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내수 등 경제 지표가 변수 공약만 믿고 섣부른 투자 ‘금물' 수도권 아파트 청약 지속 관심을
😀요약
정치적 불확실성 시장은 관망세
규제 완화 없으면 시장 회복 힘들어
개발 공약에 일부 지역 부동산 들썩
표심 잡기 위한 개발 쏟아질 전망
🧐팩트
🏘️ 정권별 부동산 정책 및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 + 정치 성향
대통령 | 재임 기간 | 정당명 | 성향 | 주요 부동산 정책 방향 |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 |
---|---|---|---|---|---|
김영삼 | 1993.2 ~ 1998.2 |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 보수 | 금융실명제, 부동산 실명제 시행 | 약 3.3% 상승 |
김대중 | 1998.2 ~ 2003.2 |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 진보 | IMF 이후 경기 부양, 주택 공급 확대 | 약 4.1% 상승 |
노무현 | 2003.2 ~ 2008.2 | 열린우리당 | 진보 | 종부세 도입, 다주택자 규제 강화 | 약 19.1% 상승 |
이명박 | 2008.2 ~ 2013.2 | 한나라당 | 보수 | 규제 완화, 보금자리주택 공급 | 약 3.4% 상승 |
박근혜 | 2013.2 ~ 2017.5 | 새누리당 | 보수 | 재건축 규제 완화, 대출 규제 완화 | 약 2.6% 상승 |
문재인 | 2017.5 ~ 2022.5 | 더불어민주당 | 진보 | 다주택자 세금 강화, 임대차 3법 등 규제 강화 | 약 20.4% 상승 |
윤석열 | 2022.5 ~ 현재 | 국민의힘 | 보수 | 세제 완화, 재건축 규제 완화, 공급 확대 | 정책 효과 분석 중 |
📊 정권별 부동산 정책의 특징 요약
🤔투자 생각
큰 흐름이 보수냐, 진보냐에 따라서 정책 기조는 달라지겠지만 그보다 본질은 그 당시 시장 상황을 고려해서 불황이었던 시장을 살리기 위한 정책을 했을때 살아났던 시장이 과열되어 시장을 규제할 수 있는 정책이 나와 누르는 식으로 바라보는 것이 더욱 더 본질적이겠다.
확실한것은 정책에 따라 시장이 움직이긴 한다는 것이다.
현재 ‘23년 하락장을 겪고 회복하고 있는 추세로 공급 물량 부족한 사실은 본질이며 시장의 현재 상황이다. 추가로 내수 역시 불안정한 상황에서 아무리 규제 정책을 가지고 가는 진보(민주당) 정권이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시장과 내수 자체가 죽어있는 상황에서 규제 정책을 꾸준히 끌고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겠다.
미리 예측하기 보다는 가치 대비 저평가 본질에 집중하고, 정권이 내세우는 정책의 효과를 바라보며 흔들리지 말고 더욱 현명한 선택을 하는 것이 좋겠다.
특히 공약이나 대규모 프로젝트 등 정권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호재들은,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서 실현 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으니 그것만 보고 투자를 해서는 안되겠다.
🤔전체적 분위기
#국토부 ‘재개발.재건축 합리화' 제도 손질 나선다
#지방 2억 이하 주택 취득세 1%로 완화.. 침체 시장 숨통 트이나
#3.3m^2 당 3.5억입니다. 반포 원베일리 부르는 게 값
#중개료 아끼려다 목돈 날려, 부동산직거래 주의보
#금리.내수 등 경제 지표가 변수 공약만 믿고 섣부른 투자 ‘금물' 수도권 아파트 청약 지속 관심을
#금융약자 외면, 자율경영 침해… 은행점포 폐쇄 딜레마
#트럼프, 중에 유화 제스처 협상 땐 관세 낮아질 것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해바라기v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