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재테크 기초반 - 2025년 같은 월급으로도 쉽게 2배 모으는 방법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재테기 강의에서 가장 기대하던 강의 중 하나인 권유디님 강의를 들었습니다.
기초적인 내용을 다뤄주셔서 모두 아는 내용이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매번 새롭고.. 아직 많이 멀었,, 절로 겸손해질 수 있었습니다.
제가 배운것들 위주로 정리해 봤습니다 :)
경공매를 아파트에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
경공매는 물건을 고르기 보다는 나온 것만 살 수 있음.
아파트는 수요가 많기 때문에 낙찰가율이 높음.
→ 일반 매매로 수요가 높은 물건을 여럿 확인하여, 그중 가장 좋은 것을 ‘편하게’ 매매하자.
전세 재계약은 편의상, 우편 or 부동산 대필로 진행을 많이함.
→지방 투자시 재계약에 다시 가야한다고 생각했는데,
위 방법으로 시간과 비용을 아끼자.
질문관련
투자에서 질문은 시간 허비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Tool이다.
질문 자체가 그 고민을 진지하게 고민한 것이고, 잘 하려고 노력한 것.
반대로 질문이 없다면 그 분야를 진지하게 깊게 생각하지 않았을 확률이 크다.
책구절 : 질문은 답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변화를 위한 것이다.
질문을 통해 자신을 관철하고, 스스로의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성장하게 된다.
질문은 당연한것을 다시 보는 시선 (당다시ㅎ)
적용
질문에 취약한 저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
- 질문 생각날때 마다 리스트에 적기 (금방 까먹음)
- 나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내기 => 이 부분에서 많이 공감 되었습니다.
질문을 못 하는 가장 큰 이유중 한나가 모르는 것을 부끄러워 하여, 나를 감추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당연시 생각하고 이유는 몰랐던 상황들
복비를 깎지 않는 이유
그냥 배운대로 복비를 안깎아야지 생각 하고 있었는데,
이유는 망각했던 것 같습니다.
복비를 깎으면, 복비 깎는 사람으로 인식되어,
다음 세입자나 매도시 경쟁 물건 있을때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
→ 복비는 깎지 말자!
등기를 평일에 오전에 하는 이유
등기는 그다음날 부터 소유권이 바뀌기 때문에,
주말이 걸려 등기가 지체되면,
그 사이 매도자가 대출을 일으킬 수 있는 리스크도 있음.
→ 잔금 날짜 평일 오전으로 하기 주의
기억하고 싶은 말
어떤 행동에 손실이 있다면,
손실을 치룸에도, 내가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항상 생각하자.
손실과 편익을 생각해서 결정하는 습관을 가지자.
100% 편익은 없다.
정리 : 세금은 우리가 앞으로 잘되가는 방향에서 발생하는 비용일 뿐,
본질이 아님.
세금에 너무 집착하고 비중 높이면, 앞으로 나아가기 어렵다.
투자를 공부하고 있지만, 심지어 종잣돈이 있어도,
그 단지를 투자대상으로 인지도 못하는 경우 가 있습니다.
그런 단지 나오면 일단 물어보려고 노력하세요
문득 투자 가능 단지를 알아보는 눈이 아직 한참 부족하다고 생각.
빨리 투자단지 알아보는 눈을 기르고 싶다.
매번 헷갈리는 단어 정리
LTV - 주택가격 대비 대출 한도 비율
(비규제 70%, 규제지역 50%)
DSR - 총 대출(원금+이자) 연간상환액 / 연간 소득
** DSR에서 원금은 5년동안 상환하는 방식으로씀.
40% 부터 1금융권 대출 안나온다고 보면됨.
건폐율 - 땅 면적 중 건물 짓는데 사용 가능한 비율
건폐율이 낮을 수록 쾌적한 느낌이 날 것.
ex)건폐율 50% → 100평에서 50평만 건물 짓는데 사용가능
용적율 - 대지(땅) 면적 대비 연면적(건물 ‘각층’ 바닥 너비)
* 용적률이 낮다 → 층이 낮을 확률 높음 → 거주 하는 사람들 적다 → 재건축 동의 확률높다
대지지분 - 땅의 면적을 세대수로 나눈것
100평/20세대 → 5평
* 대지지분이 높을수록 재건축 확률 높다
댓글
라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