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한줄요약 :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그것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없게 만들 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STEP2. 책에서 본 것
[1.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 하나’는 무엇인가]
#단하나 #포기
“당신이 이번 주에 할 수 있는 일 중 다른 모든 일들을 제쳐 두고서라도 꼭 해야 할 단 ‘한 가지 일’이 무엇입니까?” (p.17)
소수의 몇 가지 일을 잘 해낼 때 커다란 성공이 온다 (…) ‘빼기’가 필요하다. (p.19)
[2. 도미노 효과]
#도미노 #우선순위
매일 우선순위를 새로 정하고 첫 번째 도미노 조각을 찾은 다음, 그것이 넘어질 때까지 있는 힘껏 내리친다. (p.26)
훌륭한 성공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 번에 하나씩이다. (p.26)
[3. 성공은 반드시 단서를 남긴다]
'한 사람'의 힘 (...) 누구도 홀로 성공할 수 없다. 그 누구도. (p.31)
너무 많은 일을 시도하면서 너무 적게 성취하고 있는 것 아닌가 (...) 더 적은 일을 하는 것이 더 많은 것으로 통하는 길임 (p.37)
[제1부. 거짓말 : 의심해 봐야 할 성공에 관한 여섯 가지 믿음]
#선택 #우선순위 #습관 #선택적집중 #의지력 #중심잡기 #가능성 #성장의사고방식
바쁘게 움직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 정말 중요한 것은 무엇 때문에 바삐 움직이는가이다. (p.46)
'NO'라고 말해라. (...) 가장 중요한 일이 끝날 때까지 다른 모든 일에는 '지금 말고'라고 딱 잘라 말하는 것이다. (p.57)
한 번에 너무 많은 일을 하려고 하면 결국 아무것도 잘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현재 자신에게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알아내고 그 일에 전념하라. (p.72)
당신의 습관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 준다. 당신이 얻는 성취는 한 번의 행동이 아닌 삶에서 만들어진 습관에서 나온다. (p.80)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 (…) 중요한 일은 하루 중 가장 의지력이 충만한 시간에 하라 (…) 의지력과 싸우지 마라. 의지력의 작동 방식에 맞춰 하루 일과와 인생을 설계하라. (p.96)
중요하지 않은 어떤 일들을 미완성인 채로 남기는 것은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치러야 할 대가와 같다. (p.108)
자신의 한계를 아는 사람은 없다. (…) 그런데 왜 자꾸 한계를 지으려 하는가? (p.116)
큰 것을 경험할수록 당신도 커진다. (p.123)
훨씬 더 높은 목표를 잡아라. (…)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 (p.126)
[제2부. 진실 : 복잡한 세상에서 중심을 잃지 않는 법]
#초점탐색질문 #큰질문 #큰해답 #벤치마킹 #트렌딩
성공을 가져다준다는 모든 성공 ‘전술’과는 정반대의 행동을 시작했다. (…) 긴장을 풀었다. (…) 일을 적게 하기 시작했다. (…) 내가 배운 성공의 핵심은 이렇다. 삶의 매순간마다 가장 적합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 떳떳하게 “여기가 지금 내가 있어야 할 곳이고, 나는 내가 이 순간에 해야 할 일을 하고 있다.”라고 말할 수 있다면 당신의 삶 속에 숨어 있는 모든 훌륭한 가능성들이 현실이 될 것이다. (p.133)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그것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없게 만들 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p.139)
“오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다른 모든 것을 더욱 쉽거나 불필요하게 만들어줄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하루를 시작하라. (p.152)
1. 큰 질문을 던져라(크고 구체적으로 생각하라) → 2. 큰 해답을 찾아라(연구하고 역할 모델을 찾아라) (p.155)
목적의식을 갖고, 우선순위에 따라, 생산성을 위해 살아야 한다 (…) 우리의 목적의식이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가 행동의 생산성을 결정한다 (p.175)
행복은 만족을 느끼는 길에서 생겨난다. (…) 우리가 매일 하는 행동이 더 큰 목적의식을 충족시킨다면, 가장 강력하고도 오래 지속되는 행복이 가능해질 것이다. (p.181)
‘현재에 근거한 목표 설정’ (p.188)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정해 두고, 독하게 그것을 지킨다. (p.201)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확보하라 → 그 시간을 보호하라. (p.202)
탁월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은 단 하나의 일을 중심으로 하루 일과를 계획한다. 그들이 매일 잡는 가장 중요한 약속은 자신과의 약속 시간이며, 절대 그것을 어기는 법이 없다. (p.209)
최대한 이른 시간 중에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따로 확보해 놓는 것이다. (…) 하루에 네 시간씩 따로 떼어 두는 것이다. (p.209)
매주 한 시간을 따로 떼어 연간 목표와 월간 목표를 검토하라. (p.213)
“확보한 시간을 지키지 못했다면 대체할 시간을 찾아라.” (…) “나의 단 하나의 일이 끝날 때까지 다른 모든 일은 나의 집중력을 흐리는 잡무에 불과하다!” (p.217)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의 타고난 한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p.226)
오전 시간을 에너지 보충에 투자하면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남은 하루를 잘 버텨낼 수 있다. (…) 매일 아침 활기찬 시작을 하는 데 전념하라. (p.251)
“당신을 더욱 높은 곳까지 끌어올려 줄 사람으로 주변을 채워라.” (p.256)
삶의 끝에서 후회하지 않을 삶을 살라 (p.263)
가장 큰 후회를 남기는 것은 바로 하지 않은 행동이다. 그러니 후회 없이 살아라. 매일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하도록 해라. (p.265)
모든 성공은 당신 내면에서부터 시작된다. (p.268)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성공은 단거리 경주다.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인 셈이다. (...) '자기관리에 철두철미'하게 보이는 사람도 실제로는 몇 가지 바람직한 습관을 만들어 확립시킨 것뿐이다. (p.74)
=> 단거리라는 게 신박하다! 항상, 언제나 자기관리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근데 월부 시작하고 나도 모르게 몇 개의 좋은 습관이 만들어졌는데, 그 습관을 들이고 나니 성공에 좀더 가까워진 것 같다. 그래서 습관, 루틴이 중요하구나. 튜터님들도 보면 꼭 지키는 투자자 루틴이 있던데. 그것만 지키면, 다른 부분에서 좀 해이(?)해지더라도 다시 돌아올 수 있고, 성공하게 되는 것이다!
2.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자기관리에 철저한 사람이 될 필요는 없다. 아니, 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 하나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75)
=> 나도 모르게 성공을 위해서는 철저한 자기관리가 필수라고 생각했다. 내가 조금이라도 늘어지면 나는 왜 이러는지 내게 실망했다. 그럴 필요가 없다. 몇 가지 바람직한 습관만 잘 지켜낸다면 난 성공할 것이다. 완벽주의 버리자. 완료주의로 살자!
3. 의지력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잘 활용하는 관건은 그것을 이용하는 타이밍에 있다. (…) 의지력의 수명은 정해져 있다. (p.87)
=> 의지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의지력과 타이밍이 중요. 즉, 의지력이 높은 타이밍에 가장 중요한 일을 처리해야 한다. 언제나 의지력이 충만한 게 아니기 때문! → 의지력을 최대한 적절히 활용하려면 잘 ‘관리’해야 한다.
4. 기적은 항상 극단에서 일어난다. (…) 균형 잡힌 삶을 추구한다는 것은 어떤 것도 극단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p.102)
=> 균형이 아닌 ‘극단’에서 기적이 일어난다. 극단으로 가야만 하는 것! 균형을 맞추려 하면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다. 극단적으로 균형을 깨뜨려야 한다. 가끔씩만 중심을 잡아 주면 된다.
5. 최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 (p.193)
=> 최종 → 5년 → 1년 → 1달 → 1주 → 오늘 → 지금 당장 : 목표 달성에 필요한 여러 단계를 쪼개 ‘과정’을 시각화한다!
6. 자신의 성과가 ‘이 정도면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면 더 나아지려는 노력을 중단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경지에 오른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목표를 높이고, 현재의 한계를 넘어서도록 스스로를 격려하며, 영원히 견습생의 위치에 남음으로써 이러한 오류를 피한다. (p.227)
=> 나도 혹시 이러지 않았을까? 이 정도면 충분해 라며 나 스스로 한계를 정했던 것 같다. 내 한계를 깨부수고, 내 목표를 내가 할 수 있는 것보다 20% 더 높게 설정해야 하는데.. 안주하지 말자.
7. 목적의식을 가지고 돌진하려면 종종 불편한 일들도 기꺼이 감수해야 하니 말이다. (…) 필요한 일은 무엇이든 해야 한다. (p.230)
=> 쉽고 자연스러운 일이 아닌, 어렵고 부자연스러운 일에 도전한다는 마인드로 임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의지력이 높을 때, 새벽 시간에 가장 중요한 일 끝내기!
의지력 관리를 위해 복합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이 높은 음식 위주로 먹기 → 매임/계약할 때 특히 신경써야겠군 의지력이 많이 털리는 때니까 ㅋㅋㅋ
크게 생각하기
초점탐색질문으로 하루 시작 : “오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다른 모든 것을 더욱 쉽거나 불필요하게 만들어줄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 원씽을 동료, 가족들과 공유하자.
역산 플랜
목표, 가장 중요한 것 종이에 적기 → 행동(실천)
시간을 생산적으로 쓰기 : 시간 확보 → 보호 ex) 매일 적당한 시간을 따로 떼어 두기 : 새벽 2시간 + 퇴근 후 2시간은 부동산 공부 시간으로!!
원씽 달력 - 휴식 시간 확보 -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 확보(반드시 끝낸다. 최대한 이른 시간 확보, 하루 4시간씩 따로 떼어두기) - 계획할 시간 확보(연간계획은 연말에, 연간목표와 월간 목표는 매주 한 시간(나는 매주 월요일))
주말에 내 투자 시간 지키기 : 오빠에게 주말 오전 8시~12시는 투자 시간이라고 해보자 ㅋㅋ, 토요일 임장 가는 날은 예외적으로 오전~저녁 6시까지 양해 구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1.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 가장 중요한 '단 하나'만 남겨라. 2.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 멀티태스킹은 모든 일을 망친다. 3.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 몇 가지 바람직한 습관만 만들면 성공한다. 한 번에 한 습관만! 4.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 의지력 관리. 의지력이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적으로 처리 5.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 일에서의 균형, 삶에서의 균형이 중요하다. 6.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 크게 생각하라! 크게 행동하라! 크게 성공하라! (p.43)
나의 목표는 더 많은 일을 해내는 것이 아니라 할 일을 적게 만드는 것이다. - 프랜신 제이(미국의 작가)
1. 전문가의 길을 향해 걸어라. : 일만시간의 법칙 → 하루 4시간은 몰입 2.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하라. : 지속적 개선 3. 책임감을 갖고 살아라. : 멘토 필요, 현실을 인정하고 해결책 실행 (p.222)
1. 거절하지 못하는 것 : 매전 거절하라! 2. 혼란에 대한 두려움 : ‘단 하나’가 아닌 다른 일들을 제때 제대로 마무리 못하는 것에 익숙해지고 이 혼란을 극복하라. 반드시 방법을 찾아내라. 3. 건강에 나쁜 습관들 : 에너지 관리, 사용 계획(명상, 비전보드, 확언, 식사, 운동, 가족, 8시간 숙면) 4. 목표 달성을 도와주지 않는 환경 : 사람, 장소 바꾸기 (p.238)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자기관리에 철저한 사람이 될 필요는 없다. 아니, 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 하나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