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단지를 비교할때 매매가는 호가인가요..실거래가 인가요….?
또 가격 설정이 애매한게 그 단지에 나와있는 매물이 1층이나 꼭대기층만 있을 경우에 가격이 거의 1억이 차이가
나는 데요..비교 금액을 1층과 꼭대기층 그리고 최고 값의 중간값으로 잡아야 할까요?
중간값으로 잡는다고해도 중간층에 매물이 나와 있지 않아서….난감해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최고가 대비 15% 떨어져 있다고 해도 그것이 1층 매물이면 좀 난감한거 같아서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행운이만땅님 안녕하세요 😊 아파트 단지별로 비교평가 하고 계시군요~ 우선 일반적으로 시세라고 이야기하는 가격은 네이버부동산에 나와있는 호가인데요 저는 보통 시세를 기록할 때, 1,2,3(저층), 탑층 제외하고 기록합니다:) 전혀 호가가 없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1개월 내) 실제 실거래가를 기록하기도 하구요 아마 현재 임장지가 내 투자금 범위 내에 들어오지 않는 곳이라 이런 고민을 하시는 것 같기도 해요🩷 해당 단지에 호가가 저층밖에 없다면 저는 호가(1층) 이렇게 적어두기도 하니,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행운이만땅님 안녕하세요 :) 가격의 기준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보통 저층(1~3층), 탑층을 제외한 네이버 부동산 호가를 기준으로 매매가를 작성합니다. 다만, 행운이만땅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단지 내의 선호동, 선호층, 향 등에 따라 가격대가 많이 나눠지기도 합니다. 1층의 경우, 평층 이상 물건 대비 10% 정도 차이나기도 하구요! 동 별 가격에 대해 궁금한 부분은 전화임장을 통해 부동산 사장님께 자세히 설명 받아도 좋을 것 같아요!! 행운이만땅님 화이팅입니다!!! :)
행운이만땅님 안녕하세요 :D 질문을 통해 어려운 부분을 해결하시려는 노력 멋지십니다! 어떤 비교를 하느냐에 따라 비교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현재 실제 투자를 고려해 두고 계시고 가치를 파악해 둔 상태라고 하시면 호가로 비교하시는게 저평가를 가늠하시는 데 더 도움이 되십니다. 왜냐면 가치대비 왜곡되어있거나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 선행 지표가 호가이기 때문입니다. 실거래가나 전고점은 후행지표인데 이를 통해서도 비교를 해보실 수도 있는데요. 어느정도 가치가 반영된 후행 지표이다보니 가치를 비교할 때 좀 더 비중을 두고 고려해 보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마냥 전고점이나 실거래로 가치를 판단하는 것은 조심하셔야 할 것 같아요 왜냐면 전고점을 저층, 또는 가장 비선호하는 동에서 찍은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호가는 3층이하 제외, 탑층을 제외한 네이버 부동산 호가로 최저가격을 파악하셔서 비교하시면 됩니다. 지금은 아무래도 자고 일어나면 전세가격이 상승하며 매매가를 밀어올리는 대세 상승장이 아니기 때문에 전세가격도 최저가로 보시는 것이 맞겠구요. 대세 상승장이라면 반대로 전세가를 최저가 보다는 최고가에 맞춰서 보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중간층 매물이 없다면 저는 중간층 매물들의 실거래가를 몇건 살펴보고 평균 가격을 가늠해보거나, 또 비슷한 가치를 가진 같은 입지의 주변 단지의 호가를 놓고도 가늠해보기도 합니다. 이렇게 했는데도 조금 찝찝함이 남느나면 부동산 사장님께 직접 전화를 드려보는 편이에요. 이 단지에 전세를 알아보고 있는데 매물이 거의 없는데, 중층 기준으로 수리 상태에 따라 어느정도로 생각하면 되는지, 이 단지에 매매를 알아보고 있는데 매물이 거의 없는데 중층 기준으로 수리 상태에 따라 어느정도로 생각하면 되는지, 행웅이만땅님, 빠잇팅입니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