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생입니다.
네이버부동산만 보고 등기부등본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해당 방법은 모든 단지가 적용 되는것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1. 2010년 이후 준공된 단지
2. 해당평형 각 타입별(A,B,C)로 되어 있는단지
3. 해당층이 명확히 나와있는 단지
(중층, 고층은 부동산에 문의)
#1. 네이버 부동산에 들어가서 2010년 이후 준공된 단지를 찾습니다.
#2. 해당단지를 찾았으면 층수가 정확히 나온 매물의 타입과 공급면적을 기억하고 동호수로
들어갑니다.(20층, C타입, 85.51㎡)
#3. 동호수 → 평형정보 → 해당 층수에 C타입과 공급면적와 일치하는것을 찾아보니
2003호로 나옵니다. 해당 호수에 대한 등기부등본을 열람해봅니다.
(해당 타입이 같은층에 2개가 있으면 부동산에 연락해보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4. 해당 등기부등본을 열람해보니 2020년 7월에 24800만원에 매수를 했고
32000만원에 매도를 함으로서 약 7200만원의 마진을 보려고 하는거 같습니다.
이 작업을 실행함으로 알 수 있는점
# 부동산에서 호수를 잘 안 알려줄때 미리 예상을 할 수 있다.
# 매도자가 얼마에 매입했는지에 따라 가격조정이 가능하다.
# 소유자가 개인인지 법인인지 알 수가 있다.
2010년 이후 모든 단지가 다 적용되는것은
아니지만 적용이 되는 단지에 매물 임장을 하면
셀프로 미리 등기부등본을 열람해서
가격조절을 예상해볼 수 있는점에
중점을 두시는게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전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