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woo)리 함께 파이어(fire) 해볼래요?
'우피레' 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봄비가 내리면서
따뜻한 봄을 알리는 4월
운이 닿아서 1년만에
지투반을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유디 튜터님이
지방투자에서 신축 아파트 범위에 대해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인사이트를 나누어준
미니 특강이었습니다.
기억의 끈을 길게 가져가고자
후기를 남겨봅니다.
<키워드 정리>
#지방신축 00식 #공급량.수요균형
# 지방아파트 신축은 00 연식까지 보세요
다른 광역시 도시의 미래라는 울산의 도시를
바라보며 지방에서 투자를 할때
몇년식 까지 신축으로 봐야할지 가려운곳을
정말 속시원하게 긁어주셨습니다.
지방에서 신축84 대단지 브랜드 등이
좋다는 것은 알지만
투자자로써 좀더 뾰족하게
어느 연식까지 우선순위를 갖고 바라봐야 할지
항상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울산에서 신축으로 생각하는 연식의 범위를
10~15년(매수시 8년이내)이라고 말씀해주면서
무엇보다 지역내 다른 아파트들과 비교해
경쟁력을 가질수 있는 기간으로 설정하는게
주요함을 이야기해주셨습니다.
시장과 지역에 따라
매매가와 전세가에 따라
'신축'이라고 말할수 있는 단지들의 범위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같은 울산이어도 신축으로써 경쟁력있는
단지의 연식이 다를수 있습니다.
지방내 다른 지역을 바라볼때
매매가, 전세가, 시장상황에 따라
연식범위를 다르게 설정하는게 필요하겠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액션 plan
1. 연식별 지수 흐름정리 (매매가 / 전세가)
# 공급량과 수요 균형을 생각하며 신축범위를 잡아보세요
연식에 대한 시장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공급량이 많은 지역(대구) 등
경쟁이 센 곳에서는 준공 연한이 짧은 아파트만이
신축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울산이라는 지역을 샘플로
5년전 대세상승장( 20년말 ~22.6월까지 )
연식별로 전세지수와 매매지수를 근거로
상승속도와 흐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연식별로 가격의 흐름을 파악해
투자로 적용할수 있는 부분까지도 함께
배울수 있었는데요
(매매)
10년까지는 매매지수 변화상승폭이 비슷한데
10년 이후부터는 소폭 둔화됩니다.
전저점 이후 변화에서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세)
매매와는 다르게
5년이내 신축 전세폭과
5년이후 전세폭은 동일한데
상승때까지 1년이 더 걸리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전저점 이후는 지난 상승장과 다르게
5~10년 전세 상승속도가 빠른것을 보면
시장 상황에 따라 전세 상승 속도는
달라질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리를 해보면
울산이라는 지역에서는
10년이내 단지를 먼저 접근하되
5년이내 단지가 투자가능하다면
빠른 전세금 상승으로 투자금 회수면에서
이점이 있기에 적극적으로 검토하는게 필요해 보입니다.
"지방은 무조건 신축이지" 라는
생각보다는
투자자라면 지수 등을 통해
나름대로 근거과 판단을 통해서
몇 년 이내 단지를 매수하는게
매매가 측면에서
전세가 측면에서 상승폭을 가져갈수 있을지
알고 매수할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지방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조차 성공하는 과정"이라고
말씀해주는 응원의 한마디가
투자하기 위해 지방으로 가는 모든 투자자들에게
힘이 되는것 같습니다.
* 액션 plan
1. (장기.중요)다른 광역시 5년 이내 연식별 매매지수, 전세지수 흐름 파악해보기
긴 시간
진심으로 후배 투자자들이 잘되기를
바라며 강의해준 권유디 튜터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더 탄탄한 내공을 가진
투자자로써 계속해서 성장하겠습니다.
댓글
우피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