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월부 입성 후 처음 듣는
양파링님의 강의였습니다.
10년차 부동산 투자자는
역시~ 다르구나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예를 들어 주신 A지역에 대해 들으면서,
지금 제 임장지인 B지역을 떠올리며
'나도 저렇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
더 열심히 임장해야겠다!'
는 마음을 먹었습니다.
서울&경기 비교평가 프로세스를 3단계를
구체적인 단지(서울 1개, 경기 1개)를 사례로 들어 설명해주셨습니다.
1단계는 ㄱㅊ
ㅇㅈㄱㅊ, ㅅㅍㄱㅊ, ㅅㅎㄷ
그동안 단지의 ㄱㅊ를 파악할 때,
ㅇㅈㄱㅊ에 항상 집중했던 것 같은데,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ㄱㅊ를 꼭 판단해 봐야겠다.
2단계는 ㄱㄱ
ㅈㅍㄱ + ㅌㅈㄱ
ㄱㅊ와 연결되는 부분인 ㅈㄱㅈ 자체도 보기! 봐야할 것이 너무 많지만…. 그래도!
3단계는 ㄹㅅㅋ
ㄱㄱㅅㅎ만 보는 것이 아니라
ㅁㅁ ㄱㅅ도 체크하는 것
항상 ㄱㄱ에 집중했지만, ㅁㅁㄱㅅ 까지는 생각지 못했던 부분이었다…!!
비교평가할 떄 잊지 말아야 할 것!
“내가 만약 투자한다면?”
수도권 외곽투자
어떤 단지를 사느냐에 따라 상승을 기다리는 시간이 달라진다,
즉, 물건가치 따라서 상승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좋은 단지를 잘 사야한다!!
-→ 그래서 열심히 임장가야한다!
단점 있는 단지 투자해도 될까?
A지역을 예시로,
상승장 이전에 많이 했던 고민들:
“신분당선 들어오면 좋은건가? 요금도 비싸고, 글쎄.. ”
“주차가 헬인데? 너무 외진데? 복도식? 조립식? 언덕???”
-> 큰 것(입지)보다 작은 것에 더 집중해서 투자를 못함.
그 결과는? +4억!!
접근성이 떨어지는 단지 투자해도 될까?
접근성이 떨어지면
상권이나 학원가 등 다른 선호요소를 충족하는지
(거주만족도가 높은가?) 살펴보고,
비슷한 투자금으로 다른 더 좋은 곳은 없는지 살펴보기
재건축,리모델링 예정 단지 투자해도 될까?
사업성과 시장분위기를 보자.
단기 차익을 실현시키지 못하고 장기로 가져가더라도 감당할 수 있는 투자인가?
저평가 하나로 들어가면 안된다.
충분히 싸게 사서 전세가 회수가 적다해도 운용가능한지 꼭 파악하기
C지역 투자를 사례로 들어,
입주장이 주는 기회를 잘 활용
(현재 임장지와도 일치!)
전세가 낮으면 투자금 많이 들어서 피하지만 말고,
여력이 된다면 싸게 사는 것에 집중하고 실입주나 임대 등 시나리오 짜보기
신축밭에 구축이랑 준신축 괜찮을까?
환경이 개선되면서 살기 좋아짐(가치증가).
기축 중에서도 우선 순위 정하기(바로 임장의 목적)
2년차 단지: 비과세 또는 일반과세로 팔고자 하는 물건이 나옴.
2025년에는
가지고 싶은 지역만 집착하는 게 아니라
비슷한 가치를 가지는 곳이라면
서울,경기를 떠나 여전히 덜 오른 것이 무엇인지 비교해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 투자금으로 좋은 곳은 살 수 없다는 생각부터 버리기(절대가의 허들을 넘자!)
선호도 정리를 바탕으로 더 가치 있고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 선택하자
최고의 물건을 찾겠다고 지체하며 아무것도 사지 못했다면?? 무엇이 남을까?
댓글
화려한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