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안녕하세요
와신상담의 아이콘
덴버입니다
이번주는 개인적으로
강의에서는 오랜만에 뵙는!
코크드림님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아파트를 산다는 건
막연하고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나의 예산에 맞는 아파트를 고르는 것부터 매수까지
막막하고 겁났던 모든 것들을
알아갈 수 있는 소중한 강의였습니다!
.
.
.
(좋은 아파트가 내 돈과 이렇게 딱 맞아 떨어질 수 있다면 좋겠어요)
내집마련에 고민이 많으신
저희 4조분들과 함께하며 느낀점은
‘내가 가진 돈에 맞는 아파트를 찾는게 막막하다!’
라는 점이었습니다
각자 살고싶은 집은 있지만
(예 - 송도 예쁘던데요? 저는 거기 살고싶어요!
직장이 XX구니까 OO구 까지는 괜찮을 것 같아요!)
정작 내가 가진 돈으로
어디를 살 수 있는지는
너무 막연해 하는 것 같습니다
코크님의 강의에서는
소득이나 종잣돈이 적은 사람들부터
내가 가진 큰 돈을
내집마련에 배팅해야 하는 분들까지
예산에 맞춰서 봐야 하는 지역
그리고 그 지역에서 중점을 둬야하는 입지요소까지
모두 알 수 있었습니다
BM
머릿속에서 어느 순간부터 엉키고 꼬인
입지의 우선순위를 지역과 연관시켜 함께 정리해보기
(대출=잘못하면 망하는 일인줄 알고 도망가던 과거의 나)
3년차 아파트 투자자인 저에게도
대출은 여전히 어려운 분야인 것 같습니다.
우선 대출이란 것은
‘내 신용에 영향을 주는 일이 생긴다'
라는 심리적인 장벽부터 어렵고요?!
내 금전사정에서 대출이 얼마나 나올지
내가 이자가 얼마나 감당가능한지 뿐만아니라
디딤돌, 특례대출, 은행대출, 후순위대출, 마이너스통장 등등…
이름만 들어도 아득한 대출 종류들도
대출을 알아보는 데 장벽이 됩니다
코크드림님께서는
내집마련을 하는 분들에게 맞춰
어떤 대출을 현명하게
최대한 낮은 이자로
그리고 최대한 많은 금액을
뽑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십니다
조건도 까다롭고 이자가 낮은 대출을
두 개를 동시에 받게하는 방법이나
대출 시 매수금액을 이용해
공제금액을 무력화 시키는 방법 등
겁나고 막연한 대출을
잘 따져보고 야무지게
챙겨갈 수 있게 알려주셔서
대출도 잘 이용하면
집을 잘 사는데 도움이 된다는 걸 알게 되어
내집마련에 자신감을 심어주셨습니다!
BM
내 상황에 맞는 은행대출과 후순위대출 더 공부해보기
(사장님 3천만 깎아주세요 - 안돼 돌아가)
이제 내가 살 수 있는 아파트와
단지후보도 설정했으니
매수를 하러 가야합니다
근데 아시는 분들은 아시죠?
막상 부동산에 가서 무슨말을 해야할지 모르겠고
실거래가를 보면
얼마전에도 내가 보는 물건보다
더 싸게 산 사람들도 많은데
물건들은 더 비싸보이고…
저도 최근에
아파트를 매수하면서
000만원을 더 깎고 싶었지만
아쉽게도 그렇지 못한 경험이 있는데요
(대신 저는 좋은 조건을 챙겼지만!)
코크님께서는
한 푼이라도 더 협상이 잘 될 수 있는
매물의 조건부터
매수자/매도자/부동산 사장님의
심리까지 모두 간파해주시면서
상황에 맞춰 깎을 수 있는 물건
그리고
심리를 이용해 깎을 수 있는 물건까지
한 푼이라도 더 싸게 살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십니다
최근 제 동료도
코크님이 알려주신 사례와 같은 물건을
오랫동안 매도자와 심리게임을 하면서
주변시세보다 훨씬 싸게
서울아파트를 매수할 수 있었는데요
동료의 사례를 반추해 보면서
실제로 내집마련 후보지를 따라
매물을 보면서
코크님의 팁을 그대로 따라하면
이거 되겠구나!!!!
라는게 더 생생히 느껴졌습니다.
BM
부동산 거래에서
매도자/매수자/부동산 사장님의 심리를 더 생각해보기
.
.
.
이번 강의는
월급쟁이 아파트 투자자인 저에게도
다시 아파트의 입지라는 걸
머릿속에 쭉 정리해보면서
내가 좋아하고
그리고 사람들도 좋아하는
즉, 가치있는 아파트가 무엇인지
머릿속에 확실히 확립되었습니다.
그리고 매수의 끝단계 까지 배우면서
마치 제가 하나의 내집마련 프로세스를
마친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강의였습니다.
부동산 매수라는
막연하고 어려운 프로세스를
정말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셔서
저에게 집을 살 수 있는 자신감과
그 자신감을 뒷받침 해주는 지식과 정보를
얻어갈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강의 해 주신 코크드림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