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28년도 순자산 10억 달성할 콩콩즈입니다 ♥
(외치면 이루어진다의 힘을 믿고 이제 제 목표를 써보기로 했습니다)
자모님의 7년 노하우가 담긴 서투기 강의는
조금 어렵기도 하였지만
현재 시장에서 서울과 수도권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투자를 해야하는지가
명확히 나와있어서 알려주신 그대로
적용해봐야겠다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어요.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은
이미 전고점을 뚫고 올라가버렸고
그렇지 않은 것은 가격이 보합하거나
오히려 내리고 있고
그렇다면 이미 가격이 오른 것은
투자후보에서 과감히 버리고
아직 오르지 않은 것 중에서 가치가 있고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을 찾아서 투자를 해야합니다.
강서구와 관악구 비교해서 설명해주셨을 때
아~ 지금 강서구와 관악구 분위기가 이렇구나!
자모님 강의 통해 레버리지할 수 있어서
너무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자모님이 1등에 집착하지 말라고 하신 것이
인상 깊었어요.
1등을 뽑느라, 혹은 더 좋은 것이 있지 않을까?
조금만 더, 조금만 더…
그러다가 결국 대출까지 끌어다가
투자를 하기도 한다면서…
가치가 있고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 중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하여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지가 떨어지는 지역이라도
사람들이 선호하는 아파트라면 투자할 수 있다!
이제는 범위를 넓혀서 봐야한다!
아~ 이제는 무조건 좋은 것만 보는 것이 아니라
투자의 범위를 넓혀서 봐야하는 시장이구나를
알게 되었네요.
서울 25개구중에서 투자범위에 들어오지 않는
대상은 없겠구나.
조금 더 열린 마음으로 봐야겠구나 싶었습니다.
하급지 대장과 상급지 구축 어디를 투자해야 할까요?
물론 상급지가 하급지보다 땅의 가치가 좋지만
만약 투자금이 더 많이 들어간다면….
하급지 대장을 선택해도 된다! 이겁니다.
투자금이 같다면 당연히 상급지 구축을 선택해야겠죠~
하지만 상급지 구축이 선호도가 너무 떨어지는 생활권이라면?
급지를 낮춰 다른 구로 넘어가야 합니다.
와. 너무 어렵습니다.
자모님이 설명을 잘해주셔서 강의 들을 때는 고개를 끄덕끄덕 이해가 잘 되었지만
실제로 내가 저런 상황에 닥친다면?
결론은 급지도 중요하지만 단지 대 단지로 봐야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 같네요.
나에게 유리한 쪽이 가장 좋은 투자입니다.
잃지 않는 것 중에서 선호도가 있는 것을 골라 투자해야 합니다.
이렇게 고른 단지가 할 수 있는 것 중 가장 좋은 물건인지 생각해봐야합니다.
투자를 유예하라는 말씀이 아닌
실제로 더 좋은 물건을 찾아보는 노력을 해서
싸면서 더 가치가 있는 단지를 매수하시라는 말씀입니다.
어렵다 어려워 ㅎㅎㅎ
이번 강의에서 제일 기억에 남는 것은
지역 내 단지 선호도를 비교해볼 수 있는 방법 3가지입니다.
거의 90%는 정확하다면서 자신감 뿜뿜하신 자모님 ♥
BM1. 단지분석할 때 꼭 적용해볼께요!
수도권투자를 하든 지방투자를 하든 돈을 버는 것은 똑같다고 하시면서
경험도 쌓고 돈도 벌 수 있으니 내가 집중할 수 있는 것에 선택하라고 하셨을 때
제가 고민하고 있는 것을 들킨 것 같아
화들짝 놀랐네요 ㅠ
지방투자로 방향을 잡았지만…..
지방임장이 힘들어서 망설여지더라구요.
고민만 하다 시간간다.
정하고 그 방향으로 행동하면 무조건
돈 버는 방향이다.
종잣돈이 1억이라도 되면 수도권을 고려해볼만도 한데 그냥 지방으로 정하고 행동해야겠습니다.
BM2. 나는 25년 12월까지 광역시 2호기 투자결과 반드시 낸다.
임보가 항상 부족하다 생각하여 선배님들 임보 보면서저대로 나도 해볼까?
마지막 강의 챕터6 듣기전에 생각했는데
잘된 임보가져와서 넣으려고 애쓰지 말라고
콕 찝어 말씀해주셔서
다시 마음을 다잡다봅니다.
BM3. 임보는 투자랑 연결해서 쓰기. 실전반에서 알려준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넣자
서투기 강의 왤케 잼있죠?
좋은 강의 해주신 자모님 넘 감사드립니다.
3월 한달 ‘단 하나’의 목표 : 남겨야 할 임보에 최선을 다해보고 싶습니다.
남들 임보보며 따라하는것이 아닌
자모님이 실준에서 알려주신대로 하나씩 넣어보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나는 25년 광역시 2호기 투자할 때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