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부 투자자의 희망이 될 어마마마 입니다.

 

2강은 양파링님의 “서울 경기 비교하고 더 좋은 투자처 찾는 방법”이었습니다. 

강남 1시간 이내면 서울과 같기에 경기도 또한 좋은 투자처라는 걸 알지만 

제일 어려운 서울과 경기 비교하는 방법인데요.

양파링님이 3단계 프로세스를 통해 쉽게 비교할 수 있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번 강의의 핵심은!!!

 

내 투자금으로 살 수 있는 좋은 자산을 사는 것

 

지금 서울 수도권 시장이 어떤 모습인지 알고

전고점과 리스크 사이의 합리적인 선을 찾아

 

전고점을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좋은 것을 사는 것

 

서울만 아는 사람과 경기도까지 아는 사람의 차이가 수익 차이로 연결이 되는 점

서울도 서울 나름, 경기도도 경기도 나름이라는 점

 

필기가 따로 필요없는 언제나 꼼꼼한 양파링님의 강의 감사합니다♡

(양파링님 파워J 아니신가용?>_<ㅎㅎ)

 

 

 

PART1. 서울/경기 지역별 위상

 

본) 지역의 위상은 가치, 가치를 반영하는 것은 결국 가격으로 평당 매매가격과 랜드마크 가격으로 구분 

  1. 크게 정리: 평당 매매가격이 비슷한 곳(+랜드마크)
  2. 작게 정리: 생활권, 연식, 평형 가격감 잡기

 

깨) 지역별 위상을 제대로 알아야 내가 살 수 있는 물건의 수준을 낮추지 않는다.

적) 실력이 훌륭한 후보들을 기용하는 것

꿩 대신 닭이 아닌 최선의 선택지를 마련해 두기 (서울 앞마당 1개 늘리기)

적) 가치가 헷갈린 땐 지역별 랜드마크 가격을 확인

 

깨) 입지 좋은 신축, 구축/ 입지 덜 좋은 신축, 구축 범주를 묶어 가격 정리

가격의 레이어를 쌓기 위해 단지 개요 직접 열어보고 확인

적) 꼭지점 찍고 원 그려보기(컴퍼스!!!)

적) 효율을 따지지 말고 정석으로 시세따끼;;;;;

 

 

 

PART2. S구 분석

 

본) S구의 가치, 가격, 기회

깨)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밖에서부터 시작하기

적) J구부터 임장

 

 

본) S구의 입지

깨) 인구수와 세대당 인구수 정리하고 가기

적) 사전조사 끝내고 현장에서 확인하는 루틴 갖기

적) 인구이동은 3년치 적용

 

깨) S구의 교통 호재 따른 큰 변화

적) S구 정리시 교통호재에 따라 위아래 확장해서 봐야함

 

깨) 동별 학군 정리

적) 임보시 양파링님 학군 장표 레버리지

; 학생수 1000명, 저학년과 고학년 평균, 비중 비교 원페이지

 

깨) 환경 정리시 대학병원 병상체크

적) 홈페이지 현황에서 활용

 

본) S구의 가격

깨) 생활권 뷴류시 대표단지 크로스체크

적) 네이버 호가와 이전 호가 같이 비교 장표 레버리지

;생활권 분류 장표시 원페이로 묶기

 

본) S구의 투자

깨) 주머니에 손 넣고 기다리면 시장이 변함

공급에 따라 잠시 지켜보는 것이지 미뤄 놓는게 아님

적) 내가 직접 확인해야 함

 

 

 

PART3. 서울/경기 비교평가

 

본) 비교평가 프로세스

  1. 가치- 입지, 상품, 선호도
  2. 가격- 현재 시점에서 저평가 여부, 투자금
  3. 리스크- 전세 조건, 공급

 

깨) 전고점을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가치있는 것을 사는 것

적) 임장, 임보 후 가치 정리, 현장 가격을 통해 가격 정리

 

깨) 변화로 인한 투자금이 늘어난다는 것은 다음 투자가 늦어진다는 것

적) 부대 비용까지 포함해서 생각

 

본) 수도권 외곽투자

깨) 투자 가능, 물건 가치 따라 상승 시점이 다름

적) 구축 투자시 반드시 임장, 상승장 전고점 정리

 

 

 

 

 

♥ 양파링님이 이 강의를 준비하면서 미리 준비해 놓으셨다는 말씀

(너무 감동이었습니다T^T)

 

 

 

“전력투구”

모든 힘을 다해 공을 던진다.

 

 

 

전력투구란 “그냥 열심히 하는 것”이 아닙니다. 

좋은 결정을 내리기 위해 눈으로 보고, 발로 밟고, 정리하는 것

준비와 분석을 통해 리스크 관리하면서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것

실패의 두려움을 이겨내고 계속 해나가는 것

스스로에게 “더 이상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 때까지 노력하는 것입니다. 

 

인생에서 가장 큰 후회는 “실패하는 것”이 아니라 “도전하지 않은 것" 입니다. 

 

 

적) 매일이 도전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거기에 짓눌리지 않을 수 있다. 

짐이 가볍기를 기원하지 말라. 

그 짐을 메고 있는 등이 더 튼튼해지길 기원하라.

(부자의 언어 中)

 

 

 


댓글


어마마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