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50대초반 직장인입니다
21년 여름에 지방 아파트에서 서울로 갈아타기를 해서 24년 초부터 서울 동대문구 아파트 거주중입니다.
자녀들이 대학생이 되고 처가집 사정으로 조만간 지방으로 거주지를 옮기는 것을 고민하다보니 자녀들 주거에 대한 부분을 해결해야 하고 향후 노후준비 등을 고려하다 보니 올해 말쯤 현 거주 아파트를 전세로 돌리고 전세금으로 대학가 주변 오피스텔이나 원룸 2채 정도 매입을 생각중입니다.
현 아파트 평균 전세가는 5억에서 5억 5천 사이 정도 입니다.
현재 고민 중인 지역은 1. 신길역 봉주르 또는 아테, 2. 서울대입구역 WD세븐스, 3. 이대역 이대포레스 정도입니다.
참고로 수입은 외벌이로 세후 약 5백 정도입니다.
이와 관련해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글 남깁니다.
늦은 나이에 이런 저런 책도 보고 영상도 보고 나름 공부를 하고는 있는데 아직도 결정을 내리기가 쉽지 않네요. 고수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쫑스파파님. :)
아무래도 개인상황과 어떤 오피스텔, 어떤 아파트냐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때문에 상세한 내용은 전문가분께 코칭을 받아보시는 편이 좋아보입니다.
매물 코칭이나 투자 코칭은 아래에서 받아보실 수 있어요.
-> https://weolbu.com/product/3902
그 외에 에디터 생각을 간략히 말씀드려볼게요.☺️
1. 취득세 적용되느냐 아니냐는 오피스텔을 주거용으로 하냐 마느냐에 따라 달라요. 상가용(업무용)으로 등록하면 주택수 포함 안되는데, 주거용으로 하면 주택수에 포함되고요. 1세대 2주택 vs 3주택에 따라 취득세율은 달라져요. 하지만 이 취득세도 조정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지역에 맞춰 알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덧붙이면 서울은 조정대상지역이라 취득세 중과 가능성이 높고,
업무용으로 하시면 전입신고가 안됩니다. 자녀분 실거주 문제 생길 수 있어요.)
2. 오피스텔을 주거용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자녀 거주 시 법적 문제는 없는데요, 임대차 계약은 하셔야 해요. (가족간 임대차 계약)
입대사업자 등록하면 세금 문제 필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3~5. 자녀분 거주나 월세 수익을 고려하면 아파트 전세 후 오피스텔 2채 매입도 좋아보이는데 3주택이 되면 취득세 부담도 커져서... 여러 전략 고려가 필요해보입니다. 경우의 수에 따라 전략이 나뉘다 보니 방향 한 가지를 확실히 정하시고 실행하시는 편이 좋아보입니다. : )
고민 잘 해결되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