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시간 많은 질문에 성심성의껏 열심히 답변해 주신 수수23 선배님에게 감사 말씀 드립니다.
오늘 선배님과 그리고 조원들과 함께 할 수 있어서 뜻깊었습니다.( 첫 오프라인 모임:))
조원들과는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함께 오래 투자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선배님과 조원들과 나눈 이야기 정리 내용도 올립니다.
1. 투자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할까?
강의 + 필사 + 실전 적용
- 강의 내용을 필사하며 깊이 있게 학습
- 임장보고서를 먼저 작성한 후, 직접 임장을 다니며 실전 감각 익히기
- 투자 준비가 되었다면 한 물건에 최소 5개 이상 비교 분석 할 수 있어야 함
임장 지역 선정 전략
- 강남, 서초, 송파 먼저 볼 것. (서울 3곳, 수도권 3곳, 지방 3곳 앞마당 만들기)
- 다른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을 먼저 봐야 다른 지방에서도 강남, 서초, 송파같은 곳을 찾는 기준이 생김
2. 첫 투자 후 후회했던 점
- 처음에는 매매가를 정해놓고, 그 안에서만 투자 대상을 찾았다.
- 하지만, 좋은 단지와 좋은 생활권이 더 중요하다는 걸 깨달음.
- 비슷한 금액이라면 더 선호도가 높은 곳을 선택하는 게 장기적으로 유리하다.
매도 타이밍
- 수익이 발생했을 때
- 더 좋은 매물이 발견되었을 때
- 감당이 어려울 때
3. 투자 전 필수 체크리스트
확실한 예산 설정
- 투자 가능 금액을 정확히 정하기
- 뱅크몰 활용하여 대출 가능 여부 확인
비교 분석 능력 필수
- 비슷한 가치의 매물을 찾아 비교
- 첫 번째는 지역 내 비교, 두 번째는 지역 외 비교
- 가격을 고정하고 보면 더 객관적인 분석 가능
4. 초보 투자자의 흔한 실수
공부만 하고 실전을 미루는 착각
- 투자 공부를 열심히 하면 실력이 늘 거라 믿지만, 실전 경험이 더 중요
- 성실함이 함정이 될 수 있음 → 업그레이드된 실력을 쌓아야 함
1호기 투자 경험으로 얻은 것
- 직접 계약하고, 대출을 받고, 세입자를 관리하는 경험으로 성장했음.
5. 투자 습관 만들기 & 극복법
한 달에 하나, 원씽 전략
- 한 번에 모든 걸 하려고 하지 말고, 한 달 동안 한 가지 목표를 집중적으로 실천
- 첫 달: 투자 관련 독서 습관 만들기
- 둘째 달: 임장보고서 작성 연습
- 셋째 달: 실제 임장 경험 쌓기
작은 성공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
-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려고 하면 금방 지치고 포기할 가능성이 높음
- 하나씩 차근차근 해나가면 자연스럽게 실력이 향상됨
6. 종잣돈 마련 & 자산 관리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하라
- 저축률을 높이고, 부업 등을 통해 투자금을 모으는 방법도 고려
- 투자 방향(서울 vs. 지방)을 정하고, 내 예산에 맞는 전략을 수립
자산 관리 & 점검 필수
- 매년 자산이 얼마나 늘었는지 확인하고, 목표 재설정
- 예산을 설정하고, 계획 없이 돈을 쓰지 않도록 관리
7. 매물 코칭 & 실전 투자 전략
좋은 매물 찾는 방법
- 투자 물건이 생겼을 때 비슷한 단지 5개 비교 분석
- 해당 지역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내 생각이 맞는지 코칭받기
- 랜드마크 단지를 기준으로 가격 흐름을 분석 → 매도 타이밍 예측 가능
질문하는 습관이 중요
- 내 물건이 이 지역에서 얼마나 선호도가 높은지
- 이 매물이 적정한지 비교할 기준은 무엇인지
- 세를 낀 매물이라면 특약이 필요한지
8. 꾸준한 투자 공부를 위한 마인드셋
투자를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
- 단순히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삶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과정
- 투자 공부를 계속하면서 자신이 성장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큰 목표(예: 장학재단 설립)처럼 의미 있는 목표가 있으면 더욱 지속 가능
시간 관리 & 투자 공부 루틴
- 하루 2~4시간 투자 공부 시간 확보
- 자투리 시간 활용법
- 10~30분: 독서, 투자 관련 기사 읽기
- 30분 이상: 시세 분석, 매물 비교
환경을 바꾸면 집중력이 올라간다
- 스터디 카페나 조용한 곳에서 투자 공부
-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스터디를 하면 동기부여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