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11월 한달동안 중소도시와 친해지고 있는 무시리입니다:)
3주차 강의는 임보여신 망구99님의 D,E지역 강의였습니다
망구님도 처음 D,E지역도 난생 처음인 상황이라..... 아주 낯선 강의가 될 뻔 했지만
강의가 끝나고 난 뒤, 망구님과 D,E 지역 모두 내적 친분을 듬뿍 쌓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임보여신 답게 임장지의 공급을, 가격을 어떻게
투자로 다양하게 바라보고 적용하는지를 알려주셨는데
한주한주 강의를 들어가며 임장보고서가 점점 두둑해지고 BM하고 싶은것들이 잔뜩 보여서
11월의 지방기초반 강의로 한걸음 더 성장할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가장 와닿았던 점은,
"공급이 적고 가격이 싼 시장은 거의 없다,
투자자라면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비교하며 용기있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는 말씀을 들으며
초보투자자로써 1호기를 해야겠다고 생각은 하지만
지역의 공급이 많다면 저도 모르게 강의를 들을때에도 지역을 접할때에도 "지금은 투자 못하는 곳" 이라며
지역과 매물을 적극적으로 바라보지 않던 제 모습이 들켜버린 듯 했습니다.
망구님이 알려주신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수치화해서 비교하는법,
내 상황에 따라 결정하는 방식을 대입해서
공급이 많은 상황이 언제 오더라도 객관적 평가 후 적극 투자 검토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겠습니다.
<BM>
-> 단지별 선호도 파악에 이용
2.(중학교성취율) 중소도시의 경우 평균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학교알리미로 더블체크
3.(초등학교) 전체 학생수를 보자.
내 앞마당의 1,300명 초등학생수는? 대전 도안신도시에서 느꼈던 엄청난 초등학생 밀집도
4.(공급) 과거 공급량을 통해 미래 공급이 미칠 매매/전세의 영향 예상하고 리스크 대비
5.(마인드) 공급이 적고 가격이 싼 시장은 없다.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비교해서 결정하자
6.(시세트래킹) 내 시간과 노력을 쏟은 앞마당에 정찰병을 세워놓고 활용하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