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후고고입니다.
최근 자산재배치가 고민이 되어
이번 임장보고서 결론부분에는
자산재배치를 어떻게 진행하는게 좋을지 명확하게 정하자고
스스로에게 다짐을 한뒤
향후 2030년까지
저축액,거주비,1호기,2호기 등 고려하여
계획을 짜본 것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이런분들께 더욱 도움이 됩니다!
1. 자산재배치를 할지말지 고민하고 계신분들
2. 2030년까지 투자계획을 막연하게 나마 어렴풋이 알고 계신 분들
3. 2030년 나의 자산규모가 궁금하신 분들
월린이 투자계획(예시)
1년 저축액 5천만원인 "월린이"를 가정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지방 자산의 수익률은 100%를 가정하였고,
수도권 자산의 매매/전세가는 연 10% 상승을 가정하였습니다.
2025년 월린이
2024년 12월 1호기를 투자금 5천만원으로 투자하였고, 자산재배치를 통해 보유현금이 3억이 있는 상황입니다.
1년동안 5천만원을 저축하고, 월세로 거주하여 1,320만원의 거주비가 들었습니다.
따라서 2025년 12월 가용 투자금은 3.0억+5천만원-1,320만원 = 33,680만원이 됩니다.
2025년 12월 월린이는 매매 9억 / 전세 6억정도의 서울투자를 진행하여 가용투자금을 모두 소진합니다.
2026년 월린이
가용투자금을 모두 소진한 월린이는
1년간 5천만원을 저축하였고 월세거주비 1,320만원이 지출되었습니다.
1호기 투자금 5천만원으로 투자한 매물이 5천만원의 수익을 주었습니다. 현금 1억이 추가로 생겼습니다.(오예~)
2026년 12월의 가용투자금은 5,000-1,320+10,000 = 13,680만원이 생겼습니다.
2027년 월린이
가용투자금 13,680원인 상황에서
다시 1년간 5천만원을 저축하며, 인상된 월세거주비 1,560만원을 지출합니다.(월세 금액 인상)
2025년 12월에 서울투자 했던 2호기 씨앗이 전세보증금 5% 증액을 합니다.(+3,000만원)
2025년 12월의 가용투자금은 13,680+5,000-1,560+3,000=20,120
월린이는 수도권에 6.5억 / 5.0억 정도의 3호기 씨앗을 심으며 가용투자금을 모두 소진합니다.
2028년 월린이
가용투자금 0원인 상황에서 5천만원을 저축하며, 1,560만원을 지출합니다.
따라서 2028년 12월의 가용투자금은 3,440만원이 됩니다.
월린이는 2028년이 보릿고개이지만,
그동안 심어놨던 2호기(9.0/6.0), 3호기(6.5/5.0) 씨앗들이 매년 10%씩 상승하여
현재 2호기는 11.8/7.8억이 되었고 3호기는 7.15억/5.5억이 되어 마음이 든든합니다.
2029년 월린이
가용투자금 3,440만원인 상황에서
1년간 5천만원을 저축하며, 인상된 월세 거주비 1,800만원을 지출합니다.
2호기 서울투자한 씨앗이 새로운 전세입자와 전세 시세대로 계약합니다.
기존에는 전세보증금이 6.3억이었지만 8.4억으로 계약합니다. 현금 2.4억원이 생겼습니다.
3호기의 씨앗도 2년이 도래하여 전세보증금 5% 증액하여 2500만원의 추가현금이 생겼습니다.
따라서 2029년 12월의 가용투자금은 3440+5000-1800+24000+2500=33,410만원이 됩니다.
월린이는 시장상황에 따라 역전세를 대응하거나 재투자를 준비합니다.
최종적으로 2029년 12월 월린이의
총 자산의 규모는 23.7억원이 되었습니다.(순자산 9.3억원)
만약 월린이 친구 "적금이"가
2025년 ~ 2029년 12월까지
실거주 3억원에 연 5천만원씩 저축만 했다면,
자산규모는 5.5억원일 것입니다.(실거주3억 + 현금2.5억)
하지만 월린이는 근로소득을 자본소득으로 전환하며
차근차근 부를 축적해 나가 위와 같은 결과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런분들이 투자계획을 수립하면 더욱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자산 재배치를 고민중이신 분들
각자 보유한 현금과 저축액 등을 고려하여,
2029년 12월까지
자산재배치를 할 경우 / 하지 않을 경우에 대하여
각각 계획을 세워보시면
어떻게 하는게 편익과 비용면에서
나의 가치관 등에 더욱 적합한지
좀 더 선명하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자산재배치는 가족의 동의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2. 투자계획을 막연하게나마 어렴풋이 알고계셨던 분들
매년 저축액, 거주비 등 나의 현금흐름을 계산하며,
다음투자는 언제할 수 있을까?
1호기가 27년쯤에는 수익을 가져다 준다면
그때의 종잣돈은 얼마고, 어디에 투자하는게 좋을까?
그렇다면 나는 어떻게 앞마당을 늘려가는게 좋을까? 등등
보다 명확하게 계획을 잡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3. 향후 나의 자산규모는 어떨지 궁금하신 분들
위와 같이 나의 자본과 소득을 어떻게 운용해 나가는게 좋을지 고민하며 계획을 세워보신다면
향후 나의 총 자산은 얼마가 될지, 순 자산은 얼마가 될지, 현금은 얼마정도 있을지 등등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인생이 계획대로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향후 5년간의 계획을 세워보며
어떻게 투자계획과 방향성을 잡고 임해야겠다. 라는것을 생각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구체화 하고 선명하게 하는 사람일 수록
그 목표에 더욱 빨리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두 목표한 바를 이루시길 바라며 월부인들 화이팅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계획_유후고고(공유).xlsx
댓글
유후고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