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노바] 부동산 투자의 정석

 

p27

결혼을 하는 세대들이 계속 존재하는 한 반드시 신규로 집이 필요한 가구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 단순히 인구감소로 집값이 폭락한다는 이야기는 맞지 않다. 결혼을 하면 좋은 곳에 살고 싶어 하는 수요는 항상 늘어날 것이다

p33

당시 일본 부동산 거품의 주도 세력은 기업들이었다. 그러나 한국 부동산 거품 현상의 주도 세력은 다수의 개인이다. 세계 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그 기질상 개인은 약하고, 집단은 강하다. 거품 경제도 개인이 일으킨 것이 아니라 기업이 일으켰다. 그렇다 보니 그 규모가 훨씬 컸고, 폭락이 왔을 때 정부 차원에서 쓸 수 있는 카드가 하나도 없을 정도였다

=> 일본 부동산 거품과 우리나라 부동산 거품은 개념부터가 다르다. 단순히 일본처럼 될까 무서워 부동산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은 어리석은 선택이다

p35

경제가 발전하지 않는다면 부동산 가격의 상승도 없을 것이고, 거품의 규모가 크다면 그만큼 침체기가 길어질 가능성도 크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

-

상당 기간, 즉 5년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했다면 거품일 가능성이 크다.

-

부동산 거품 파악 요소

 ①기간

 ②가격

③묻지마투자

=> 내가 부동산 청약을 신청하고 당첨됐던 시기, 부동산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나마저 지금 집을 안사면 벼락거지가 된다는 생각에 부동산시장에 뛰어들었으니 그때가 묻지마 투자가 팽배했던 부동산 거품 시기였다

p38

부동산 가격이 하락한 후 비교적 장시간을 보냈다면 이는 장기 침체가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투자의 큰 기회가 올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 NOT A BUT B, 사람들과 반대로 행하라

p55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포기하지 않는다면 결과는 똑같다

=> 모든 분야에서 꾸준히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속도가 중요한 게 아니라 방향이 중요하다

p62

부동산의 전세가와 매매가 차이가 적어진 때가 매수 타이밍이며, 전세가와 매매가 차이가 적어진 지역이 매수 대상이 된다

=> 아직 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가 적은 지역이 많다. 조급해하지 말자

p63

중요한 것은 이것이다. 미래에도 여전히 수요가 몰릴 지역을 찾는 것

=> 가격만 보고 덤비지 말고 미래의 가치를 보자

p71

전세 레버리지 투자법의 핵심은 어느 정도 자산의 규모가 형성되기 전까지는 수익금으로 무조건 재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

충분히 써도 부족함이 없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다

=> 전세로 인한 수익금이 생긴다고 흥분하지 말고 그 돈으로 재투자를 할 것

p73

내가 투자자들에게 당부하는 건 '일단 4년 동안만 투자하라'는 것이다. 조금 길어지면 6년이다

=> 일단 해보자. 월부에서 커리큘럼을 따라 4년만 해보자. 내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4년이 될 것이다

p79

불황기에는 그저 부동산의 전세가가 오르고, 활황기에는 매매가가 오른다. 이 얼마나 마음 편하고 승률 높은 게임인가?

=> 마음 편하고 승률 높은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저가치 아파트를 싸게 매입해야 한다

p87

이론적으로 보면 부동산이 주식보다 수익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수익률이 높다. 레버리지 때문이다. 이 레버리지는 비교적 안전하다

=> 레버리지를 잘 활용하면 주식과 부동산의 수익률은 비교조차 되지 않는다. 단, 저가치의 아파트를 싸게 샀을 때!

p93

위기에 대비한다는 건 실제 언제 닥칠지 모르는 위기를 기다리며 무작정 돈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을 만들어놓고 기다리는 것이다

=> 위기가 올 걸 대비해 현금을 무작정 모아놓기보다는 현명한 투자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p99

자금이 적은 상태에서 억지로 투자와 주거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곳을 찾기보다는 이 둘을 분리해서 생각하라

=> 자금이 적은 내가 해야 할 것. 투자와 주거를 분리하자. 첫째 아이가 초등학교 가기 전까지만 월세로 살자

p101

4년만 투자하라. 4년만 인내하면서 이렇게 투자를 한다면 당신의 인생이 달라진다

=> 할 수 있다!!!

p107

전세 레버리지 투자의 경우, 부동산을 선정할 때 '전세 보증금이 꾸준히 상승할 수 있느냐'를 기준으로 삼는다.

-

갭 투자의 경우, 부동산을 선정할 때 '매매가가 상승할 것이냐'를 기준으로 삼는다

=> 서울 구축을 사면 매매가 상승을 기대, 경기도 신축을 사면 전세 보증금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p118

핵심 부동산이란 오래 보유하고 있어도 꾸준히 가격기 오르는 대상, 장기적으로 볼 때 무조건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대상, 어떠한 위기에도 크게 폭락하지 않고 빠르게 회복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 핵심 부동산을 사는 게 핵심! 앞마당을 넓혀 비교 대상군을 많이 만들자

p122

대세 상승이 일어나서 가격이 계속 올라간다고 해도 적당한 물건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기다리겠다고 결단하라

=> 주위에 휩쓸리지 말고 내 기준을 정립하여 기준대로 하자

p144

New, 역세권, 소형, 강남권, 임대료 이 다섯 가지 키워드가 향후 20년 부동산 시장을 좌지우지할 핵심 키워드다

=> 이제 소가족이 주를 이룰 테니 24평 소형 평수도 충분히 투자 가치가 있다

p149

투자 분야에서 고수가 되는 방법은 이와 다르다. 물론 열심히 공부하고, 배우고, 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인내하는 것'이다. 시장의 흐름이 좋지 않을 때 참을 줄 알아야 하며, 어떤 투자 대상 물건이 맘에 들지 않는다면 버릴 줄도 알아야 하고, 버린 물건이 혹여 이후 대박이 나도 다음 기회를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 저평가 아파트를 싸게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보유하고 인내하는 것. 가격이 단기간에 떨어져도 길게 보고 존버할 것

p150

투자란 반드시 불황의 끝자락에서 해야 한다. 활황이 시작됐을 때 투자하겠다는 건 이미 늦은 것이다

=> 끝자락이 언젠지 알기 힘들겠지만 무릎에서만 사도 좋은 투자다

p151

<투자의 때를 알려주는 신호들>

①부동산 불황기가 3년 이상 지났다

②미분양 물량이 사상 최대로 증가한다

③분양 물량이 역대 최저가 된다

④경매 낙찰가율이 사상 최저 수준이 된다

⑤전세가율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다

⑥폐업하는 중개업소가 속출한다

⑦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대책이 등장한다

=> 이미 불황기는 지나간 것 같지만 아직 상승장이 오지는 않았다. 충분히 투자가치가 있는 시기다

p169

<아파트 투자의 정석>

①대단지 아파트를 골라라

②학군이 좋은 지역인지 고려하라

③로열동, 로열층을 택하라

④면적은 85m2 이하가 좋다

⑤역세권 아파트를 골라라

⑥기반시설이 잘 갖춰졌는지 확인하라

⑦성장성이 있는지 따져보라

=> 특히 지방에서 학군이 정말 중요하다 

p236

오피스텔은 다르다. 오피스텔은 온종일 또는 상당 시간을 거주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찾는 곳이 아니다. 단지 출퇴근에 용이해서, 사무실과 겸용으로 사용할 목적에서 찾는 경우가 더 많다. 오피스텔은 비싼 게 좋은 게 아니라, 싼 게 좋은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 오피스텔 투자를 할지는 모르겠지만 오피스텔은 어차피 전세/월세 나가는 가격은 거의 똑같다. 굳이 로얄동/로얄층을 비싸게 살 필요는 없다

p294

종잣돈을 만들기 위해 악착같이 절약하는 정성으로, 더 많이 공부하라. 인생의 성공과 실패는 지식에 달려 있다. 절약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생활습관은 몇 가지 문제를 낳는다

①삶에 지치게 된다

②상대적으로 보상심리가 더 커진다(대박 건수만 찾고 보수적인 투자처만 찾는다)

③지식에 대한 투자에도 인색해 진다(사람에게 사례 등)

=> 너무 절약한다고 주위 사람들에게까지 인색하지 말자. 베풀건 베풀고 강의, 책 구입에 돈을 아끼지 말고 공부하는 데에 더 몰입하자

p297

여유로운 삶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의 삶도 중요하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당장 내 손에 쥐고 있는 돈이 별로 없어도, 앞으로 얼마든지 더 여유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거라는 희망과 확신이다. 그 확신을 얻기 위해 오늘도 지식에 대한 투자는 계속되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지치지 말아야 할 소중한 일상이다

=> 나는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다. 꾸준히 공부하고 또 공부하자

 

<나의 다짐>

절약한다고 주위 사람들에게 너무 인색해지지 말고 독서와 강의에는 돈을 아끼지 말자!

​나만의 투자 기준을 확실히 잡고 앞으로 4년 만이라도 꾸준하게 해보자!

 


댓글


엘리노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