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재테크 기초반 - 2025년 같은 월급으로도 쉽게 2배 모으는 방법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안녕하세요.
2025년 1호기 달성한 쿠즈코입니다.
이번 달은 살짝 쉬어가는 마음으로
재테크 기초반을 조모임 없이 신청해서
듣고있는데요!
푸시해주는 사람이 없으니
영 처지긴 하네요ㅎㅎㅎㅎ
이제야 1주차 강의를 다 들었습니다!
사실 직장 사정으로 너무너무 바빴습니다 ㅜㅜ
그래도 3월엔 더더 바빠질 것이기 때문에..
2월 안에 재기 수강을 꼭 완성하리라 다짐해봅니다!
1주차 강의는 한마디로,
오랜만에 만난 너나위님의 따뜻한 강의였어요!
F감성낭낭한 너나위님의 수강생들에 대한 애정이
팍팍 느껴지는 그런 강의였네요.
항상 강의 마지막에 눈물을 쏟던 너나위님이신데
이번 강의에서는 중간중간에 울컥하시는 모습이
눈에 띄었어요 … ^^
저는 사실 20대 초반에
뭣모르고 받았던 재무컨설팅이
재테크의 시작이었던 것 같아요
그때 가입했었던 변액보험이 지금도 아쉽긴 하지만
(재작년에 월부만나 해지했던 추억이 ,,,)
그래도 재테크의 ‘재’자도 모르던 저에게
관심을 갖도록 만들어주었던 소중한 시간이에요.
공부는 하되 실전 경험을 하며 배우는 것들이 있다는
그 말씀에 저는 1000% 공감하는 바입니다..
그럼, 강의를 들으며 꼭 정리하고싶었던 것들을 적어보겠습니다 !
1. 덜 쓸 곳이 없는가, 주기적으로 돌아보자.
어떻게 굴리는가보다 중요한 ‘덜 쓰는 것’
줄줄 새는 독에 어떻게 물이 차겠어요.
수시로 고정비를 점검하고 추가되는 고정비는 최대한 만들지 않으려 하는데요
잘하고 있는지 점검해야겠습니다.
2. 비정기통장 만들자.
통장쪼개기를 이미 하고 있었고 결혼을 하면서
배우자의 현실적인 상황에 맞추어 재정비시간을 가졌는데요
생활비, 용돈, 고정비 통장을 구분하고 있었고 비정기(경조사), 교육비를 구분하지 않고 있었어요.
전부 자산통장 또는 파킹통장에 모아놓고 필요할 때마다 빼서 쓰고 있었거든요
근데 얼마나 나가는지 파악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어요.
통장 쪼개기를 조금 더 세분화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3.리스크는 감수하는 것, 없는 것이 아니라 줄여나가는 것.
최근 아파트 매수를 고려하면서 리스크 때문에 두려움에 떨고 있었어요..
통화가치는 매년 떨어지니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은 결국 매년 조금씩 마이너스가 되는 것이라는 말씀.
행동해야한다는 것을 다시 마음에 새겼어요..
겸손한 마음으로 꾸준히 공부해나가겠습니다 :)
너나위님 감사합니다 !
댓글
쿠즈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