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흔들리는 지금,
우리는 뭘 기준 삼아야 할까요?🤔
요즘 세계 주식시장이 심상치 않습니다.
지난밤
단 15분 사이에 미국 증시가 요동쳤다는 뉴스,
보셨나요…?
발단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마디였습니다.
“중국이 8일까지 보복관세(34%)를
철회하지 않으면, 9일부터 50% 더 때리겠다.”
즉,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물건에 붙는
관세가 최대 104%까지 오를 수도 있다는 뜻이죠.
이 발언 직후 뉴욕 증시는 크게 출렁였습니다.
“다른나라 관세는 90일 동안 일단 미룬다더라”는 루머가 돌면서 주가가 잠깐 반등했지만
백악관이 “그런 말 없었다, 가짜 뉴스다”라고
부인하자 분위기는 다시 얼어붙었어요.
정리하자면
15분 만에 시장이 급등했다가
다시 급락한 겁니다.
블룸버그는 이를 두고
"팬데믹 이후 가장 광란의 15분”
이라고 표현했어요.🫠
실제로 이 짧은 시간에 S&P500 지수에만
2억 5천만 달러(약 3,300억 원)가 들락날락했죠.💸💸
이번 관세 이슈는 단순히 미국-중국
둘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트럼프가 겨눈 건 중국이지만,
여파는 전 세계에 퍼졌습니다.
특히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같은
미국의 빅테크 7개 기업(M7)은 단 하루 만에
시가총액 1,000조 원 이상이 증발했어요.
그만큼 시장의 공포가 크다는 얘기입니다.
게다가 미국 증시는 3일 연속 하락 중이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6% 가까이 급락하며
팬데믹 이후 최악의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큰 이슈들이 쏟아질 때,
우리는 이런 생각이 들곤 합니다.
“이거 우리랑도 상관있는 건가?”
“그냥 미국 얘기 아닌가?”
하지만 아쉽게도,이번 일은 한국 투자자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이 있습니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무역 의존형 국가이고,
그중에서도 미국과 중국은 수출 1·2위국이에요.
이 둘이 정면충돌하면,
가장 먼저 흔들리는 곳 중 하나가
바로 한국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거대한 움직임 속에서,
한국 투자자는 뭘 봐야 할까요?
트럼프 한 마디에 글로벌 지수가 요동친다는건,
지금 시장은 단기 실적보다
정책 불확실성 그 자체를 리스크로
인식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당장의 반등보단 핵심 리스크가 사라졌는지를
먼저 따져야 하는거죠.
무역 전쟁이 벌어지면 제일 먼저 흔들리는 건
중국과 미국, 양쪽 모두에 많이 팔고 있는 업종들입니다.
📍 반도체 – 한국 반도체는 중국과 미국으로 가장 많이 수출돼요. 두 나라가 싸우면 당연히 영향이 클 수밖에 없죠.
📍 자동차·배터리 – 부품이 여기저기서 오가는 업종이라, 나라 사이에 벽이 생기면 공급망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 중국향 소비재 – 화장품이나 식품처럼 중국 사람들이 많이 사주던 품목들도 보복 관세가 생기면 직격탄을 맞을 수 있어요.
이런 업종은 시장보다 먼저 주가가 빠지거나,
반대로 빨리 안정을 찾으면 시장이 회복될 수 있다는 신호가 될 수도 있습니다.
지금처럼 시장이 요동칠 땐
무엇보다 내 자산이 흔들려도 괜찮을지
먼저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 혹시 비상금처럼 쓸 수 있는 현금이 너무 부족하진 않은지,
📍 금리나 환율이 오르면 손해 볼 수 있는 투자는 없는지,
한 번쯤 체크해보세요.
위기 때 수익을 내는 것보다,
먼저 살아남는 게 더 중요하다는 말,,
지금처럼 불확실성이 클 때
더 뼈아프게 다가오실 거예요🥲
이번 관세 뉴스는
다시금 우리에게 이렇게 묻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지금 당신은 어떤 기준으로 투자하고 있나요?”
혼란의 한가운데일수록
‘기준 있는 투자자’만이 시장에서 살아남는 법이니까요.
그럼 돈잇슈는 다음에 또 이슈가 있을 때
발빠르게 찾아올게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속보]🚨사이드카 발동… 코스피 5%대 급락 "내 계좌는 괜찮을까?" 지금 당장 3가지를 보세요.
댓글
관세전쟁이라니..ㅠㅠ 그래도 기회가 될 수 있겠죠?
관세ㅜㅜㅜ… 잘 지켜봐야겠어요.!!
관세전쟁 ㅠㅠㅠㅠㅠㅠ 주식 힘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