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기 5기 75조 75프로 저축으로 부자될조☆ 리치샘킴] 2주차 강의후기

재테크 기초반 - 2025년 같은 월급으로도 쉽게 2배 모으는 방법

안녕하세요!!

 

노후의 경제적 자유를 위해 부동산을 공부하는 엔지니어 리치샘킴입니다.

 

지금 당장 투자를 하려고 마음먹은 상태에서

재테크 강의를 듣기위한 결정을 하기까지 쉽지 않았지만,

 

2강까지 듣고 나서야 강의듣기를 너무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연금저축펀드와 ISA계좌를 이용한 절세효과,

S&P500의 어마어마한 수익률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급여소득자로서의 절세효과와

수익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에 대해 알려주신 광화문금융러님 감사합니다. ^^

 


 

[나에게 특히 인상깊었던 점]

 

첫째, 전문가가 자주 확인하는 MTS 정보

 1) 종목 요약탭의 NAV(Net Asset Value) 확인 → 괴리율 1% 이상이면 매수하지 않는다.

    - NAV는 ETF의 실시간 가치를 나타내며, NAV 높다는 것은 가치보다 높은 가격에 산다는 것으로 비싸게 산다는 것을 의미

    - ETF의 실제 가치보다 지나치게 비싸게 사는 것 주의 → 매수전 반드시 확인 할 것

    - 유동성 공급자 제도 : 의무적으로 매수 또는 매도 호가를 제시하게 하는 것

 2) 포트폴리오 Top 25(Morningstar) → 투자 포트폴리오 확인(세부 종목 확인)

 3) 섹터별 분포 → 어떤 산업에 투자하는지 가늠하기 위해 확인

 4) ACE 미국 S&P500 ETF 추천(실부담비용률, 거래량, 안정적인 운용 등 고려)

 

둘째, 연금저축

 - 가입자격 : 제한 없음

 - 한도 : IRP와 합산 연간 1,800만원

 - 세액공제(5,500만원 초과 급여자) : 13.2% 공제(연금저축 600만원, 연금저축+IRP 900만원)

 - 연금수령 : 5년 이상 가입 / 만 55세 이상 / 10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수령

 - 연금 소득세 : 3.3~5.5%

 - 중도 인출 가능하지만 기타소득세 16.5% 내야 함

 - 세액공제 받지 않는 금액 모두 비과세(모든 세금 X)

 

셋째, 연금저축 인출 순서

 1) 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 인출

 2) 세액공제 받은 수익(매매 차익, 배당금) 인출

 

넷째, ISA 계좌

 - 가입자격 : 만 19세 이상

 - 최소 가입기간 : 3년

 - 대상 : 서민형(급여 5,000만원 이하) / 일반형

 - 혜택 : 서민형 비과세 한도 400만원  /  일반형 비과세 한도 200만원

 - 세액공제 : 만기자금을 연금계좌로 이체하면 이체 중 10%(최대 300만원)에 대해 세액공제

 - 2,000만원/년 투자한도 증액 가능, 최대 1억원까지

 

다섯째, IRP 계좌

 - 가입자격 : 소득 있는 자

 - 연금수령요건 : 연금저축과 동일

 - 연금수령시 세금 : 연금저축과 동일

 - 중도해지시 세금 : 기타소득세 16.5%,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 비과세

 - 납입한도 : 연금저축, IRP 합산 연간 1,800만원 

 - 안전 자산에 30% 투자해야 함 

 

여섯째, S&P ETF 투자

 - 단순 적립식(매년 초에 1,000만원씩 일정하게 매수)이 마켓 타이밍(지수 하락시 매수) 보다 수익률이 좋음

 - 오랫동안 보유하는 것이 수익에 중요한 영향을 줌

 - 평균 투자 수익률 : 24.33%

 - 거치식 & 적립식 혼합방식 추천 → 매년초 1,000만원씩 투자하는 방식

 

 

[적용해 보고 싶은점]

 

첫째, 연금저축보험에서 연금저축 펀드로 갈아타기

둘째, ISA 계좌 만들기

셋째, IRP 계좌 잔액확인하고 최적 금액 셋팅해 보기

 


 

[맺음말]

 

연금저축보험을 연금저축펀드로 갈아타고

강남 부동산과 같은 S&P500에 투자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강의해 주신 광화문 금융러님 정말 감사합니다~~ ♥


댓글


리치샘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