 하고 아이도 키우는 제가 활동비는 더 가져가기로 한건 비밀입니다.
2단계 : 각 항목별 통장 계좌를 정하고 연결할 체크카드 발급하기
계좌를 설정하고 체크카드를 발급 신청하고 연금저축계좌를 남편과 내 명의로 하나씩 만들었다.
1) 신용카드 자르기
2) 통장별 필요한 체크카드 만들기
3) 연금저축계좌 만들기
아직도 저는 진행 중입니다.
아는 자가 승리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사람은 끊임없이 알아가야 할 의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직장에 치여 가정에 치여 바쁘다는 핑계로 내 자산을 알아가지 못하고 당연하다는 듯이 떠밀려 갔던 것 같습니다.
이렇게 월부에 그리고 재테기를 선택하여 알아가고 실행하고 반성하고 반복하고 하다보면 나의 통장의 미소를 볼 수
있지 않을까 행복해졌습니다. 통장을 계설하고 체크카드를 발급하고 기다리는 동안에도 부자기 되는 느낌을 받는 다는 건 대단한 일인 것 같습니다. 또한 이렇게 지도해주는 월부가 있다는 것이 참으로 대단하고 감사할 일이지 아닌가 싶습 니다. 내돈내산이지만 그 만큼 값어치를 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이 생각도 듭니다. 신용카드없이 버틸 수 있는거지? 라고요 ㅎㅎ
생활비중 배달음식, 외식비의 지출을 아껴야 하라 항목임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죽어나가는 보험료 또한 정리해야 할 항목이었습니다.
댓글
로제파트10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