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문기사 정리
- 건설경기 침체에 따라 시멘트 출하량이 급감하면서 가동이 중단되는 소성로가 늘고 있다.
- 국내 전국 소성로 35기 가운데 8기가 운영을 중단했고 이달 2기가 늘어나 총 10기에 달할 예정이다.
- 내수 부진에 시멘트 출하량이 35년만에 4,000만t을 밑돈다는 전망이 있다.
- 한국은 1991년 이후 시멘트 내수 출하량이 4,000만T을 돌파한 이래 꾸준히 그 이상을 유지해왔다.
✅ 생각정리
- 시멘트 출하량은 아파트 건설 비율과 상통한다.
- 24년 1분기 수도권 아파트 착공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하면서 시멘트 출하량도 같은 기간 약 13.4% 줄어든 1,040만 톤을 기록했다.
- 출하량이 급감했다는 것은 그만큼 현재 공사 중인 아파트 단지가 없다는 의미다.
- 한번도 전국 아파트 수요/입주량을 본 적이 없었는데 2025년 25.9만 가구는 10년만에 처음 나타난 수치다.
- 게다가 2026년부터 16.2만 가구는 2020년 이후 (그전 데이터 없음) 처음이다.
- 아래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3년뒤인 2028년은 전국이 5.9만 가구로 한번도 본 적 없는 수치인데다가, 서울시 적정 공급량인 4.8만 가구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수치다.
- 현재 인허가가 통과되더라도 도서준비 4-6개월, 공사기간 32-36개월이면 사실 2028년 이후이다.
- 즉, 지금부터 계획되는 모든 아파트들은 2029년 이후에 공급될 수 있다.
- 최근 5년간 공급된 주택수가 많았으니 이를 소화하는 기간이 필요하다고 보아도 3년 뒤부터는 심각한 공급부족에 시달릴 것으로 보인다.
- 시장은 평균치로 밸런스를 지키면서 가지 않는다.
- 항상 극단적인 상황과 정책, 규제, 이슈들로 움직이고 우리는 그때 상황에 맞난 투자와 대처를 해야한다.
- 기대해볼 수 있는 게 있다면 공급 부족으로 인한 전세상승→매매상승이고, 이 기간에는 매수도 중요하겠지만 현재의 자산을 잘 지키고 버티는게 중요해 보인다.
- 혹은 적절한 가격에 목표가에 맞는 매도도 좋은 경험이 될 것 같다 (잘 버텨보자!)

✅ 25년 1월 신문기사
✅ 25년 2월 신문기사
✅ 25년 3월 신문기사
✅ 25년 4월 신문기사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