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매일칼럼필사 #56, 빅쿨가이] 이래서 돈 못 모읍니다...부자 못 되는 투자 습관 3가지, 마스터

『이래서 돈 못 모읍니다...부자 못 되는 투자 습관 3가지』

- by 마스터 -

https://weolbu.com/community/2674932?inviteCode=5D9268&utm_source=user_share&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user_share_button

 

[본문내용]

→ 왜 비슷한 시기에 투자를 했음에도 누군가는 수익을 가져가고 누군가는 그렇지 못할ᄁᆞ요? 10년차 투자자로 상승장, 하락장을 경험하고 많은 투자자들을 보면서 느낀 부분들이 많았습니다. 

 

→ 투자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아래에 정리해 볼게요

 

→ 부자 못되는 습관 1 : 자기 실력을 과신하거나 실패를 남 탓으로 돌린다. 

 

→ 공부 안하고 감으로만 투자하려고 할 경우 기준 없이 하는 투자가 됩니다. 왜 이지역인가요? 왜 이단지인가요? 왜 이 가격이 싸다고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 선뜻 대답할 수 없다면 아직 투자할 준비가 안 된 상태입니다. 

 

→ 그런데도 그냥 어디서 한 번 들어본 적 있고 익숙한 단지니까 집을 산 경우는 대다수 사고난 뒤 불안해서 잠을 편히 자지 못하는 시간들이 이어지게 됩니다. 

 

→ 누가 좋다더라, 오른다고 하더라 라는 말만 믿고 스스로 검증해 보고 확신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집을 사는 것은 투기입니다. 

 

→ 하지만 대다수의 투자자들은 본인이 한 것은 투자이고 남들이 한 것은 투기라고 치부합니다. 지나가는 초등학생을 붙잡고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면 투자하지 마세요. 어쩌다 한 채로 돈을 조금 벌 수 있으나 매번 이런 행운이 지속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 실패에 상처받지 않은 가장 손쉬운 방법은 남탓으로 돌리는 것입니다. 잠시잠깐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런 방식으로는 시간이 흘러도 인생의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봅니다. 

 

→ 투자로 망하지 않고 성과를 낼 때 그 돈의 주체는 본인이 되어야 합니다. 돈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선택도 그에 따른 결과까지도 책임을 진다는 것입니다. 

 

→ 매수, 보유, 매도 과정에서 지역별 투자 범위를 설정하는 것과 투입된 자금, 매도 시기에 대해서 깊이 있는 통찰력은 투자를 해나가면서 다듬어지는 부분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 아쉬웠던 투자들에 대해서 복기해 보는 시간을 가지고 다음 투자에 적용할 수 없다면 투자자로서 포트폴리오를 질적으로 개선시켜 나가기 어렵습니다. 

 

→ 부자 못되는 습관2 : 욕심이 과한 투자자로 리스크를 간과하고 무리한 투자를 진행한다. 

 

→ 다들 이 지역이 좋다고 하니까 나만 이런 기회를 놓칠 수는 없지 하는 마음으로 군중심리에 휪쓸려 감당이 안되는 투자를 진행합니다. 이런 경우 고점에 따라 사고, 공포로 저점에서 팔고 나오는 패턴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 볼수록 내 예산에 맞는 단지는 슬슬 눈에 차지 않게 되고 레버리지를 좀 일으켜볼ᄁᆞ 하는 마음이 수습곤란한 지경에 이르기도 합니다. 

 

→ 레버리지가 자본주의에서 중요하지만 잘못 쓰게 되면 어렵게 매수한 부동산을 더 보유하고 싶어도 팔아야 하는 위기를 맞이하게됩니다. 

 

→ 결국 수익이 나는 지점까지 갈 수 없으므로 상처만 남는 투자가 됩니다. 하락장을 맞이하면서 감당할 수 없는 손실과 스트레스로 이어집니다. 감당가능한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자산을 불려간 누군가는 같은 시기에 투자로 들어가서 오랜 시간 버티면서 수익을 가져가는데 말이죠

 

→ 예산 범위안에서 좋은 지역과 단지를 찾아서 진행하는 것은 맞지만 이 말은 무리한 투자를 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 한 방에 부자가 되는 것은 이 세상에 없습니다. 내가 가진 자본금이 없다면 ‘할 수 있는 투자’를 하면서 점진적으로 돈을 불려나가는 것입니다. 

 

→ 할 수 있는 투자를 해나가지만 너무 아닌 물건을 매수해서도 안됩니다. 단순히 집 챗수만 불린다고 부자가 되는 것도 아닙니다. 감당가능한 투자를 속도를 조절해서 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부자 못되는 습관3 : 가치 대비 싸게 산 자산을 지키지 못합니다. 

 

→ 배운대로 기준을 지켜서 매수해도 처음 예상했던 기간에 성과가 다 안 나타날 수 있는 것이 투자입니다. 예상하지 못한 물량이 더 들어오거나 대외적인 변수로 시장 상황이 급격하게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 시장의 상황은 시시각각 변하고 아무리 투자자로서 노력해도 수익을 가져오는 기간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 투자하고 누군가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고 매수한 다음에 나도 저런 어려움을 겪고 싶지 않아 팔아버리고 나와야지 하는 마음이 혹시 들지 않나요? 이런 경우 다른 지역으로 설령 투자를 진행한다고 해도 지켜내기 어렵습니다. 

 

→ 조금만 시장상황이 어려워지면 계속 피해다니기만 하는 투자습관이 형성될 것이고 수익 구간까지 가져가는 경험이 쌓이지 않을테니까요 투자는 내 돈만 그곳에 들어간 것이 아니라 시간도 같이 넣어두는 것입니다. 

 

→ 가치 있는데 싼 구간일 때 매수한 것들이 역전세를 맞이하면서 저 역시도 힘든 시기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어김없이 그런 시간들이 지나고 난 뒤에는 전세가가 오르는 모습을 또 보였습니다. 감당가능하다면 좋은 자산들은 잘 지켜내시기 바랍니다. 

 

→ 하락, 회복, 상승, 폭락이 반복되는 시장 안에서 좋은 자산이라면 버티고 수익을 내는 지점ᄁᆞ지 기다렸다가 팔고 나오시기 바랍니다. 

 

→ 잘 지키고 수익을 낸 다음 더 나은 자산으로 갈아타면서 초반에 투자할 수 없었던 단지로 매수하는 단계로 넘어가세요

 

→ 주식과 달리 부동산은 바로바로 가볍게 파는 종목이 아닙니다. 매수할 때 충분히 비교해서 신중하게 매수하고 매수한 다음에는 오랜 시간 함께 하겠다고 마음먹길 바랍니다. 

 

→ 아래 보는 것처럼 2013년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을 때 매수한 단지를 4년 정도 보유한 사람과 10년 동안 보유한 사람이 가져가는 수익의 크기가 상당히 많이 벌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지역별로 보유기간을 잘 설정하고 들어가시고 그 기간을 잘 버티면서 수익을 내는 지점까지 갔으면 합니다. 

 

→ 위에서 말씀드린 습관 3가지만 하지 않으셔도 투자로 수익을 내는 경험을 가져갈 수 있다고 봅니다. 시장 안에서 다양한 경험을 해나가면서 여기 계신 분들이 이전보다 스스로 잘 판단하고 자산을 잘 지켜나갈 수 있는 안목이 키워지기를 바랍니다. 

 

 

[정리]

  1. 자기 실력을 과신하거나 실패를 남 탓으로 돌린다 – 돈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선택도 그 에 따른 결과까지도 책임을 진다는 뜻
  2. 욕심이 과한 투자자로 리스크를 간과하고 무리한 투자를 진행한다 – 감당가능한 투자를 속도를 조절해서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3. 가치 대비 싸게 산 자산을 지키지 못한다 – 투자는 내 돈만 그곳에 들어간 것이 아니라 시간도 같이 넣어두는 것이다. 그 기간을 잘 버티면서 수익을 내는 지점까지 가라

 

[깨달은 것]

내가 공부하지 않고 타인의 말만 듣고 투자를 해버리면 떨어지면 원망하게 되었다. 하지만 내가 공부하고 내가 결정해서 투자하면 떨어져도 떨어질 수 있다는 것도 생각했기 때문에 내가 처음에 목표한 수익이 올때까지 보유한다고 생각하고 버틸 수가 있다.

 

이를 통해 버티고 기다리는 시간을 잘 지나고 목표를 달성하겠다. 그리고 항상 잃지 않는 투자를 하고 리스크를 감당가능하게 설정하면서 망하는 투자를 하지 말자!! 화이팅!!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빅쿨가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