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에서 자료 참고용으로 많이 봤던 '유진아빠'님은 과연 현재도 잘 투자하고 있을까?' 싶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강사로 활동하고 계셨다.
불필요한 것들에 집중하지 않고 원칙과 가치에 집중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상기할 수 있었고
실행에 집중하는 것으로 다시 마음을 잡아야겠다.
경제적 자유는 선택과 믿음에 달려있고 긍정적인 생각으로만 머리 속을 채워야 한다.
✔ 주요 내용
- 투자자의 투자 원칙
- 저평가
- 가치(입지)를 비교하여 지금 가격이 싼 것을 산다
- 변수를 통제, 과거 가격을 통해 장기적 관점에서 비교, 비슷하면 거래 조건 좋은 물건
- 비교하기 어려운 가치와 씨름하거나 1등 찾는데 집착하지 말자
- 언제 얼마나 오를지는 아무도 모른다
- 환금성
- 수요가 많은 곳에서 다수가 사고 싶은 물건을 산다
- (저가치 물건) 평균 이하의 입지에서 평균 이하의 낮은 선호 단지는 보지 않는다
- 20-30평대 아파트, 수도권 300세대/지방 500세대 이상 단지에 투자한다
- 1,2,3층 및 탑층은 가급적 피한다
- 적은 투자금으로 가치 대비 더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를 구분한다
- 미래의 매수자인 실거주자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한다
- 투자 범위를 설정하고 지킨다
- 수익성
- Input을 줄이고 Output을 늘린다
- 연평균 20% 수익률
- 전세가율 서울 60%, 경기 70%, 지방 80% 이상
- 전고점 대비 -25~30% 이상 하락
- 수익률, 수익 장단점을 파악하여 수익률이 높은 투자를 한다
- 원금보존
- 투자한 원금을 절대 지킨다
- 가치대비 싼 것을 산다 (전세가율)
- 투자금을 조기에 회수한다
- 더 많이 벌면 ㄷ된다는 생각은 오산
- 리스크관리
- 리스크는 감당 가능하고
-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이 더 큰 투자를 한다
- 이 정도는 괜찮다거나 무조건 리스크를 회피하는 것 모두 지양
- 최악의 상황을 항상 대비해야함
- 리스크에 따른 기대수익을 고려해봐야 함
- 최소 노력으로 최대 성과 내는 법
- 계획 vs 실행
- 계속 하다 보면 정말 그런 사람이 된다.
- 반복을 통한 습관화 성공
- 계획적이기만 한 사람 vs 실행에 옮기는 사람
- 성장 환경, 습관 만들기
- 강의 꾸준히 듣기
- 집중할 장소 만들기
- 동료와 약속 잡기
- 목표 널리 알리기
- 성과에 따라 적절히 보상하기 : 다시 선순환할 수 있도록
- 투기 VS 투자
- 투기 : 추측, 미루어 짐작하다 (미래의 수익을 기대하는 것, 수익만을 추구)
- 투자 : 임명하다, 권한을 부여하다 (가치있는 것에 돈을 넣는 행위 자체, 통찰력을 추구)
- 현재 할 수 있는 것들에 충실해야 한다.
- 현실적 조언
- 친구를 끊으세요, 술도 끊으세요 (집중할 기간 3년 정도만)
- SNS 정리하세요. (본캐 > 부캐), 단톡방 다 나오세요
- 취미 그만하세요. 쇼핑/게임 지우세요.
- Youtube 계정 다시 만드세요. TV 치우세요
- 가계부를 쓰세요. 70% 이상 저축하세요 (꾸준히 최소 50% 이상)
- 가계부는 복기를 위해 쓰는 것
- 잘 되면 더 이상 쓰지 않아도 됨
⭐ 인상 깊었던 점
- 내 원씽은?
- 통찰력, 앞마당을 얻자
- 현재, 할 수 있는 것에 충실하다
- 투자 원칙을 지켜야 한다
- '환금성'이 어찌보면 수익성, 저평가보다 더 중요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 루틴이 되면 덜 힘들다
- 다음 강의를 들을까말까 고민 중이었는데 3년간 1,000만원 정도의 강의를 듣고 10억 달성하신 유진아빠님을 보니 쉬지 않고 다시 정진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자실을 해볼까 싶었는데 동료들과 함께 해보는 것을 생각해야겠다.
- 내가 첫번째 도미노다
- 나를 이겨야 한다.
- 환경 조성에 방해되는 것들을 점검하고 중단해야 겠다 (4.현실적 조언)
진심어린, 경험을 기반으로 이야기 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그리고 오히려 너무 높은 수익률에 집중하기 보다는 현재 할 수 있는 것들에 집중하는 것이
어느정도의 수익을 올릴 수 있고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것에 더 많은 위로와 도전을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