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기 15기 107조 10션쩌는투자7ㅓ인들 스페스] 지방투자기초반 3강 강의 후기

  • 23.11.26

안녕하세요, 희망찬 미래를 준비하는 투자자 스페스 입니다.


지방투자 기초반 강의는 망구99님의 D지역, E지역 특강이었습니다.

이전 1등뽑기 특강 때도 너무 너무 너무 좋았던 망구님 강의 였기에

이번 지기반 3주차 강의도 너무 기대를 많이했고 기대를 완벽히 충족시켜준 강의였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기억해야 될 부분을 세가지 포인트로 정리해보고

강의를 복기해보겠습니다.



Point. 1. 이번 강의 중 꼭 남겨야할 한 가지 : 【 리스크와 기대수익 】


"D지역과 E지역은 공급이 많아 물건을 보유했을 때

역전세가 날 리스크가 있는 시장이에요,

앞으로 투자 생활아하면서 이런 상황을 많이 마주하실텐데,

단순히 공급이 너무 많으니깐 투자 안한다, 이런 식의 의사결정이 아니라

리스크가 큰 시장이니 기대수익이 큰 물건을 골라야하고

그 리스크가 내 상황에서 감당 가능한지를 따져봐야합니다."


우리는 종종 공급이 많은 지역을 보면서

"어후 여기 공급 많다, 투자로는 부적합하겠네."

"대단지 입주 있어서 전세 안 빠지는거 아니야? 전세가 낮아지면 투자금 더 들어가겠네"

라고 다소 막연한 투자 의사결정을 내리곤 합니다.


망구님께서 보여주신 방식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우리가 가진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량화해보고

얻을 수 있는 기대 수익내가 감당이 가능한지(이번 투자를 하더라도 매년 투자가 가능한지)

따져보는 정량화된 리스크 분석 방법이었습니다.


예시로 E지역의 아파트를 리스크 분석 방법을 알려주셨는데요.

1) 투자하려는 단지 근처로 대규모 공급이 예정되어 있고 (리스크 상황 인지 : 공급 → 전세가 하락 가능)

2) 현재 상황과 유사한 공급 시에 과거 전세가가 총 25%~30% 빠졌다고 할 때, (데이터 기반 리스크 상황 파악)

3) 해당 단지 투자 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크기는 공급에 의한 전세가 하락분 최대 30%로 추정 가능

(리스크 정량화)

이렇게 정량화된 리스크와 내가 얻을 수 있는 기대수익을 비교해보고

리스크가 발생하더라도, (내 종잣돈과 연간 저축가능액을 비교해서) 매년 한 채씩 투자 생활을 이어갈 수 있다면

누군가에게는 해당 투자가 좋은 투자일 것이고,

그렇지 않은 누군가는 좋은 투자가 아닐 것이다 라고 의사결정 내리는 과정을 정말 상세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우리가 앞으로 맞이할 다양한 시장 상황에서 리스크가 0인 상황은 찾기 힘들다고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정량화하고 이를 내가 얻을 수 있는 기대수익과 비교하는 의사결정 과정은

앞으로 우리가 잃지 않는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 가져야할 필수 역량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oint 2. 나에게 적용할 것 : 【 임장을 실제 투자로 연결 짓는 행동, 시세트래킹 】


시세트래킹이 중요하다는 건머리로는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매번 후순위로 밀려 등한시 한적이 많았는데요.


오늘 이러한 에고를 깨부숴 주려는 듯,

망구님께서 왜 시세트래킹을 해야하는지와 함께

1) 어떤 단지를 시세트래킹해야하고, 2) 어떻게 해야하고, 3) 어떤 양식에 해야하는지

심지어 시세트래킹 시간을 단축시키는 꿀팁까지 전수해주셨습니다.


결국 내가 투자한 시간, 돈, 노력은 투자라는 행위를 통해 결실을 맺을 수 있기에

시세트래킹을 통해 계속해서 앞마당을 관리하는게 행위는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 중 하나입니다.


다시 한번 투자를 위한 필수 과정임을 인식하고

더 이상 내 의지의 영역으로 미뤄두지 말고 관성적으로 해나갈 수 있게 루틴화 시키도록 하겠습니다.


오늘해야할 시세트래킹을 내일로 미루지 말자!

▶ 내가 해야될 것 : 시세트래킹 루틴 만들기




Point 3. 마지막 문구 따라 쓰기 : 【 투자생활을 이어가게 하는 원동력 】


좀 더 가보자, 조금만 더 가보자.

끝까지 가봐야 알 수 있는 귀한 것들이 있다.

그런 시간을 보낸 후의 나는 지금보다 한 결 나아져 있을 거다.

-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 최인아


젖은 낙엽처럼 붙어있어라,

월부 생활을 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우리가 결실 맺기까지 오랜 시간 기다려야하고

오랜 시간 시간에 남아 다음 번 상승장에도 살아남아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오랜 시간 살아남으려면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요?

망구튜터님은 투자 생활을 진행하는 원동력으로 7가지 힘을 알려주셨습니다.


원씽 : 가슴 뛰는 목표를 생활 여러 순간에 노출시켜 무의식에 목표가 각인될 수 있게 하였고

효능감 : 잘하기 위해 목표량 보다 10% 더 달성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셨으며

환경 : 내가 도움을 주거나, 떄로는 나도 의지할 수 있도록 동료라는 환경 속에 있었고,

마인드 : 부정적인 생각을 메타인지하고, 가진 것에 감사하셨으며,

신뢰 : 나의 투자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게하는 두 가지 존재, 가정과 직장에 감사하였으며

행복버튼 : 내 기분을 전환시키는 소소한 행복버튼을 알아차렸고,

휴식 : 너무 힘들 때는 휴식&잠으로 나를 보호하고 벽을 넘어설 힘을 비축하는

이를 통해 매번 찾아오는 슬럼프와 벽을 넘을 수 있었고, 투자생활을 떠나지 않고 이어올 수 있었다고 합니다.


얼마 전 메로나 튜터님께 투자코칭을 받았을 때, 코칭 말미에 튜터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월부 생활은 default가 힘든 생활이에요, 이 힘든 생활을 꾸준히 이어나가려면 나만의 재미를 찾아야해요"

실전반 튜터셨던 내꿈찾 튜터님도, "페스님 일부러라도, 의식적으로라도 쉬세요" 라는 말씀을 해주셨는데,

아드레날린 맞듯이 달리고 상황에서는 미처 깨닫지 못했다가

지금에서야 휴식을 통해 내 행복버튼/재미를 찾을 수 있어야하고

벽을 넘어설 힘을 비축해야된다는 의미를 조금 늦게 나마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오랜 시간 투자 생활을 이어나가기 위해서

계속해서 투자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계속해서 더 나의 몸상태와 체력을 점검하고

나만의 행복버튼을 찾아 힘들 땐 언제든지 누를 수 있는 환경을 세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긴 시간 D지역과 E지역에 대해 심도있는 분석과 인사이트를 말씀해주신 망구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


스페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